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유교는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는 듯하다. 그럼에도 유학경전을 읽는 일반인이나, 유학을 연구하는 학자는 많다. 그 속에서 뭔가 오늘날 필요한 요소들을 찾아내고자 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찾는 것이 절대로 ‘리기심성론’은 아니라고 확신한다. 유학은 다른 사상이나 종교에 비해서 사회적 관계를 중시한다. 유학의 경전과 예서들을 통해서 이 시대에 필요한 가치를 발견하고, 이 시대에 맞는 사회적 행동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오늘날 유학의 존재의미가 아닐까!
Contents
서문
제1장 유학의 본질과 남명학의 본질
1. 문제의식의 출발점
2. 유학과 성리학
3. 조선의 성리학과 남명학의 특징
4. 남명학의 이상과 한계
제2장 ‘황극’에서 ‘중용’으로 다시 ‘대공(大公)’으로
1. 다시 음미하는 유학의 의미와 유래
2. 유학의 본질과 현재와의 괴리
3. 북송시대 선승 계숭이 본 유학
4. 유학 근본덕목의 시대적 변천
5. 유학과 성리학을 넘어서
제3장 북송초기 삼교회통론의 양상
1. 유불도의 교차점
2. 삼교회통론의 역사
3. 삼교회통론의 양상
4. 수양 수행 수련의 협주
제4장 성리학의 시대와 주희의 환상
1. 변화의 시대와 유학
2. 유학에서 성리학으로
3. 근사록.주자가례.소학의 편찬과 주희
4. 대학.중용의 사서편입과 주희
5. 유학의 현대화를 위한 제언
제5장 남명의 실천성리학과 예학
1. 남명학의 특징
2. 실천성리학의 연원과 남명
3. 남명의 실천성리학
4. 남명의 예학
5. 사림의 전통을 계승한 남명학
제6장 남명의 인물평을 통해 본 출처관의 기저
1. 남명과 출처
2. 남명의 성격과 출처
3. 남명의 인물평
4. 출처관의 기저로서의 ‘기’
5. 경의에 앞서는 ‘기’
제7장 남명의 불교관
1. 남명학의 다양성
2. 시대적 배경
3. 남명의 불교에 대한 이해
4. 승려와의 관계와 사찰에서 느낀 감상
5. 이중적 불교관
제8장 남명과 율곡의 도불관
1. 남명과 율곡
2. 남명학과 율곡학에 대한 비판적 관점
3. 남명의 도불관
4. 율곡의 도불관
5. 삼교회통적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