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사람 그릇

18년 유배지에서 정약용을 만나다
$15.98
SKU
97911852578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0/25
Pages/Weight/Size 148*210*17mm
ISBN 9791185257860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다산 정약용(1762~1836)에 대해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시각에서 그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 저술하였다. 『다산의 사람 그릇』의 저자 역시 대실학자이며 위대한 사상가인 다산 선생의 사람 그릇과 학문적 위업, 사상과 정신을 독자들에게 오롯이 전달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리하여 118차례 이상 다산초당을 오르내리며 다산과의 나눈 마음속의 대화를 바탕으로, 보고 듣고 학습한 것을 보통사람들이 부담 없이 다산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 책을 집필하였다. 독자들은 이제 어려운 다산의 철학과 사상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18년 동안 유배라는 형벌의 두려움과 공포, 우울한 마음과 생각을 극복하고 다산학이라는 위대한 학문적 결실을 거두었으며 애민과 애정, 위국과 충정으로 가득 찬 그의 사람 그릇을 되돌아보며 현실을 헤쳐갈 수 있는 지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1 18년 유배 생활, 왜 우울증이 없었겠는가
프롤로그 2 유배지 강진, 위대한 축복의 샘터

PART 1 : 금수저의 황금시대

01 뼈대 있는 집안의 금수저로 태어나
02 정조의 다산 총애와 반대파의 시기 질투
03 위대한 분노의 주인공 암행어사 다산
04 백성을 배부르게 하는 길은 3농 정책

PART 02 : 무너지는 건 한순간

01 귀족에서 폐족으로
02 궁궐에서 주막집 골방으로
03 가슴에 못을 박은 아들 농(農)이
04 열사흘 길, 지금은 철마로 2시간
05 주막집 주모의 배려와 사랑

PART 03 : 자연만이 그를 감싸주네

01 항상 그 자리에서
02 자연의 기운을 받으며
03 노래와 시로 자유를 만끽하며
04 역사를 지우는 어리석은 후손들

PART 04 : 사색과 위민의 시간

01 여섯 글자의 비결
02 무죄로 석방한다
03 다산을 생각하며 어떻게 살 것인가
04 사의재 주모에게 깨달음을
05 만능 농사꾼이 따로 있나
06 아름다운 제자, 황상
07 시(詩)는 나라와 백성을 생각해야 시다
08 글벗 친구, 혜장 선사를 만나다

PART 05 : 그리움과 사랑의 속삭임

01 낯 모르는 객이 바로 큰 자식이었네
02 아내 홍씨 치마속의 그리움
03 가슴을 뜨겁게 적시는 형제애
04 아들들아 폐족을 살려라
05 아버지를 개나 염소처럼 여겨도 되느냐
06 하피첩에 담긴 가족사랑
07 중(僧)도 가르친 다산
08 “애절양”을 다시 쓴 제자 사랑

PART 06 : ‘나라다운 나라 백성다운 백성’ 다산의 꿈

01 충신과 효자의 입장에서 원망은 충정
02 감정과 분노 속에서 깨달음
03 조정은 백성의 심장, 조정의 사지는 백성
04 샘솟는 용기
05 220년 전의 공정분배
06 어찌 엉성한 짓이 아니겠는가
07 茶山 조선의 시를 쓰다
08 재물은 미꾸라지다

PART 07 : ‘다산학의 산실’ 다산초당

01 다산초당을 오르며
02 정석(丁石)에 새겨진 다짐
03 다산의 저술 방법론과 교육
04 세상에 이런 책은 또다시 없을 것이다
05 조선사회 개혁서 『경세유표』
06 현대적 형법과 형사소송법 매뉴얼 『흠흠신서』
07 200년 된 백성 위한 공직자 복무 매뉴얼 『목민심서』 2
08 다산의 구슬을 꿰어서 보배로
Author
진규동
전주대학교 졸업, 연세대 행정대학원 사회복지 석사, 숭실대 평생교육학 박사과정을 통하여 최초로 평생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KBS 입사해서 2014년 3월 정년퇴직 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교육훈련매니저, 숭실대학교와 인천대학교 외래교수, ‘한국사회복지시설협회 자문위원, ‘한국성인교육학회’ 이사, ‘한국액션 러닝협회’와 학회 감사, ‘평생교육학 박사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우연한 기회에 평생학습자인 다산 정약용 선생을 강진 유배지에서 만나, 다산을 학습하고 연구하여, 그를 바탕으로 강의하고, 책을 엮으며 ‘다산심부름꾼’으로 일하고 있다. 다산 선생의 유배지 강진 ‘다산박물관’에서 다산교육 전문관으로 2년 동안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9년 8월 ‘평생학습인 다산 정약용의 다산정신에 관한 탐색’이라는 주제로 ‘다산정신’이 뭔가를 ‘다산학’을 기반으로 논문을 최초로 발표하였다.

현재는 ‘다산미래원’ 원장으로 다산 강의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다산의 사람 그릇』,『다산의 평정심 공부』를 출간하였다. 또 ‘다산 TV’ 유튜버와 국민권익위 청렴연수원 청렴소양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전주대학교 졸업, 연세대 행정대학원 사회복지 석사, 숭실대 평생교육학 박사과정을 통하여 최초로 평생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KBS 입사해서 2014년 3월 정년퇴직 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교육훈련매니저, 숭실대학교와 인천대학교 외래교수, ‘한국사회복지시설협회 자문위원, ‘한국성인교육학회’ 이사, ‘한국액션 러닝협회’와 학회 감사, ‘평생교육학 박사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우연한 기회에 평생학습자인 다산 정약용 선생을 강진 유배지에서 만나, 다산을 학습하고 연구하여, 그를 바탕으로 강의하고, 책을 엮으며 ‘다산심부름꾼’으로 일하고 있다. 다산 선생의 유배지 강진 ‘다산박물관’에서 다산교육 전문관으로 2년 동안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9년 8월 ‘평생학습인 다산 정약용의 다산정신에 관한 탐색’이라는 주제로 ‘다산정신’이 뭔가를 ‘다산학’을 기반으로 논문을 최초로 발표하였다.

현재는 ‘다산미래원’ 원장으로 다산 강의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다산의 사람 그릇』,『다산의 평정심 공부』를 출간하였다. 또 ‘다산 TV’ 유튜버와 국민권익위 청렴연수원 청렴소양강사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