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시간

$19.44
SKU
97911858183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4/12
Pages/Weight/Size 150*220*30mm
ISBN 9791185818351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문재인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핵심전략”

?


문재인 정부 초대 균형발전비서관이 위기에 처한 지역을 진단하고 지역주도 특화 성장 방안을 제시한 황태규 교수의 지역혁신성장론 [지역의 시간]이 출간되었다.

문재인 정부는?국가균형발전 비전으로 ‘지역이 강한 나라, 균형 잡힌 대한민국’을 천명했다.?대통령 개헌안에도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지방정부 상호 간 ‘적정한 재정조정을 시행’하는 것을 명문화했다. 국민의 선택만 받는다면 균형발전 차원에서 획기적인 진전이 아닐 수 없다.?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컨트롤타워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복원하였고?[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안] 의결로 참여정부 이후 추진동력을 상실한 국가균형발전 추진체계를 발전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됐다.

?

문재인 정부 초대 균형발전비서관으로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개정], [혁신도시특별법개정] 등 강력한 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한 황태규 교수의 [지역의 시간]은 문재인 정부의?지역균형발전의 밑그림을 어떻게 현장에 적용할 것인가의 고민이 담겨있다. 황태규의?[지역의 시간]은?그가 현장에서 고민하고 실제 실행에 옮긴 경험을 토대로 지역균형발전의 실행 모델을?제시한다.

?

‘왜 지역이 낙후될 수밖에 없었는가?’라는 질문과 반성으로 시작한 이 책은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 자산과 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묶는 '낙후지역 생존전략에 대한 교과서’다.?한 지역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각 지역의 특화전략을 서술하지만, 이는 타 지역에서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다.?또한 저자는 지금이 바로 지역균형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적기'라고 단언한다.?지역 소멸을?걱정하며 중앙정부만 바라볼 것이 아니고 스스로의 생존전략을 지금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책에서 제시한 전략들은 모두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문화에 기반을 두고 설명한다. 지역의 자산은 그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부족한 지역자원을 발굴하여 지역주도의 특화 성장으로 나아간다면 우리가 그토록 바라는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갖추는 셈이다. 이 책에서는 한발 더 나가 지역금융과 지역대학의 특화전략, 지역산업의 글로벌 전략까지 폭넓고 깊이 있게 다뤘다.





?



책에서 제시한 전략들은 모두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문화에 기반을 두고 설명한다. 지역의 자산은 그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부족한 지역자원을 발굴하여 지역주도의 특화 성장으로 나아간다면 우리가 그토록 바라는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갖추는 셈이다. 이 책에서는 한발 더 나가 지역금융과 지역대학의 특화전략, 지역산업의 글로벌 전략까지 폭넓고 깊이 있게 다뤘다.



Contents
들어가며
추천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성경륭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송재호
JB금융지주 회장 김한

제1부 지역회생 골든타임
1장 왜 전북은 낙후를 면하지 못하는가
스스로 낙후지역이라 말하는 전북
아직도 공간개발정책에 집중하는 전북
실용학문과 실용문화가 적은 전북
관념적인 축제, 관념적인 사업
전북의 고질병, 패배의식

2장 전북의 회생조건
한반도의 경제적·문화적 수도권, 전북
한반도의 글로벌 문화허브, 전북
새로운 제도를 만들 수 있는 전북인
기적을 만든 문화관광지 한옥마을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산물, 혁신도시
전국을 놀라게 한 지역정책들

3장 전북의 회생전략
문화편
| 상징공간과 상징문화를 복원하라
전북의 대표 상징공간을 찾아라
모악산을 대표 상징공간으로 만들자
전라감영을 민주주의 상징공간으로 만들자
UN에 안의·손홍록 기록관리자상을 만들자
| 식품문화 중심지역으로 재탄생하라
맛있는 전북
제2의 로컬푸드, 동네빵집
전북음식문화역사 발굴
식품수도 위상에 맞는 국제대회개발
전주세계한식대회의 미래, 예상 뛰어넘은 ‘전주세계한식대회’에 갈채를

관광편
| 전북관광정책에 시대정신을 담자
섬진강을 생태문화마을 체험벨트로
전주동물원을 지역브랜드 자산으로
삼양다방을 시민문화공유명소 1호로
청년문화정신 한복데이 그리고 한복산업클러스터
| 한옥마을
한옥마을의 문제점
한옥마을의 가치
한옥마을의 위기
위기의 한옥마을에 대한 대안
한옥마을 재구성
| 새만금을 점검하라
새만금관광사업의 문제점
새만금관광의 새로운 접근
| 태권도, 문화관광콘텐츠산업으로
전북, 태권도 메카
전북, 태권문화관광지
| 전북관광, 상업화를 넘어 산업화해야 한다

산업편
| 새로운 산업군을 만들자
전북지역산업 전략방향
농생명산업은 전북의 미래
식품산업 하나라도 제대로 해보자
축산가공식품 선진화 1번지
| 새만금전략
공간정책을 넘어 산업정책으로 전환해야 답이 보인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에너지 중심지, 새만금풍력산업클러스터
아시아를 대표하는 과채시장, 스마트팜농산업클러스터
세계잼버리대회를 캠핑산업 홍보 공간으로 활용하자
초원과 습지의 야생을 함께 볼 수 있는 유일한 생태관광지
잃어버린 전북수산업의 복원
| 혁신도시는 산업자산이다
농식품산업생태계 조성
아시아 농식품교육의 메카
금융산업생태계 조성
전기안전산업생태계 조성
출판문화산업생태계 조성
공공교육산업생태계 조성
공간정보산업생태계 조성
| 오래된 산업자산을 다시 보자
섬유산업 영광을 재현하자
| 유치 기관·기업에 지역문화로 서비스하자
| 전북은행, 호남경제의 기둥으로 성장해야

교통편
| 초고속 대중교통 수단의 의미
| 지역 내 속도 조절 방안
| 관문부터 관리하자

글로벌편
| 서해안시대, 소프트파워가 답이다
| 대중국특구! 중국문화특구부터 시작하자
| 외교통상권의 지역이전, 분권의 시작이다

지역대학 특화편
| 네덜란드 와게닝대학을 능가하는 대학이 나와야 한다
지역에 맞는 특화교육
특화된 연구시스템이 필요하다
우리 지역만의 특별한장학제도
| 세계 속으로
글로벌교육으로 특화하라
전북형 글로벌교육시스템 구축

4장 전북의 미래직업
| 우리 지역 젊은이들만이 꿈꿀 수 있는 대표 직업은 무엇인가?
사라질 직업에 대한 공포
미스매칭 전북형 10대 미래 직업 선정하자
5장 새로운 지역가치를 만드는 전북을 위하여


제2부 지역주도 특화성장
고창 ‘유혹의 3단계’ 그 시작과 완성을 위한 도전
군산 슬픈 역사를 딛고 일어선 서해 최고의 해양도시
김제 한국농업의 시작, 시농대제(始農大祭) 그리고 종자산업특구
남원 ‘아시아 향의 수도’ 봄의 향기가 가득한 산업을 시작하자
무주 무주(茂朱)의 진화, 無州에서 武州 그리고 舞州로
부안 국내 유일의 반도형 국립공원의 도시
순창 식품가공산업에서 음식관광산업으로
완주 인문학도시, 그리고 지역정책의 메카
익산 백제의 화려함을 간직한 도시 그리고 섬유산업
임실 임실치즈스토리, 그 정신과 지역산업
장수 농가 70% 중산층, 장수군의 비밀 그다음은
전주 전북의 큰 그림, 전주에서 시작하라
정읍 색깔 있는 도시, 그리고 소나무클러스터
진안 홍삼 그리고 고원식품클러스터

전북지역과 나의 인연


Author
황태규
저자는 문재인 정부 초대 균형발전비서관으로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개정>, <혁신도시특별법개정> 등 강력한 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했다. 새로운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총괄하면서 기간교통망의 공공성 강화와 미래 교통산업 발굴을 위해 <교통사각지대 해소방안>, <드론산업발전방안> 등 정부의 교통 SOC정책의 기초를 닦았다. 참여정부 때는 대통령자문기관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정책개발을 담당하기도 했다. 행정자치부 도서개발선정위원회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6차산업지구사업 자문위원, 해양수산부 국가중요어업유산 심의위원 등 각 부처의 정책집행자문을 맡은 바 있으며, 서귀포 감귤정유클러스터 자문위원, 남원허브식품클러스터 자문위원,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이사, 전주유네스코음식창의도시 운영위원회 위원, 장수한우지방공사 이사회 의장, 도시재창조 시민포럼 대표 등 꾸준히 지역 활성화를 위한 현장 활동을 했다. 현재는 우석대학교 호텔항공관광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자는 문재인 정부 초대 균형발전비서관으로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개정>, <혁신도시특별법개정> 등 강력한 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했다. 새로운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총괄하면서 기간교통망의 공공성 강화와 미래 교통산업 발굴을 위해 <교통사각지대 해소방안>, <드론산업발전방안> 등 정부의 교통 SOC정책의 기초를 닦았다. 참여정부 때는 대통령자문기관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정책개발을 담당하기도 했다. 행정자치부 도서개발선정위원회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6차산업지구사업 자문위원, 해양수산부 국가중요어업유산 심의위원 등 각 부처의 정책집행자문을 맡은 바 있으며, 서귀포 감귤정유클러스터 자문위원, 남원허브식품클러스터 자문위원,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이사, 전주유네스코음식창의도시 운영위원회 위원, 장수한우지방공사 이사회 의장, 도시재창조 시민포럼 대표 등 꾸준히 지역 활성화를 위한 현장 활동을 했다. 현재는 우석대학교 호텔항공관광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