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남자와 여자가 만나 결혼을 하고, 법적인 부부가 되어 임신하고 아이를 낳아 키운다. 그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가족’의 모습이다. 이러한 근대적 핵가족은 구성원을 키우고 돌보는 역할을 도맡으면서 근대 사회의 중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오늘날 이렇게 판에 박힌 가족관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경제위기와 지속적인 저성장으로 개인은 가족을 만들기도 유지하기도 어려워졌다. 결혼 지연과 출산 회피로 급격한 ‘가구 해체’가 진행 중이고, 2030년경에는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가장 일반적인 가구 형태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가족을 이루고 부모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도 예전보다 훨씬 다양한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체외수정과 같은 생식기술의 발전은 유전자를 제공한 엄마, 임신하고 출산한 엄마, 아이를 키우는 엄마가 모두 다른 탄생을 가능하게 했고, 결혼이주를 통해 2개 이상의 국가를 가로지르며 가족을 만들고 아이를 키우는 여성도 흔히 볼 수 있다.
기존 가족관은 물론 가족 그 자체가 해체되는 상황, 그 어느 때보다도 가족이란 무엇인지, 우리 사회가 가족에 무엇을 요구하는지 깊이 고찰할 것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가족’과 ‘부모됨’의 의미를 새롭게 묻는 『경계를 가로질러 가족만들기』와 같은 책이 필요한 이유다.
Contents
서문 지금 이 순간, 한국의 ‘가족’과 ‘부모됨’을 생각한다
제1장 임신 · 출산 거래, 가족의 의미를 묻다 _하정옥
1. 임신과 출산을 사고팝니다
대리모라는 단어가 감추는 불편한 진실
무엇이 엄마 자격을 만드나
출산거래, 전근대와 탈근대의 공존
2. 한국의 임신· 출산 거래의 현황
음성화되는 거래시장
거래 유형과 양상
합법과 불법의 줄타기
3. 부모되기는 생물학적 본능인가
‘불임 인구’, 정말 증가했을까?
아이 출산으로 완성되는 근대 핵가족
정체성과 관계의 재생산으로서의 부모되기
부모됨의 ‘의도’가 본능보다 중요하다
4 규제의 필요와 현실
착취와 호혜의 회색지대
‘자식’만 있고 ‘아이’는 없는 출생 등록
5 당위 논쟁 이전의 현실 연구가 필요하다
제2장 성·본 변경, 부계혈통주의 탈출은 가능할까 _위라겸·배은경
1. 가부장제 가족제도의 변천
호주제 폐지 12년, 무엇이 변했나
성?본 변경 청구를 연구한다
2 가족법의 변천과 어머니의 지위 변화
어머니의 지위, 억압인가 권리인가
한국 가족법과 모계 배제의 역사
호주제 폐지와 친권 제도의 변화
3. 부성주의 원칙, 그 ‘완화된 유지’
위헌법률 심판대에 오른 부성주의
성(姓), 선택의 대상이 되다
부성주의 헌법불합치의 의미와 한계
4. 성·본 변경 판례로 본 부성주의
성을 바꾸면 아버지와 단절된다?
아버지와 자식은 같은 성을 쓴다는 원칙
모성(母姓) 사용에 대한 편견과 낙인
무시되는 당사자 의사
친양자 제도 도입의 양가적 효과
5. 가부장제 가족의 ‘정상성’과 어머니의 지위
제3장 국가 간 입양의 정치경제학 _문경희
1. 국가 간 입양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국가 간 입양을 둘러싼 쟁점들
구원과 납치의 이분법을 넘어서
2. 입양에 내재된 국가 위계
무엇이 입양 송출국을 결정하는가
국가 간 입양이 일어나는 환경
전쟁고아 출현과 국가 간 입양의 확대
‘피터 팬 아동’과 ‘사라진 아동’
아기 판매, 경제적 수단으로서의 입양
3. 인종주의와 가부장제를 재생산하다
이타와 착취의 모호한 경계
부계가족에서 배제되는 입양아동
‘돌봄이 필요한 인종적 타자’ 담론
4. 시장논리에 좌우되는 국가 간 입양
입양의 세계화와 상품화
아동세탁과 블랙마켓
규제는 가능한가
5. 누가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
제4장 결혼이주와 초국적 시대의 시민권 _위라겸
1. 결혼이주, 국민국가의 경계를 묻다
증가하는 아시아 결혼이주
새로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결혼이주여성
2. 공동체 재생산자로서의 자격부여
재생산의 위기와 이주의 여성화
재생산 위기, 국제결혼을 부르다
포함하거나 배제하거나
3. 주체가 된 결혼이주여성
‘더 나은 삶’, ‘좋은 결혼’을 찾아서
가부장적 가족 질서를 벗어나다
초국적 네트워크가 짜여지다
4. 경계를 가로지르는 결혼이주여성의 시민권
이주여성의 목소리로 시민권을 말하다
초국적 시민권은 가능한가
5. 대안적 시민권 개념을 향하여
제5장 글로벌 비즈니스가 된 부모되기: 바이오크로싱과 재생산의 외주화 _조츠나 A. 굽타, 배은경
1. 보조생식기술과 부모되기 가족만들기
2. 글로벌 비즈니스로서의 ‘불임 치료’
3. 재생산의 세계화와 바이오크로싱
4. 보조생식기술 시장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5. 모성과 재생산
모성에 대한 관점과 재생산 기술
여성은 보조생식기술의 주체인가
재생산자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6. 가족만들기 각본의 해체인가, 이기적 부모되기의 씨앗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