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난자들

남과 북,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이들에 관하여
$15.12
SKU
979118558548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1/29
Pages/Weight/Size 135*210*20mm
ISBN 979118558548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주승현 박사의 인생 역정을 읽다보면
세상에 못 이룰 일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용기가 난다!”
(장강명, 소설가)

25분 만에 비무장지대를 건너 10년 만에 박사모를 쓴,
그러나 지금도 ‘사선’을 건너고 있는 한 조난자의 비망록

2002년, 저자 주승현은 비무장지대에서 북측 심리전 방송요원으로 복무하다 휴전선을 넘어 한국에 왔다. 휴전선을 건너는 데에는 불과 25분이 걸렸지만, 그날 착종된 트라우마는 10년 넘게 저자를 괴롭혔다. 그는 지금도 비무장지대의 한가운데에서 지뢰를 밟고 서 있는 고약한 악몽에 시달린다. 그리고 그는 오늘도 ‘사선 너머의 사선’을 건너고 있다. 탈북민을 향한 한국사회의 편견과 차별, 배제와 싸우며 저자는 통일학 박사가 되어 통일 문제를 연구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25분 만에 비무장지대를 건너 10년 만에 통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주승현 박사의 자전적 에세이이면서도 우리의 뒤틀린 현대사와 일그러진 맨 얼굴을 보여주는 슬픔의 책이다. 탈북민인 그는 스스로를 ‘조난자’로 부른다. 조난자는 항해 중에 재난을 만난 사람을 의미한다. 저자에게 탈북민은 한반도의 분단 역사라는 재앙을 맞아 난파된 자를 말한다.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3만 명의 탈북민들과 1945년 해방 직후부터 현재까지 남과 북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채 부유하는 존재로 살아가는 ‘한반도의 조난자들’을 호명해낸다.
Contents
서문

1부. 사선을 넘어 다시 사선으로
1. 스물두 살, 경계를 넘다
2. 사선을 넘어 또 다른 사선에 서다
3. 실업과 호구지책의 사이
4. 대학, 청춘의 죽음
5. 미생의 삶, 경쟁사회의 아웃사이더
6. 분단 사회의 아웃사이더
7. 25분 만에 귀순하여 십 년 만에 쓴 박사모
8. 자유를 찾아 떠나는 디아스포라
9.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0. 통일, 결코 호락호락하지 않은 소원
11. 다시 자유를 찾아서
2부. 한반도의 조난자들
12. 1940년대와 오늘: 서북청년단이란 유령
13. 1950~1960년대: ‘밀실’과 ‘광장’ 사이의 자유인들
14. 1960년대 이후: 만경봉호에 오른 북송 재일동포
15. 1960~1970년대: 이중간첩 이수근
16. 1980년대: 오길남, 오! 혜원, 규원
17. 1990년대: 황장엽, 비운의 망명객
18. 2000년대: 탈북과 재입북 사이의 조난자들
맺는말
감사의 말
Author
주승현
비무장지대에서 북측 심리전 방송요원으로 복무했다. 휴전선을 넘어 한국에 온 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통일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와 여러 기업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여러 대학에서 정치학과 한반도 통일론을 강의하며,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에서 북측 심리전 방송요원으로 복무했다. 휴전선을 넘어 한국에 온 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통일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와 여러 기업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여러 대학에서 정치학과 한반도 통일론을 강의하며,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