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저자 김창경이 철학박사 학위논문을 수정 보완하여 책으로 낸 저작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조선 중기 율곡 이이, 우계 성혼과 함께 평생토록 학문과 우정을 나눈 유학자 구봉 송익필의 도학사상을 밝히고 있다. 도학사상은 궁리와 수기를 체(體)로 하고, 치인과 수교를 용(用)으로 하는 유학의 체계를 말한다. 또는 성리학을 체로 하고 예학을 용으로 하여 학문 완성과 현실 실천을 하나로 이루고자 하는 유학본래의 내성외왕(內聖外王)의 학문 실천체계를 말한다.
이에 저자는 구봉의 도학체계에서 성리학적 이해를 그의 저서인 <태극문>을 통해 밝히고 있다. 아울러 용이 되는 예학은 조선 최초의 본격적 예학서인 그의 저서 <가례주설>과 <예문답>을 통해 구명하여서, 구봉의 도학체계가 성리학과 예학을 하나로 일관된 도학체계임을 자세히 분석 연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봉의 성리학은 직(直)철학에서 연원하며, 예학은 왕도실천법인 혈구지도(?矩之道)의 원리를 적용하여 풀어내고 있는 점이 독창적이다. 아울러 구봉 도학정신의 근본에는 요순(堯舜)의 도가 자리한다고 보았다.
무엇보다 구봉 송익필이 조선유학사에서 소외되어진 점을 분석하며, 그의 학문적 위상에 대한 재정립과,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요청된다고 주장하는 점에서 주목된다.
Contents
추천의 글
책을 펴내며
제1장 생애와 학문교유
들어가는 글
1. 시대 배경과 생애
1) 16세기의 역사인식
2) 불우한 환경과 유학자의 길
3) 문인(門人)과 교우(交友)관계
2. 삼현수간을 통해 본 학문 교유(交遊)
1) 《삼현수간》과 도의지교의 학문적 의의
2) 《삼현수간》의 구성
3) 《삼현수간》의 내용
3. 구봉우계율곡 삼현(三賢)의 도의지교(道義之交)
1) 구봉 송익필과 율곡 이이의 직교(直交)
2) 구봉 송익필과 우계 성혼의 신교(神交)
3) 후세의 평가와 도학적(道學的) 위상(位相)
제2장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
1. 자연에 대한 이해
1) 우주자연의 궁극적 실재 ‘태극(太極)’
2) ‘하나이면서 둘(一而二) 둘이면서 하나(二而一)’인 이기(理氣)관계
3) 존재의 시작으로서 기화(氣化)와 형화(形化)
2. 인간(人間)에 대한 이해
1) 인간(人間), 천지(天地), 사물(事物)
2) 성인(聖人)과 중인(衆人)
3) 권도(權道)에 대하여
3. 인간심성의 철학적 이해
1) 심(心)성(性)정(情)의(意)에 대한 이해
2) 본원의 성(本原性)과 기질의 성(氣質性)
3) 사단칠정(四端七情)에 대한
‘이기지발(理氣之發)’의 입장
4)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에 대한 소장론(消長論)의 입장
제3장 도학정신(道學精神)과 수기론(修己論)
1. 도학적 삶과 도학정신
1) 역경 속에서의 진유(眞儒)
2) 세도(世道)의 자임(自任)
3) 〈답인설(答人說)〉을 통해 본 도학적 삶
2. 직의 계승과 전승
1) 직(直)의 개념과 공자?맹자?주자의 직(直)
2) 〈김은자직백설〉에 나타난 직(直)사상과 김장생에게의 전승
3) 직(直)의 방법 ‘구용구사(九容九思)’
3. 참된 수양의 길
1) ‘기선악(幾善惡)’
2) 과욕론(寡欲論)
3) 성의론(誠意論)
4) 자족(自足)과 안분(安分)
제4장 송익필의 예학사상(禮學思想)
1. 가례주설(家禮註說)에 나타난 예학정신
1) 〈가례주설(家禮註說)〉의 구성과 유래
2) 〈가례주설(家禮註說)〉의 예학적 의의
3) 〈가례주설〉의 예학적 특성
2. 예문답(禮問答)에 나타난 예학정신
1) 예(禮)의 본질과 〈예문답〉의 유래
2) 송강 정철과의 예문답
3) 우계 성혼과의 예문답
4) 율곡 이이와의 예문답
3. 송익필의 예학적 특성과 위상
1) 혈구지도(?矩之道)의 예학적 적용
2) 예학적 특성
3) 예학사적(禮學史的) 위상
제5장 송익필의 경세사상(經世思想)
1. 현실인식과 개혁론
2. 삼대지치(三代至治)의 이상(理想)
3. 경세(經世)의 구체적 대안
참고문헌
부록 Ⅰ. 연보(年譜)
부록 Ⅱ. 연구 동향과 목록
책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