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언어다. IS로 간 김 군이 남긴 “나는 페미니스트가 싫어요”라는 말은 한국의 페미니즘 리부트에 불을 붙였다. 그 불은 메르스갤러리, 트위터에서의 해시태그 운동(#나는_페미니스트입니다, #내가_메갈이다), 강남역 10번 출구 살인사건의 추모 시위 등으로 번지며 지난 2015년과 2016년을 뜨겁게 했다. 2017년에도 여전한 건 물론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입문서부터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깊이 파고드는 전문서까지, 페미니즘 분야의 책들도 활발히 출간되었다. 페미니즘의 사회적 확장과 낮아진 학문적 장벽 덕분에 이제 페미니즘을 모르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페미니즘은 ‘알면’ 되는 것일까?
삶은 늘 이념보다 크다. 아는 것과 현실의 괴리가 지나치게 크다는 사실을 체감할 때 우리는 절망한다. 그러니 페미니즘이 ‘아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어쩌면 아는 것보다 말하는 것이, 연대하고 나서는 것이 더 중요한 게 페미니즘 아닐까. 그러므로 우리는 더 많은 이야기를 꺼내고, 더 많은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사적 영역’으로 치부되었던 여성들의 경험이, 진지한 노동자, 진지한 게이머 등으로 대접받지 못했던 ‘지극히 사적인 페미니즘’이 더 많은 목소리로 곳곳에서 들려와야 한다.
여성들은 이번에도 운이 좋아 살아남았음을 깨닫고 여전히 그대로인 세상을 향해 함께 분노한다. 그것은 ‘여성’이어서 겪는 일이 아니라고, ‘모든 남자’가 그런 건 아니라는 말 앞에서 할 말을 잃고 무기력해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이 책을 쓴 네 명의 저자는 ‘치명적인 상대와 함께 살아남는 법’을 모색하기 위해 그 분노의 중심에 ‘나’ 또는 ‘너’가 아닌 ‘우리’를 둔다. 제각기의 삶을 가운데에 두고 이 사회를 구성하는 ‘우리’로서 목소리를 내는 것은 지금, 거기, ‘당신’의 페미니즘에 가닿기 위해서다.
“사적인 이야기들이 모여 세상을 향해 함께 물음을 던질 수 있도록.” (서문 중에서)
함께 던지는 물음은 연대의 또 다른 이름일 것이다.
Contents
들어가며: 지금 거기의 페미니즘에게
결혼 후에 오는 것들 / 박소현
우리의 인생이 게임이 아니라는 거 확신해요? / 오빛나리
당신을 만나게 되어 반갑다 / 홍혜은
치명적인 상대와 함께 살아남기 위해서 / 이서영
Author
박소현,오빛나리,홍혜은,이서영
SF와 판타지를 쓴다. 사회 문제와 맞닿아 있는 SF를 발표해왔고, 소설 외에도 노동과 젠더가 밀접하게 뒤얽히는 지점들을 파고드는 글을 자주 쓰고 있다. 도시 빈민의 삶을 짊어지고 이십대 내내 시위를 하다 보니 빈곤과 노동에 심하게 집착하는 페미니스트가 되었다. 여러 시공간에서 데모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많이 썼다. 기술이 어떤 인간을 배제하고 또 어떤 인간을 위해 일하는지, 혹은 기술을 통해 배제된 바로 그 인간이 기술을 거꾸로 쥐고 싸울 수 있을지에 대해 관심이 많다. 여성의 경제적 위치를 기준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사람을 늘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주로 과학소설을 쓰지만 무슨 글을 써도 빈곤의 그늘을 떨치지 못해서 서글픈 사람. 환상문학 웹진 거울에 필명 앤윈으로 「종의 기원」과 「성문 너머 코끼리를」 게재하며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아직은 끝이 아니야』, 『이웃집 슈퍼히어로』, 『여성 작가 SF 단편집』, 조선스팀펑크연작선 『기기인 도로』, 『인어의 걸음마』에 「데자뷔」를 수록하는 등의 앤솔로지에 참여했다. 혼자 쓴 책으로 『유미의 연인』, 『악어의 맛』, 『낮은 곳으로 임하소서』가 있다.
SF와 판타지를 쓴다. 사회 문제와 맞닿아 있는 SF를 발표해왔고, 소설 외에도 노동과 젠더가 밀접하게 뒤얽히는 지점들을 파고드는 글을 자주 쓰고 있다. 도시 빈민의 삶을 짊어지고 이십대 내내 시위를 하다 보니 빈곤과 노동에 심하게 집착하는 페미니스트가 되었다. 여러 시공간에서 데모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많이 썼다. 기술이 어떤 인간을 배제하고 또 어떤 인간을 위해 일하는지, 혹은 기술을 통해 배제된 바로 그 인간이 기술을 거꾸로 쥐고 싸울 수 있을지에 대해 관심이 많다. 여성의 경제적 위치를 기준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사람을 늘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주로 과학소설을 쓰지만 무슨 글을 써도 빈곤의 그늘을 떨치지 못해서 서글픈 사람. 환상문학 웹진 거울에 필명 앤윈으로 「종의 기원」과 「성문 너머 코끼리를」 게재하며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아직은 끝이 아니야』, 『이웃집 슈퍼히어로』, 『여성 작가 SF 단편집』, 조선스팀펑크연작선 『기기인 도로』, 『인어의 걸음마』에 「데자뷔」를 수록하는 등의 앤솔로지에 참여했다. 혼자 쓴 책으로 『유미의 연인』, 『악어의 맛』, 『낮은 곳으로 임하소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