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사람 누구나 행복을 바란다. 자신의 미래의 행복은 마음이 창조한다. 세존께서는 단순히 ‘즐거운 느낌’만을 행복이라고 말씀하시지 않고 평온한 느낌과 느낌의 소멸까지도 포함하여 총체적으로 ‘괴로움이 없는 상태’를 행복이라고 말씀하셨다. 정신과 물질은 무상하기 때문에 마음을 압박하여 괴로움이고, 무거운 짐을 진 것과 같아서 괴로움이다. 어떻게 해야 마음의 압박을 해소하여 통쾌한 해방의 자유를 얻고, 무거운 짐을 내려놓아 편안하고 즐거우며, 다툼없는 고요하고 평화로운 경지에 이를 것인가.
일상생활에서 자기 몸과 마음을 관찰하여 담마(법)를 보고 연기(緣起)를 꿰뚫어 보았다면 그는 통찰지로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괴로움을 벗어난다. 그는 그 하나의 문제에 관한 한 바른 견해(정견)를 필두로 한 팔정도의 바른 방편으로서 괴로움의 소멸에 이른 것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이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여 괴로움을 벗어나는 지혜와 방편을 설명한다. 만약 일체의 문제에 대한 근원적인 연기를 완전히 꿰뚫어 본다면 그는 취착이 없는 완전한 열반에 이를 것이다. 이 책은 초심불자를 위한 이해하기 쉬운 인과의 주제로부터 오랜 세월 수행해온 구참 수행자를 위한 심도 있는 수행법문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통찰력으로 난해한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주신 담마 나가라(法城) 스님, 여러 도반 스님들, 보명 불자님, 멀리 일본의 자명 불자님, 법해 거사님 기타 여러 불자님들께 감사드린다.
Contents
제1편 믿음, 발심(信)
1.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도인가 27
2. 자신의 미래는 마음이 창조한다 29
3. 선은 생명의 기운이고, 악은 죽음의 기운이다 31
가. 생명의 특징과 죽음의 특징 31
나. 선한 마음과 불선한 마음의 특징 32
4. 인과법문 34
가. 인과응보 34
나. 업의 종류 35
다. 임종과 후생 37
5. 남의 말과 행동은 내 마음의 거울이다 39
6. 공덕을 짓는 데 게으른 사람 44
7. 마음의 밭을 갈고 씨앗을 뿌려라 53
8. 악업의 과보와 선업의 과보 58
가. 악업의 과보 58
나. 선업의 과보 65
다. 천상세계에 태어나는 5가지 선업 68
9. 큰 과보를 가져오는 청정한 보시 69
가. 열네 가지 개인에 대한 보시 70
나. 일곱 가지 승가에 대한 보시 72
다. 네 가지 보시의 청정 73
10. 재물이 없이 남에게 보시하는 법 78
가. 눈으로 베푸는 보시 78
나. 얼굴로 베푸는 보시 78
다. 말로 베푸는 보시 78
라. 몸으로 베푸는 보시 79
마. 마음으로 베푸는 보시 79
바. 좌석으로 베푸는 보시 79
사. 방과 집으로 베푸는 보시 79
11. 사람으로 태어나기 어렵다 81
12. 사람이 태어나는 원리 86
13. 육재일과 팔재계 88
가. 육재일(六齋日) 88
나. 팔재계(八齋戒) 91
14. 임종시의 마음자세와 도솔천왕생 97
가. 임종의 마음자세 100
나. 임종시 가족들의 주의사항 101
다. 도솔천왕생의 서원 101
라. 도솔천 왕생의 공덕 8가지 103
15. 감각적 욕망의 괴로움 106
가. 감각적 욕망 106
나. 괴로움의 4가지 뜻 108
다. 감각적 욕망의 4가지 괴로움 109
16. 찾고 구해야 할 내면의 즐거움 111
가. 외적인 즐거움 111
나. 내면의 즐거움 112
17. 숙명론, 창조론, 허무주의 116
가. 숙명론(運命論) 117
나. 창조론(創造論) 117
다. 허무주의(虛無主義) 118
18. 정법과 사이비의 판단기준 120
가. 정법(正法) 120
나. 사이비(似而非) 121
1. 더없이 행복한 하룻밤의 게송 177
2. 쉬는 것이 수행이다 184
가. 갈애를 쉬어라 184
나. 생각을 쉬어라 184
다. 의도를 쉬어라 185
3. 선근(善根)을 보호하라 193
가. 여덟 가지 선근 193
나. 선근의 보호 195
4. 번뇌를 끊는 7가지 방편 199
가. 봄으로써 없애야 할 번뇌들 199
나. 단속함으로써 없애야 할 번뇌들 201
다. 수용함으로써 없애야 할 번뇌들 203
라. 참고 견딤으로써 없애야 할 번뇌들 204
마. 피함으로써 없애야 할 번뇌들 206
바. 버림으로써 없애야 할 번뇌들 206
사. 닦음으로써 없애야 할 번뇌들 207
5. 번뇌에 대한 바른 이해 210
가. 열네 가지 번뇌의 종류 210
나. 번뇌를 꿰뚫어 보고 제거하라 211
다. 번뇌의 네 가지 층 212
라. 번뇌를 제거하는 과정 213
6. 14가지 번뇌를 다스리는 법 217
가. 무명의 부류에 속하는 4가지 번뇌와 다스리는 법 217
나. 탐욕의 부류에 속하는 3가지 번뇌와 다스리는 법 217
다. 성냄의 부류에 속하는 4가지 번뇌와 다스리는 법 218
라. 기타 3가지 번뇌와 다스리는 법 218
7. 여섯 가지 기질과 명상주제 220
가. 탐욕의 기질 220
나. 성냄의 기질 220
다. 어리석음의 기질 220
라. 믿는 기질 221
마. 지적인 기질 221
바. 사색하는 기질 222
8. 바른 말의 수행 223
가. 거짓말을 삼가는 것 223
나. 이간질을 삼가는 것 224
다. 추악한 말을 삼가는 것 224
라. 쓸데없는 말을 삼가는 것 225
9. 한거(閑居) 226
가. 홀로 머뭄 226
나. 일없음 228
다. 명상 229
10. 묵언수행 230
가. 말의 문제점 230
나. 묵언(默言) 230
다. 말 알아차리기 231
11. 원숭이 경의 교훈 232
12. 여섯 동물 비유경의 교훈 237
13. 때를 알고 행동하라 239
가. 조건의 성숙 239
나. 농사의 비유 240
다. 때를 알아 행동하라 242
라. 때에 맞게 가르치라 244
14. 부정관, 음욕을 다스리는 법 247
가. 부정관(不淨觀) 247
나. 보호관 249
다. 육근의 단속 250
라. 땀흘리기 251
15. 화가 날 때 다스리는 법 252
가. 성냄의 나쁜 점 252
나. 성냄 빨리 알아차리고 내려놓기 253
다. 법의 기쁨 일으키기 254
라. 인욕하고 괴로움을 감수하기 257
마. 조급함 버리기 260
바. 자애와 연민 261
16. 간략한 호흡명상법 263
17. 사무량심 명상법 265
가. 사무량심의 의미 265
나. 사무량심의 열한 가지 이익 266
다. 사무량심의 큰 복덕 267
라. 니까야의 사무량심을 통한 해탈 268
마. 청정도론의 사무량심 명상법 272
18. 마음의 수행과 지혜의 수행은 다르다 277
가. 번뇌의 2가지 종류 278
나. 마음의 수행법의 2가지 종류 278
다. 지혜의 수행법의 3가지 종류 280
19. 위빳사나 명상법 283
20. 일심정진 287
가. 일심 287
나. 용맹정진과 깨달음 287
다. 망상과 탐욕의 제거 292
21. 악연(惡緣)을 푸는 방법 294
가. 용서를 빌기 294
나. 악연을 피하지 않고 당당히 마주하기 294
다. 참고 이겨내기 295
라. 과거의 악연으로부터 벗어나기 295
22. 수행과 마장 297
23. 인욕바라밀 300
가. 욕설과 험담을 하면 302
나. 손찌검을 하면 302
다. 흙덩이를 던지면 302
라. 몽둥이로 때리면 303
마. 칼로 베면 303
바. 칼로 목숨을 빼앗으면 304
24. 강한 의지조건과 수행 307
가. 기후 307
나. 음식물 308
다. 사람 309
라. 처소 310
25. 재가수행지침 314
가. 재가수행과 출가수행의 차이 314
나. 선업공덕을 부지런히 지어라 314
다. 재가수행의 장점과 업장소멸 315
라. 바로 지금, 여기서 수행하라 316
26. 병들었을 때의 수행 318
가. 몸의 감촉에 대한 바른 관찰 318
나. 병고의 장점 320
다. 죽음의 공포로 발심하여 깨달음을 얻다 321
제4편 문제 해결, 체험(證)
1. 수행의 결실, 문제 해결 능력 327
가. 수행의 결실 327
나. 문제 해결 능력 328
2. 인간사의 갈등과 문제 해결 333
가. 존중과 사랑 333
나. 갈등의 원인과 해소 334
다. 심리치료 334
3. 자기 자신에게 의지하라 338
4. 언제나 어디서나 주인이 되라 344
5. 생각을 바꿔서 괴로움에서 벗어난 이야기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