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 피부의 흑인, 100kg의 뚱뚱한 몸매, 사생아로 태어나 계부 밑에서 자라며 지독히도 가난했던 어린 시절, 아홉 살에 사촌 오빠로부터 강간, 계속되던 친척들의 학대, 열네 살에 미혼모가 되고 2주 후 그 아이의 죽음……. 희망이라곤 전혀 보이지 않은 불행한 삶을 산 여자. 하지만 이 여자는 자산 28억 달러의 갑부, 토크쇼의 여왕, 『보그』지의 패션모델, 영화배우, 영화와 TV 프로그램 제작은 물론 출판과 인터넷 사업까지 망라해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하포 엔터테인먼트 그룹’의 대표. 『타임』지 선정 ‘20세기의 인물’, 『포춘』지 선정 ‘최고의 비즈니스 우먼’, 『인콰이어러』 지 선정 ‘세계 10대 여성’, 『월스트리트저널』선정 ‘존경하는 인물’ 3위, UN이 선정한 ‘올해의 지도자상’, 미 인권상 ‘올해의 자유상’ 수상……. 화려한 삶을 사는 여자이기도 하다.
미국의 유명 토크쇼 ‘오프라 윈프리 쇼’의 진행자인 그녀는 단순히 인기 있는 방송인이 아니다. 살아있는 성공 신화이자 미국, 아니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문화 아이콘이며 종교나 마찬가지로 인식되는 인물이다. 더욱이 그녀는 이전에도, 이후에도 없을 독특한 스타일의 토크쇼 진행자다. 그녀는 자신이 겪어온 가난과 아픔을 털어놓음으로써 시청자들과 공감대를 형성한다. 무엇보다 오프라는 자신의 쇼를 통해 인생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중요한 가치를 선물한다. 상처와 고통을 받은 영혼에게 치유의 기쁨과 희망을 선사하는 것이다.
오프라 윈프리에 관한 책은 많이 나와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오프라 윈프리를 사회?문화적으로 접근한 최초의 시도다. 이 책은 그녀가 독특하면서도 복잡한, 한 마디로 기존의 모든 경계를 허물어뜨린 인물이란 관점에서 접근한다. 저자는 ‘오프라 윈프리 쇼’를 꾸준히 시청하면서 100여 개의 프로그램 대본, 오프라 윈프리의 전기와 잡지기사, 오프라가 발행하는 잡지 『오 매거진』, 오프라 윈프리 북클럽이 선정한 책들, 오프라 윈프리 쇼에서 소개된 책들, 오프라 윈프리 쇼 웹사이트에 올라온 수백 개의 게시물을 분석함으로써, 소외된 사람들을 중심에 세워 그들과 세상을 치유하고 있음을 낱낱이 밝혀낸다.
Contents
옮긴이의 글∥오프라 윈프리, 자신의 고통으로 세상을 치유하다!
감사의 글
프롤로그, 오프라 현상으로 윈프리를 읽다
문화적 코드로 읽는 ‘오프라 윈프리 쇼’/ 세 가지 눈으로 오프라 현상을 바라보다/ 텍스트를 뛰어넘는 오프라 윈프리 읽기/ 오프라 윈프리가 갖는 상징의 힘
제1장 특별함과 평범함의 경계를 허물다
오프라 윈프리를 이해하는 열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정체성/ 흑인의 유산, 역경을 이겨내는 불굴의 의지/ 소명의식의 뿌리, 흑인 교회/ 생물학적 관계로 강요되어서는 안 되는 가족관계/ 가족폭력/ 사회적 경계를 넘어/ 고백함으로써 자유를 얻다/ 텔레비전의 치유력/ 다이어트를 하는 여자, 카리스마를 지닌 리더
제2장 상처로 승화시킨 삶의 가치를 선물하다
새로운 충격, 뚱뚱한 흑인 여성의 토크쇼/ 특별한 이야기가 이슈를 이기다/ 사회자와 게스트 사이의 경계를 허물다/ 눈물과 포옹으로 시청자를 배려하다/ 출연자에게 출연료를 주지 않고 삶의 가치를 선물하다/ 일상의 신비로운 매력/ 평범한 일상을 부각시키다/ 상처받은 자아에서 의미를 찾다/ 일상을 뒤틀어버리다/ 청중의 감정을 숨김없이 폭발시키다
제3장 연민으로 카타르시스의 미학을 꽃피우다
고통받는 사람들의 공통적 코드/ ‘실패’라는 질병을 이겨내는 힘/ 슬픔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연민으로 기록한 삶의 보관소/ 북클럽―오프라 현상의 또 다른 뿌리/ 슬픔과 고통이 피어낸 꽃
제4장 변화로의 의지가 당신의 삶을 치료한다
변화―삶을 위한 끊을 수 없는 갈증/ 토크쇼―변화의 촉매/ 변화를 위한 몇 가지 방법들/ 스스로 변화를 찾아내게 하다/ 삶을 변화시키려는 의지/ 거울요법/ 자기계발을 위한 하이퍼링크/ 오프라 윈프리, 자아를 치유하다/ 오프라 제국의 영향력
제5장 고통받는 사람들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투영하다
고통의 치료제를 온 세상에 퍼뜨리다/ 쇼로 인생을 변화시키다/ 고통받는 사람들의 공동체/
제6장 오프라 윈프리의 힘은 어디에서 출발하는가
아프리카계 미국 문화의 뿌리/ 아프리카계 여성들의 뼈아픈 고통/ 희생당한 집단의 일상/ 희생의 삶을 뛰어넘어/ ‘흑인’이라는 이름의 고통/ 심리적 방황과 다르지 않는 야만적 폭력/ 오프라 윈프리의 자기계발정신이 바꾼 문화/ 세상을 바꾸는 또 다른 힘
제7장 오프라를 제대로 비판하라
불순한 비판을 향하여/ 오프라의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비판
에필로그, 보통 사람들을 위한 치유의 텔레비전
Author
에바 일루즈,강주헌
파리 EHESS(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연구를 지도하는 한편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감정의 상품화와 이른바 ‘감정 자본주의’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감정 자본주의』, 『사랑은 왜 아픈가』 등의 주요 저작이 세계 여러 나라말로 번역되었다.
파리 EHESS(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연구를 지도하는 한편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감정의 상품화와 이른바 ‘감정 자본주의’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감정 자본주의』, 『사랑은 왜 아픈가』 등의 주요 저작이 세계 여러 나라말로 번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