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ing soon

핀드혼을 만난 토트네스 (큰글자도서)

$54.00
SKU
9791173183492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주문 가능 여부를 확인 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COMING SOON [판매 예정] 상품입니다.

[판매 예정] 상품은 출간일(Publication Date)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 출간일 이후에도 아직 [판매 예정]으로 보이는 경우 info@kbookstore.com 으로 문의주세요.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30
Pages/Weight/Size 200*283*34mm
ISBN 979117318349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지구를 살리는 생태적 삶터, 에코빌리지와 트랜지션 타운
Contents
추천의 글
프롤로그 _ 모두를 위한 삶의 지혜를 찾아서

1부 삶을 녹인 생태적 디자인, 핀드혼

그들의 지속가능성
길 끝에 선 에코빌리지, 핀드혼
퍼머컬처로 읽는 핀드혼
영적 기적을 만든 사람, 에일린 캐디(Eileen Caddy)
생태 지성의 확장, GEN
에코빌리지의 지구 메신저, 힐더 잭슨(Hildur Jackson)

2부 트랜지션 타운, 킨세일과 토트네스

트랜지션 타운의 발아, 킨세일
지속가능성을 위한 홀리스 센터, 토마스 리드뮬러(Thomas Riedmulla)
트랜지션 타운, 토트네스의 단편
토트네스, 트랜지션 타운의 등장
로컬다운 도전, 로컬 머니
저탄소 커뮤니티 챌린지
로컬 푸드의 열쇠, 푸드존
로컬 투자를 이끌다, 리코노미 센터(Reconomy Center)
일곱 가지 가이드와 버츠(buts)
토트네스 전환 행동(Transition in Action, EDAP)
지원조직, TTT(Transition Town Totnes)
삶의 미학 배움터, 슈마허 칼리지
트랜지션 타운의 전도사, 롭 홉킨스(Rob Hopkins)
토트네스, 생태적 재지역화
또 다른 트랜지션, 레트로 서버비아(Retro Suburbia)

3부 지구 곳곳의 에코빌리지

에코빌리지의 전사, 사회실험실 의도적 공동체
자유의 아나키, 크리스티아니아
열린 만큼 자유롭고 자유로운 만큼 열려 있다, 오로빌공동체
사람에게 이르는 길, 에콜로니
수줍은 소년·소녀의 마음, 클라우조던 에코빌리지(Cloughjordan Eco-village)
존 레넌의 이매진을 만나다, 애즈원 공동체
자본을 넘어선 협동사회, 로치데일
적정 기술의 학습장, CAT
싱크 로컬, 브리스톨
협동조합 가치를 실현한 도시공동체, 램버스
램버스의 큰 실험, 트랜지션 타운 브릭스턴(Brixton)

에필로그 _ 지금 우리는 무엇을 묻고 답하고 있나
참고문헌
Author
김성균
박사, 공간사회학자. 지역사회개발, 지역개발, 도시계획을 공부하고 생태공동체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생태공동체를 시작으로 커뮤니티, 마을공동체, 지역정치, 도시재생, 사회적경제, 아나키즘, 에코뮤지엄을 주제로 연구하는 활동가의 삶을 살았다. 주어진 주제는 늘 현장과 부딪치며 그곳의 삶의 이야기를 담으려고 노력했다. 지역개발이 갖는 학문적 한계를 넘어서고자 생태철학을 시작으로 서양철학을 비롯하여 공간과 사회를 관통하는 학문의 근원을 찾아 현장 중심연구를 오늘도 하고 있다. 그는 협동조합 커뮤니티플랫폼 이유에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에코뮤지엄: 지붕 없는 박물관≫(2022), ≪더불어 피는 마을 꽃 논골≫(2018), ≪한국, 한국인을 말하다≫(2017, 공저),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2015, 공저), ≪분명한 전환≫(2015), ≪지리산에 길을 묻다≫(2014, 공저), ≪녹색당과 녹색정치≫(2013, 공저), ≪만안의 기억≫(2013, 공저), ≪지금, 여기의 아나키스트≫(2013, 공저), ≪똥이 밥이다≫(2012, 공저),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2011, 공저) 등이 있다.
박사, 공간사회학자. 지역사회개발, 지역개발, 도시계획을 공부하고 생태공동체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생태공동체를 시작으로 커뮤니티, 마을공동체, 지역정치, 도시재생, 사회적경제, 아나키즘, 에코뮤지엄을 주제로 연구하는 활동가의 삶을 살았다. 주어진 주제는 늘 현장과 부딪치며 그곳의 삶의 이야기를 담으려고 노력했다. 지역개발이 갖는 학문적 한계를 넘어서고자 생태철학을 시작으로 서양철학을 비롯하여 공간과 사회를 관통하는 학문의 근원을 찾아 현장 중심연구를 오늘도 하고 있다. 그는 협동조합 커뮤니티플랫폼 이유에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에코뮤지엄: 지붕 없는 박물관≫(2022), ≪더불어 피는 마을 꽃 논골≫(2018), ≪한국, 한국인을 말하다≫(2017, 공저),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2015, 공저), ≪분명한 전환≫(2015), ≪지리산에 길을 묻다≫(2014, 공저), ≪녹색당과 녹색정치≫(2013, 공저), ≪만안의 기억≫(2013, 공저), ≪지금, 여기의 아나키스트≫(2013, 공저), ≪똥이 밥이다≫(2012, 공저),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2011, 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