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유교지식인의 꿈과 실천

무실(務實), 의리(義理), 성리(性理)
$22.68
SKU
979118513459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6/2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8513459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조선조 유교지식인들의 이상과 실천을 탐구한 것이다. 유교는 오늘날 역사의 골동품으로 별 인기가 없지만, 실은 감추어진 보배다. 대통령, 국회의원, 장관들이 『논어』를 읽고 『대학』을 읽고 『맹자』를 한 번 읽어 본다면 생각이 달라지고 뜻이 달라질 것이다. 조선조의 세자나 임금은 엄청난 제왕학의 교육을 받아야만 했다. 한 나라 지도자로서의 인성과 국가관, 가치관, 도덕관을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나라가 발전하느냐 백성이 잘 사느냐 하는 것은 결국 인간이 하는 것이다. 백성의 수준과 교양도 중요하지만 지도자의 인품과 역량, 의지와 실천은 더욱 중요하다. 그래서 리더십이 중요한 것이다. 우리 역사를 보아도 나라가 발전할 때는 훌륭한 지도자가 있었다. 반대로 나라가 가난하고 백성들이 못살 때는 지도자가 무능하였다. 유교는 본래가 제왕학이요 정치철학이다. 그리고 정치 이전에 먼저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 점에서 성리학은 인간 내면을 철학적으로 성찰하는 학문이다.

유교는 수기치인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경제적 실용과 도덕적 의리를 이상적 가치로 추구한다. 그 바탕에 인간의 심성을 알고 깨닫고 실천하는 성리의 탐구가 요청된다. 이 책은 조선조 유교지식인들의 꿈 즉 무실(務實), 의리(義理), 성리(性理)의 이념적 지향을 탐구하는 동시에, 그들의 관료적 삶에 투영된 유교지식인의 실천적 지성의 발자취를 더듬어 본 것이다. 오늘의 시대적 난국에서 조선조 유교지식인들의 고뇌와 죽음을 각오한 삶은 하나의 처방이 되고 교훈이 될 것이다. 유교는 경제와 도덕의 조화를 이상으로 삼는다. 이 책은 이러한 유교의 철학을 생각하고 실천한 대표적인 유학자들의 이야기를 엮은 것이다.
Contents
이 책을 내면서

제1부 나라와 백성을 위한 무실(務實)

제1장 토정 이지함의 애민의식과 자활복지 실험
제2장 우계학파의 무실학풍
제3장 율곡 이이와 다산 정약용의 우환의식과 경륜
제4장 초려 이유태의 역사의식과 무실(務實)
제5장 봉우 권태훈의 꿈과 실천

제2부 불의와 외세에 맞선 의리(義理)

제1장 취금헌 박팽년 의리정신의 동아시아적 가치
제2장 충암 김정의 도학실천과 개혁사상
제3장 중봉 조헌의 의리와 실학
제4장 우암 송시열의 철학정신

제3부 참된 자아를 향한 성리(性理)탐구

제1장 일재 이항과 고봉 기대승의 교유와 성리탐구
제2장 구봉 송익필의 학문의 숲
제3장 녹문 임성주의 성리학과 그 형제들
제4장 간재 전우의 성리학과 유교전도
제5장 존재 유진하의 의리와 성리
제6장 농산 신득구와 연재 송병선의 성리 논변
Author
황의동
1948년 충남 연기출신으로 대전 보문고,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충남대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청주대 철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충남대 학생지원처장, 대학원장, 유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또 율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제4회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철학연구』(경문사, 1987), 『한국사상』(청주대출판부, 1990),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 1995),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1(성리학편)』(서광사,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2(경세사상편)』(서광사, 1998),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예문서원, 1999), 『유교와 현대의 대화』(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 율곡 이이』(예문서원, 2002),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서광사, 2004), 『우계학파연구』(서광사, 2005), 『율곡 이이』(살림출판사, 2007), 『기대승』(성균관대출판부, 2008), 『기호유학연구』(서광사, 2009), 『한국유학사상연구』(서광사, 2011)가 있다.
1948년 충남 연기출신으로 대전 보문고,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충남대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청주대 철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충남대 학생지원처장, 대학원장, 유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또 율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제4회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철학연구』(경문사, 1987), 『한국사상』(청주대출판부, 1990),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 1995),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1(성리학편)』(서광사,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2(경세사상편)』(서광사, 1998),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예문서원, 1999), 『유교와 현대의 대화』(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 율곡 이이』(예문서원, 2002),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서광사, 2004), 『우계학파연구』(서광사, 2005), 『율곡 이이』(살림출판사, 2007), 『기대승』(성균관대출판부, 2008), 『기호유학연구』(서광사, 2009), 『한국유학사상연구』(서광사, 2011)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