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한 번쯤 무언가를 찾으러 부엌에 갔다가 “내가 뭘 찾고 있었지?”하며 머리를 긁적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소득 없이 다시 방으로 돌아왔을 때 불현듯 찾으려 했던 물건이 기억나지 않았는가? 『기억한다는 착각』은 오랫동안 우리가 믿어왔던 기억에 대한 고정관념을 정면으로 뒤집으며, 기억의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흔히 우리는 기억을 잊어버린다는 사실에 좌절하고 스스로를 탓하지만, 25년 넘게 기억의 작동 방식을 연구해온 이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저자 차란 란가나스는 “곧이곧대로 기억하는 것은 놀라울 정도로 중요하지 않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왜 자꾸 잊어버리는가?”라는 질문 대신 “우리는 왜 기억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독자를 기억의 놀라운 세계로 안내한다.
* 사건의 경계선-우리는 왜 방금 전 일을 잊어버릴까?
* 기억의 도식-우리는 왜 익숙한 패턴을 따를까?
* 정향 반응과 정보 격차-우리는 왜 호기심이 생길까?
* 긍정 편향과 회고 절정-우리는 왜 젊은 시절을 자주 떠올릴까?
* 부정성 편향과 푸시폴 효과-우리는 왜 가짜 뉴스에 취약할까?
* PTSD와 트라우마-어떤 기억은 왜 잊히지 않고 계속 떠오를까?
Contents
들어가는 말: 기억하는 자아와의 만남
1부 기억의 기본원리
1 내 정신은 어디에 있는가?
우리가 어떤 것은 기억하고 어떤 것은 잊어버리는 이유
2 시간과 공간의 여행자
기억이 과거의 장소와 시간으로 우리를 어떻게 데려가는가
3 정리, 재사용, 재활용
덜 기억함으로써 더 기억하게 되는 이유
2부 보이지 않는 힘
4 그냥 상상일 뿐
기억과 상상이 뗄 수 없게 연결되어 있는 이유
5 느낌 그 이상
기억에 대한 느낌과 기억이 서로 다른 이유
6 주위엔 온통 친숙한 얼굴들
기억하지 못하는데도 학습하는 이유
7 돌아서서 낯선 것과 마주하기
예상치 못한 새로운 것으로 기억이 우리를 이끄는 과정
3부 함의
8 재생 버튼과 녹화 버튼을 누르시오
기억을 떠올리는 행위가 기억을 어떻게 바꿔놓는가
9 약간의 고통, 더 많은 소득
실수를 저지를 때 더 많이 배우는 이유
10 함께 기억할 때
인간관계를 통해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
코다: 역동적인 기억
감사의 말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차란 란가나스,김승욱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 심리학 및 신경과학 교수 겸 캘리포니아대학 다이내믹메모리랩의 소장.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를 졸업하고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후, 임상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로 과거의 사건을 기억하게 해주는 뇌의 구조와 원리 연구에 25년 이상 매진해왔다.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뇌 영상 기술을 이용해 기억이 어떻게 감정, 스트레스, 호기심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과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 간질, 뇌졸중, 알츠하이머와 같은 장애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뛰어난 역량을 지닌 학자에게 수여되는 구겐하임 펠로십과 버니바 부시 패컬티 펠로십을 수상했으며, 기억장애연구협회가 주는 레어드 서막상, 인지신경과학학회의 젊은 연구자상, 사무엘 서튼상을 받았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 심리학 및 신경과학 교수 겸 캘리포니아대학 다이내믹메모리랩의 소장.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를 졸업하고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후, 임상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로 과거의 사건을 기억하게 해주는 뇌의 구조와 원리 연구에 25년 이상 매진해왔다.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뇌 영상 기술을 이용해 기억이 어떻게 감정, 스트레스, 호기심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과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 간질, 뇌졸중, 알츠하이머와 같은 장애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뛰어난 역량을 지닌 학자에게 수여되는 구겐하임 펠로십과 버니바 부시 패컬티 펠로십을 수상했으며, 기억장애연구협회가 주는 레어드 서막상, 인지신경과학학회의 젊은 연구자상, 사무엘 서튼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