부산 다대포를 배경으로 전승되는 부산광역시 시도무형문화재 ‘후리소리’. ‘후리’는 바닷가 근처로 몰려든 물고기를 그물로 휘몰아서 잡는 방식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이 멸치잡이를 ‘후리질’, 이때 사용했던 그물을 ‘후릿그물’, 멸치를 잡으며 부르던 노래를 ‘후리소리’라고 하지요.
조선시대부터 1960년대까지 다대포 마을 사람들은 후리질을 하며 살아왔습니다. 멸치 떼가 몰려오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그물을 내린 다음, 그물의 양끝을 바닷가에서 당겨 멸치를 잡는 방식으로 무척 힘든 일이었습니다. 이때 마을 사람들은 ‘후리소리’를 부르며 힘든 노동을 이겨내고 흥을 돋운 거지요. 지금은 사라진 어업 방식이고 낯선 가락이지만, 그럼에도 후리소리는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옵니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함께 참여하는 원시적인 노동이 우리가 본래 삶을 일구었던 방식임을 감각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작가 정정아는 한 개인이 마음의 상처를 극복하고 용기를 내어 다시금 멸치잡이 현장으로 달려나가게 되는 치유의 서사를 전통적인 멸치잡이 과정 속에 잘 녹여냈습니다. 판타지적으로 묘사한 그림이 독자들로 하여금 더욱 후리소리 가락에 빠져들게 이끕니다. 마치 꿈을 꾸는 듯한 환상적인 그림을 따라가다 보면 삼촌을 기다리는 순지와 전쟁의 상흔을 극복해 나가는 삼촌의 심리가 후리 가락과 어우러져 독자들의 가슴을 두드립니다.
Author
정정아
부산에서 글 쓰고 그림 그리면서 살고 있습니다. 원래 동화를 배웠는데 창작공동체A에서 그림책을 공부하면서 쓰고 그리는 즐거움을 알게 되었습니다. 옛 문화와 사람들, 자연 본래의 모습에 관심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사라져 가는 이야기를 그림책에 담아 세상에 알리고 싶습니다. 『그런 꽃이고 싶다』와 『옷이 열리는 나무』 들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부산에서 글 쓰고 그림 그리면서 살고 있습니다. 원래 동화를 배웠는데 창작공동체A에서 그림책을 공부하면서 쓰고 그리는 즐거움을 알게 되었습니다. 옛 문화와 사람들, 자연 본래의 모습에 관심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사라져 가는 이야기를 그림책에 담아 세상에 알리고 싶습니다. 『그런 꽃이고 싶다』와 『옷이 열리는 나무』 들에 그림을 그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