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계

$38.88
SKU
979118529444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22
Pages/Weight/Size 188*257*40mm
ISBN 9791185294445
Categories 대학교재 > 공학계열
Description
본 전기기계 제2판은 초판에서 큰 틀에 변화는 없으나 책 전체에 걸쳐 보완이 이루어졌다. 그동안 발견된 오류들을 포함해 모호한 표현들을 수정하였으며 지나치게 긴 설명은 덜어내고 불충분한 설명은 채워 넣었다.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몇몇 예제와 그림이 추가되었다. 그간 최저소비효율기준이 변경되었고 2021년부터 IEC 규정에 준하는 한국전기설비규정 KEC가 시행됨에 따라 관련 사항들을 반영하였다.

2018년 이 책의 초판이 출간된 이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전세계적으로 기후위기가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 위협으로 다가오면서 산업의 패러다임이 대량생산에 기반한 고능률 산업사회에서 친환경 지속가능 산업의 양태로 바뀌는 일대 전환의 시기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전기공학적 표현을 빌자면, 그런대로 안주할 수 있었던 기존의 정상상태에서 벗어나,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고 언제 도달할지 알 수 없는 새로운 정상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과도상태에 막 들어선 셈이라 할 수 있다.

전기기계와 관련된 분야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이용기술은 더욱 확산될 것이고, 전기자동차 산업은 크게 부상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을 탑재한 각종 로봇에 사용될 다양한 특수 형태 기기들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가 클수록 원론적인 이해와 통찰의 깊이가 중요하다. 설레임과 두려움이 공존하는 오늘, 이 책이 이 땅의 전기공학도들이 안개 속의 미래를 헤쳐나가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Contents
1장 자기장과 코일 1
1-1 자기장, 기자력, 자기저항 2
1-2 자성체를 갖는 코일 4
1-3 철심재료의 자화특성 9
1-4 자기회로 15
1-5 전자기적 유도현상 23
1-6 교류전원에서 동작하는 코일 29
1-7 교류에 의해 자화되는 철심의 특성 34
1-8 코일의 교류등가회로 40
연습문제 43
2장 변압기 47
2-1 변압기의 개요 48
2-2 이상적인 변압기의 동작 51
2-3 임피던스 환산 54
2-4 변압기의 등가회로 59
2-5 변압기의 정격과 단위법 65
2-6 변압기의 임피던스 70
2-7 전압변동률 74
2-8 손실과 효율 79
2-9 변압기의 상수측정 83
2-10 변압기의 구조 86
연습문제 95
3장 3상변압기와 특수변압기 99
3-1 변압기의 극성 100
3-2 3상변압기와 3상결선 102
3-3 3상변압기의 등가회로 112
3-4 3상변압기의 여자전류 117
3-5 3상결선의 특성과 용도 123
3-6 병렬운전 130
3-7 특수형태의 3상결선 135
3-8 단권변압기 140
3-9 계측용 변압기 148
3-10 변압기 운전의 고려사항 153
연습문제 159
4장 전기기계적 에너지변환 163
4-1 전기기계적 에너지변환의 기본 동작 164
4-2 기계적 운동과 동력 167
4-3 플레밍의 법칙 175
4-4 전기기계적 에너지변환 동작 179
4-5 회전기의 토크 186
4-6 전기기계의 개요 191
연습문제 199
5장 직류기의 원리와 구조 201
5-1 직류기의 기본 동작 202
5-2 직류기의 구조 207
5-3 전기자권선 214
5-4 유기기전력과 유기토크 228
5-5 직류기의 여자 234
5-6 정류지연과 보극 237
5-7 전기자반작용 242
5-8 직류기의 손실과 정격 245
연습문제 247
6장 직류발전기 249
6-1 직류발전기의 등가회로 250
6-2 타려식 직류발전기 252
6-3 분권 직류발전기 257
6-4 직권 직류발전기 267
6-5 복권 직류발전기 268
6-6 직류발전기의 용도 272
6-7 병렬운전 275
연습문제 280
7장 직류전동기 283
7-1 타려식/분권 직류전동기 284
7-2 직권 직류전동기 290
7-3 복권 직류전동기 295
7-4 직류전동기의 특성과 용도 298
7-5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 302
7-6 직류전동기의 기동 313
7-7 직류전동기의 제동 316
연습문제 322
8장 교류기의 기초 325
8-1 교류기의 코일과 자화특성 326
8-2 회전자계 331
8-3 유기기전력과 자화전류 341
8-4 공극자속과 전기기계적 에너지변환 347
8-5 교류기의 고정자권선 351
연습문제 361
9장 유도전동기 363
9-1 유도전동기의 원리 364
9-2 유도전동기의 구조 367
9-3 유도전동기의 기본 동작 371
9-4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 375
9-5 전력손실과 기계적 출력 383
9-6 전류 및 토크특성 389
9-7 회로정수의 영향과 유도전동기의 종류 402
9-8 유도전동기의 정수측정 410
연습문제 414
10장 유도전동기의 운전과 응용 417
10-1 유도전동기의 명판 418
10-2 전압과 주파수 422
10-3 유도전동기의 효율 432
10-4 역률과 역률보상 438
10-5 유도전동기의 기동 445
10-6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452
10-7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460
10-8 유도발전기 471
10-9 유도전동기의 제동 481
연습문제 484
11장 동기전동기 487
11-1 동기기의 기본 동작 488
11-2 동기기의 구조 493
11-3 동기기의 등가회로 503
11-4 전력과 토크 512
11-5 동기전동기의 운전특성 517
11-6 동기전동기의 정격과 운전한계 527
11-7 돌극형 동기기 534
11-8 기동 및 제동 539
11-9 동기전동기의 적용분야 543
연습문제 546
12장 동기발전기 549
12-1 동기발전기의 종류 550
12-2 동기발전기의 기본 동작과 등가회로 560
12-3 동기발전기의 전력 562
12-4 동기임피던스와 단락비 566
12-5 동기발전기의 단독운전 571
12-6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577
12-7 동기발전기의 정격과 용량 586
12-8 단락과도현상 591
연습문제 596
13장 단상전동기 599
13-1 단상유도전동기의 원리 600
13-2 분상유도전동기 604
13-3 단상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와 토크 614
13-4 지연코일전동기 619
13-5 히스테리시스전동기 621
13-6 교류직권전동기(유니버설전동기) 626
연습문제 631
14장 영구자석전동기와 릴럭턴스전동기 633
14-1 영구자석 634
14-2 영구자석 직류전동기(PMDC) 643
14-3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 648
14-4 브러시리스 직류전동기(BLDC) 664
14-5 동기릴럭턴스전동기(SynRM) 673
14-6 스위치드릴럭턴스전동기(SRM) 677
14-7 스테핑전동기 683
연습문제 695
부록 A 상수 및 물질특성 699
부록 B 단위환산 700
부록 C 절연계급 701
부록 D 단상 및 3상 교류의 기초개념 707
부록 E 3상불평형과 대칭좌표성분 718
부록 F 교류회로의 고조파 725
참고문헌 733
찾아보기 734
Author
정승기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여 공학사, 공학석사,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 이후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에 재직하면서 전력전자와 전기기계를 담당 해 왔으며 전력전자학회 이사 등을 역임 하였다

주 관심분야는 전력변환 이론, 신재생에너지, 전력시스템 고조파 및 무효전력 제어 등으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대한전기학회 및 전력전자학회의 논문상, 춘강학술상, 장영실상,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고등학교전문전기기기”(교육부 1997) 저술에 참여 하였으며 역서로“전력전자공학 변환기 응용 및 설계”(희중당 1997), “전기기기”(사이텍미디어2002), "전기기계"(학산미디어 2018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가 있다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여 공학사, 공학석사,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 이후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에 재직하면서 전력전자와 전기기계를 담당 해 왔으며 전력전자학회 이사 등을 역임 하였다

주 관심분야는 전력변환 이론, 신재생에너지, 전력시스템 고조파 및 무효전력 제어 등으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대한전기학회 및 전력전자학회의 논문상, 춘강학술상, 장영실상,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고등학교전문전기기기”(교육부 1997) 저술에 참여 하였으며 역서로“전력전자공학 변환기 응용 및 설계”(희중당 1997), “전기기기”(사이텍미디어2002), "전기기계"(학산미디어 2018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