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기반의학Evidence-Based Medicine은 임상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지만, 증거기반의학을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 책은 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알려져 있는 증거기반의학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여러 주장을 검토한다. 또한 증거기반의학의 엄격한 정신이 임상의 모든 측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왜 그래야만 하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사례를 제시한다.
- 증거기반의학은 왜 의료 전반을 지배하는 패러다임이어야 하는가?
- 증거기반의학은 정말로 객관적인가?
- 무작위 시험 결과를 어떤 치료의 효과에 대한 보편적 증거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 증거기반의학은 개별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가?
- 기초 과학은 증거기반의학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 무작위 시험이 임상 전문가보다 중요한가?
Contents
감사의 말
추천의 말
머리말
I부 들어가며
1장 증거기반의학의 철학
1. 증거기반의학이 없던 시절, 의학은 무엇을 기반으로 했나?
2. 이 책의 범위
3. 증거기반의학의 주장을 어떻게 검사할 것인가?
4. 이 책의 구조
2장 증거기반의학이란 무엇인가?
1. 새로운 패러다임을 자처하는 증거기반의학
2. 증거기반의학의 탄생 배경: 간략한 소묘
3. 최초의 증거기반의학 정의
4. 증거기반의학 증거 체계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대응: 더욱 미묘하게, 그러나 대동소이
3장 임상적 의사결정에서 좋은 증거란 무엇인가?
1. 개요
2. 임상적 효과성에 대한 증거
3. 강한 증거는 무엇을 알려주는가?
II부 무작위 배정, 양측 가면법, 플라세보 대조
- 다른 대안보다 교란요인을 더 잘 배제하는 시험 설계인가?
4장 경쟁 가설과 교란요인 제거하기
5장 효과성의 역설 해결하기 - 관찰 연구가 무작위 시험만큼 증거능력이 있는 경우는 언제인가?
1. 효과성의 역설
2. 관찰 연구: 정의와 문제점
3. 무작위 시험, 사태 수습의 해결사
4. 무작위 시험이 관찰 연구보다 더 나은 증거를 제시한다는 증거기반의학의 관점을 옹호하기
5. 효과성의 역설을 극복하기
6. 결론: 양질의 비교임상연구와 저질 비교임상연구를 구분하는 좀 더 심원한 방법
? 부록 1. 제한된 무작위 배정의 여러 유형
? 부록 2. 무작위 배정은 고전적인 가설 검정 및 확률적 인과를 위해 필요하다는 워럴의 논증
6장 양측 가면법은 과연 임상시험의 보편적 덕목인가? - 필립의 역설 해결하기
1. 양측 가면법을 임상시험이 타당성을 갖기 위해 필요한 요건으로 볼 때 생기는 문제
2. 양측 가면법의 다면성: 명료한 용어 정의를 위하여
3. 대상자와 의료진의 지식에서 생겨나는 교란요인
4. 성공적인 양측 맹검법의 중요성
5. 필립의 역설에 대한 반쪽짜리 해결책
6. 필립의 역설에 대한 완전한 해결책: 치료가 명백히 극적인 경우 양측 가면법이 교란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는 관점에 대한 도전
7. 양측 가면법은 치료 효과가 명백히 극적이지 않은 경우에 가치 있고, 따라서 필립의 역설은 일어나지 않는다
7장 플라세보 대조 효과성에 대한, 문제투성이이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출발선 측정 방법
1. 플라세보 대조시험의 필요성
2. 정당한 플라세보 대조
3. 플라세보 대조는 어떻게 정당성의 첫 번째 조건을 흔히 위반하는가
4. 플라세보 대조는 어떻게 정당성의 두 번째 조건을 흔히 위반하는가
5. 복합 치료에 대한 플라세보를 구성할 때 감안해야 할 특별한 문제: 운동과 침술 사례 연구
6. 요약과 부당한 플라세보 대조가 지닌 문제에 대한 해결책
8장 ‘플라세보’ 대조시험이 ‘활성’ 대조시험보다 과연 방법론적으로 우월한가?
1. 플라세보 대조시험의 사용에 대한 윤리적 논쟁의 인식론적 토대
2. 활성 대조시험에 반대하여 제기된 검사 민감도 논증의 몇 가지 문제점
3. 활성 대조시험에 반대하는 첫 번째 검사 민감도 논증의 문제점
4. 활성 대조시험에 반대하는 두 번째 검사 민감도 논증의 문제점
5. 플라세보 대조시험이 절대 효과 크기에 대한 측정 지표를 제공한다는 견해에 대한 도전
6. 플라세보 대조시험은 필요한 연구 대상자 수가 적다는 주장에 대한 문제 제기
7. 결론: 플라세보 대조시험의 상대적인 방법론적 품질 재평가
? 부록. 두 번째 검사 민감도 논증이 실패하는 이유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
III부 메커니즘 추론 및 전문가 판단의 역할과 증거기반의학의 위상
- 전통적 역할은 증거기반의학에 의해 뒤집혔는가
9장 III부를 열며
1. II부 요약
2. III부를 열며
10장 메커니즘 추론에 대한 증거기반의학의 입장과 그에 대한 조건부 옹호
1. 메커니즘 추론의 옹호자와 증거기반의학 관점의 옹호자 사이의 긴장
2. 용어 정립: 비교임상연구, 메커니즘, 메커니즘 추론
3. 메커니즘 추론이 인과 주장을 확립하는 데 꼭 필요하다는 강한 관점은 왜 잘못되었나
4. 메커니즘 추론이 가진 두 가지 인식론적 문제
5. 왜 증거기반의학 옹호자들은 그들의 증거 위계에서 더욱더 돋보이는 역할을 양질의 메커니즘 추론에 부여해야 하는가
6. 메커니즘이 임상 의료에서 지닌 다른 역할에 대하여
7. 메커니즘 추론은 증거기반의학 체계 내에서 (약간)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부록. 잘 수행된 임상연구에 따르면 쓸모없거나 해로운 치료를 수용하는 데 메커니즘 추론이 증거로 쓰인 사례
11장 명제적 지식 대 노하우 - 전문가 임상 판단에 대한 증거기반의학의 입장을 정하기
1. 전문가 임상 판단에 대한 증거기반의학의 입장을 둘러싼 논란
2. 일반 임상 판단은 증거 위계에서 가장 아래에 있다
3. 개별 임상 판단 역시 증거기반의학 위계의 가장 아래층에 속한다
4. 증거 역할을 하지 않는 전문가 판단 역시 임상에서 매우 중요하다
5. 결론
IV부 결론
12장 증거기반의학의 전진을 위해
1. 연구 결과 요약: 증거기반의학의 철학은 받아들일 만하지만…
2. 증거기반의학이 나아갈 두 가지 미래
옮긴이의 말: 증거기반의학의 정신, 철학의 정신 - 당연해 보이는 것에 대한 의심
1. ‘증거기반의학’이라는 이름
2. Evidence: 증거인가, 근거인가
3. Based: 중심인가, 기반인가
4. Medicine: 의학인가, 의료인가
5. 증거기반의학과 ‘과학’
6. 증거기반의학과 과학의 차이를 강조하는 사람들에게
7. 증거기반의학과 과학 사이의 차이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8. 결론
9. 감사의 말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제러미 하윅,전현우,천현득,황승식
철학자이자 의학 연구자로 옥스퍼드 대학교 의과대학 일차의료학과 및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증거기반의학과 의학철학을 주로 연구하며, 미국의 국립보건원NIH 및 영국의 국립보건연구원NIHR과 플라세보 치료 및 엄격한 증거의 필요에 대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다트머스 대학교, 런던정경대학교LSE,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더타임스The Times』와 『허핑턴포스트Huffingtonpost』 등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철학자이자 의학 연구자로 옥스퍼드 대학교 의과대학 일차의료학과 및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증거기반의학과 의학철학을 주로 연구하며, 미국의 국립보건원NIH 및 영국의 국립보건연구원NIHR과 플라세보 치료 및 엄격한 증거의 필요에 대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다트머스 대학교, 런던정경대학교LSE,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더타임스The Times』와 『허핑턴포스트Huffingtonpost』 등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