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시절 갑작스레 아프거나 다쳤을 때 반드시 다녀오는 공간이 있다. 그 공간은 몸과 마음의 상처를 모두 감싸주는 보건교사의 따스한 손길이 깃든 ‘보건실’이라 불린다. 보건실은 누구나 한 번쯤은 방문하지만 어떤 공간인지, 그 공간을 꾸리는 보건교사는 어떤 역량을 갖추었는지 등 세밀한 내용을 알지 못한다.
『나 홀로 근무하는 평범한 보건교사입니다』는 현직 보건교사가 이야기하는 보건실의 기능, 보건교사의 역할과 정의, 보건실 운영에 대한 A to Z를 아낌없이 전하는 지침서다. 저자가 지금까지 수없이 본 응급처치 매뉴얼, 학생건강증진 정책 방향 등 각종 가이드의 알짜배기 정보만 담아낸 만큼 초보 보건교사, 예비 보건교사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익숙하고도 낯선 보건실과 보건교사에 대해 알고 싶은가? 초보·예비 보건교사로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당신에겐 『나 홀로 근무하는 평범한 보건교사입니다』가 제격이다. 베테랑 보건교사만이 건넬 수 있는 보건실 운영에 필요한 모든 이야기는 당신에게 분명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왜, 어떻게 이 책을 쓰게 되었나?
1장. 보건실 운영에 대한 평범한 보건교사의 고민
1. 학교 보건실 기능과 그 안에 보건교사의 역할 고민
2. 보건실을 방문한 학생 1명을 간호하는 시간에 대한 고민?
3. ‘10분 고객 만족’을 위한 보건실 운영 고민
4. ‘10분 고객 만족’을 위한 보건실 운영을 적용하고 난 후
2장. 평범한 보건실 ‘학생과의 이야기’
1. “선생님, 논리 왕이에요?”: 반복적으로 두통을 호소하는 학생과의 이야기
2. “새 학기 시작 후 3달 동안 보건실 84회 방문?”: 보건실 단골 지도 방안 고민 이야기
3. “운동장 함께 걸어요”: 반복적으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학생과의 이야기
4. “배가 너무 아파요!”: 보건실 바닥에 누워 데굴데굴 구르는 학생과의 이야기
5. “선생님, 토할 것 같아요”: 독감 증상 이야기
6. “내 소중한 친구가 아파요”: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소소한 행복 이야기
7. 심폐소생술 수업, 일곱 가지 질문 이야기
3장. 평범한 보건실 ‘학부모님과의 이야기’
1. 보건실 문 30분 일찍 열어주세요
2. 시력검사 오차 범위가 왜 이렇게 넓어요?
3. 이지덤 이상한 데 붙여 주셨네요?
4. 이건 화상이에요! 찰과상이 아니에요!
4장. ‘보건 업무 도움방’에서 공유되는 보건실 이모저모
1. 눈을 감으면 거미줄이 보여요!
2. 외로워서 자꾸 찾아오는 학생 이야기
3. 보건실은 만물상?
4. 학부모에게 하는 보건실 이용 안내?
5. 보건교사도 출장과 조퇴가 필요해
6. 두통이 아니라 모야모야병이었다니!
7. 성장판 손상, 학부모와 어떻게 소통해야 하나요?
5장. ‘보건 업무 도움방’에서 보는 보건실 이용자 지도, 알짜배기 노하우!
1. 가벼운 두통, 복통, 인후통은 어떻게?
2. 머리를 다쳤어요!
3. 뇌출혈의 경고! ‘심한 두통’
4. ‘어지럽다’ 증상의 숨은 의미 찾기!
5. 가슴이 아픈 건, 심장 문제일까?
6. 과호흡 시, 종이봉투 호흡이 도움이 될까?
7. 먹지 말아야 할 걸 먹었어요!
8. 코피야, 멈춰라!
9. 손가락도 소중해요
10. 상처 관리도 쉽지 않다
11. 화상을 입어 물집이 생겨버렸어요!
12. 눈이 이상해요!
13. 피부가 이상해요!
14. 입안과 치아에 문제가 생겼어요!
15. 남학생 생식기 통증, 어떻게 해야 해요?
6장. 학교 감염병 대응 방안과 관련된 이야기
1. 격리권고와 등교중지?: 격리권고와 등교중지는 다르다
2. 등교중지 기간은 보건교사가 판단한다!
3. 등교중지와 출석 인정?: 등교중지와 출석 인정은 구분된다
4. 방학 중에 감염병이 발생했다고 해요!
5. 감염병 완치 후, 뒤늦은 발견
6. 등교중지, 어떻게 처리해요?: 교직원과 학생의 등교중지 사항
7. ‘잠복 결핵’은 ‘활동성 결핵’이 아니에요
8. 폐렴은 등교중지가 되나요?
9. 대상포진도 수두처럼 등교중지를 해야 하나요?
에필로그
Author
평범한 보건교사
저자는 초등학교에서 유일한 의료인으로서, 학생들의 건강과 안녕을 돌보는 역할을 담당해 왔습니다. 보건실 운영자로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그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전국보건교사노조의 제주 지역 지부장으로 활동하며, 보건교사들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전국보건교사노조의 교육연수실장이자 부위원장으로서, 보건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신규 보건교사들과 기간제 보건교사들을 위한 멘토로서, 그들의 보건 업무에 대한 도움과 조언을 제공하는 ‘보건 업무 도움방’ 운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나 홀로 근무하는 평범한 보건교사입니다』가 있습니다.
저자는 초등학교에서 유일한 의료인으로서, 학생들의 건강과 안녕을 돌보는 역할을 담당해 왔습니다. 보건실 운영자로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그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전국보건교사노조의 제주 지역 지부장으로 활동하며, 보건교사들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전국보건교사노조의 교육연수실장이자 부위원장으로서, 보건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신규 보건교사들과 기간제 보건교사들을 위한 멘토로서, 그들의 보건 업무에 대한 도움과 조언을 제공하는 ‘보건 업무 도움방’ 운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나 홀로 근무하는 평범한 보건교사입니다』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