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최근의 언론 위기가 과거의 위기와 다른 점은 대안적 매체의 존재 여부에 있다. 과거에는 언론의 왜곡된 모습을 대중은 대부분 잘 모르기도 했다. 설령 알았더라도 삶에 필요한 정보를 구할 대안적 수단이 없었기에 언론을 비판하면서도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언론의 내용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신뢰의 대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기성의 대중 매체가 아니더라도 인터넷이나 SNS 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안적인 수단이 얼마든지 존재한다. 이 대안적인 수단에 의해 기성 대중 매체의 내용이 크로스 체크되면서 사실 여부와 타당성 등이 도마에 오르다 보니 신뢰를 잃고 나아가 비판과 공격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현실의 문제가 긴박할수록 조급하게 단기적 해결책만을 찾을 것이 아니라 뒤를 돌아보고 차분히 정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한국 언론의 위기가 깊을수록, 그 해결의 전망이 불투명할수록 다시 역사를 돌아보면서 그 위기의 근원이 어디서부터 비롯되고 어떻게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는지를 곰곰이 따져 보아야 한다. 이러한 성찰이 바탕이 되어야만 우리는 문제의 근원을 정확하게 진단해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이 책은 한국 언론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통사적으로 서술하였다. 130년 남짓한 역사지만 정치적 격변 속에서 한국의 언론도 부침을 거듭하며 성장, 발전해 왔다. 인류 커뮤니케이션의 역사가 곧 매체의 다양화의 역사이듯이 한국의 언론도 다양한 매체들이 등장하며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오랜 역사를 지닌 매체라 할 수 있는 신문과 방송을 중심으로 서술하려고 한다. 최근에 와서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뉴 미디어가 다양하게 등장하며 이 전통적 매체의 영향력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나 온 역사적 과정에서 이 두 매체야 말로 한국 사회에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두 매체를 중심으로 논의할 때 한국 사회의 주요 변화 속에서 언론의 다양한 측면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1장 서론: 역사 발전과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 테크놀로지
2. 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 정치?경제
1부 개화기의 언론
2장 전근대의 커뮤니케이션
1. 제도적 커뮤니케이션
2. 조선 후기 일반 백성들의 커뮤니케이션
3. 근대 신문 매체의 전래와 소개
3장 근대 신문의 생성
1. 시대적 배경
2. 〈한성순보〉와 〈한성주보〉의 창간과 발행
3. 개화기 일본인의 신문 발행
4장 근대 신문의 정착
1. 시대적 배경
2. 〈독립신문〉의 창간과 운영
3. 민간 신문의 활성화
4. 일제의 언론 통제와 한국 언론의 대응
5. 신문 보급의 확산과 독서 공중의 형성
2부 일제기의 언론
5장 강제 병합과 언론
1. 병합 직후의 언론 상황
2. 3?1 운동과 언론 항쟁
6장 1920년대 초반의 언론
1. 식민 정책의 전환
2. 민간지의 창간
3. 민간지의 운영과 논조
4. 민간지 시대의 신문 독자
7장 1920년대 중반 이후의 언론
1. 〈동아일보〉의 변화
2. 〈조선일보〉의 혁신
3. 기자 운동과 독자의 신문 불매 운동
4. 잡지의 활성화
5. 라디오 방송의 도입
8장 1930년대의 언론
1. 일제의 통제 강화와 민간지의 대응
2. 민간지의 상업적 경쟁
3. 일장기 말소 사건
4. 일제 말기의 친일 언론과 민간지의 폐간
3부 정부 수립 전후의 언론사
9장 미군정기의 언론
1. 해방 직후의 언론 상황
2. 미군정의 언론 정책
3. 미군정기의 신문 독자
4. 미군정기의 방송
5. 한국 언론 구조의 형성
10장 제1공화국의 언론
1. 자유당 정권의 언론 통제
2. 언론계의 대응과 발전
3. 제1공화국의 방송
11장 제2공화국의 언론
1. 4?19 혁명과 언론
2. 제2공화국의 신문
3. 제2공화국의 방송
4부 군부 독재 시대의 언론
12장 박정희 정권기의 언론
1.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과 통제
2. 언론의 대응과 수용자의 비판
3. 방송의 발전
13장 전두환 정권기의 언론
1. 전두환 정권의 언론 정책
2. 언론 통제에 대한 언론의 대응
3. 언론에 대한 수용자의 대응
4. 방송의 발전
5부 제6공화국의 언론
14장 언론 자유의 확대와 언론의 권력화
1. 국가 권력의 언론 통제 감소
2. 언론의 권력화
15장 시장 경쟁 체제의 도래
1. 정기간행물의 창간, 복간 붐
2. 신문의 무한 경쟁
3. 방송계의 변화와 발전
16장 시민 사회와 언론 민주화
1. 언론 노조 운동
2. 시민 언론 운동의 전개
17장 언론 지형의 변화와 미래
1. 한국 언론 역사의 몇 가지 특징
2. 기성 언론의 위기와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