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인기는 꽤 높았다. 2012년 한중 수교 20주년을 기점으로 최고점이었고, 2016년 한국의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한한령 발동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한한령 이후 한국어학과의 인기는 감소했고, 2020년부터 진행된 코로나19 이후 급감하기 시작해 지금은 오히려 한국과 중국 상호 혐오가 만연한 사이로 변질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4년제 대학 한국어과는 부족하고 필요하다.중국의 4년제 한국어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은 한국어과 교육 목표와 사회적인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업무 능력을 획득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이러한 목표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해서 직업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이 책은 중국의 한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있고, 한국어과 졸업생들과 교수자들의 요구분석을 수행하며, 그 검토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 목적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 20개 성의 79개 4년제 국공립 대학이 한국어과를 개설하고 있다. 이 책은 각 성마다 최소 1개 대학 이상의 한국어전공을 대상으로 모두 40개 4년제 대학의 한국어과 양성 방안을 모아서 한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교과목 구성, 특히 업무 능력을 위한 교수요목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한국어과 직업 목적의 교수요목은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업무 능력을 위한 한국어 교과목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등이 있다. 둘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실습교육이 있다. 셋째, 연계 전공 지식으로 국제 마케팅 등이 있다. 그리고 업무 능력을 위한 교수요목을 실시하는 기간, 교과목, 교육 시수 등 체계를 정리하고 이러한 틀에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이 책은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 개발에 포함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어과 직업 목적 교육과정 목표, 교과목, 교육내용을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현행 한국어과 교육과정의 체계와 요구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과 직업 목적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Contents
01 왜 한국어 교육인가?
1.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2.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 현황
02 한국어 교육의 배경
1. 교육과정론
2.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3. 교육과정 개발·설계이론
4. ESP에서의 요구분석
03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1. 한국어과의 교육 목표
2. 한국어과의 교과목
3. 한국어과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 내용
04 한국어교육 실태조사
1. 실태조사의 방법
2. 실태조사의 실제
3. 소결
05 중국의 한국어과 직업 목적 교육과정 제시
1. 한국어과 직업 목적 교육과정의 목표
2. 한국어과 직업 목적 교과목
3. 한국어과 직업 목적 교육내용
06 나가는 글
참고문헌
부록
Author
동연
중국 산둥이공대학교(山東理工大學) 한국어과 부교수이고, 단국대학교 한국어교육 전공 박사를 졸업했다. 저서 1권, 논문 10여 편을 발표했고, 중국 중화학술외역 사업 등 9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콘텐츠문화학회, 한국전자출판학회, 인문콘텐츠학회, 한국어의미학회 등에서 국제이사를 맡고 있다.
중국 산둥이공대학교(山東理工大學) 한국어과 부교수이고, 단국대학교 한국어교육 전공 박사를 졸업했다. 저서 1권, 논문 10여 편을 발표했고, 중국 중화학술외역 사업 등 9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콘텐츠문화학회, 한국전자출판학회, 인문콘텐츠학회, 한국어의미학회 등에서 국제이사를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