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용신 성명학 원론

$56.70
SKU
979117318269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Mon 04/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0 - Mon 04/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10
Pages/Weight/Size 188*257*27mm
ISBN 9791173182693
Categories 인문 > 명리/주역/풍수
Description
· 명리이론 연구(음양·오행·십성·합충)
· 성명학적 용신론
· 용신에 의한 한글 모·자음 오행 성명학
· 용신에 의한 한자 자원오행 성명학
· 작명현장 성명이론의 비판과 대안

개운(開運, 운명 개척)에 관한 명리학의 핵심 이론은 용신론(用神)이다. 용신 성명학은 명리학의 용신론에 따라 사주 용신을 도출하고 세종 『훈민정음해례』의 모·자음 오행과 한자의 어원·사상이 담긴 자원오행(字源五行)을 활용하여 성명에서 용신이 강하게 작명하는 학술적 이론체계이다. 본서를 통해 명리·성명학에 근거한 작명을 원하는 현대인의 기층(基層)적이고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최적의 성명 이론인 '용신성명학'의 학술체계를 구현하고자 한다.
Contents
저자의 말
추천사

I.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선행연구의 검토
3. 연구 범위와 방법

II. 명리학 용신의 기초이론

1. 음양오행과 간지(干支)론
2. 사주 십성(十星)론
3. 합충(合沖)이론

III. 성명학적 용신론

1. 내격(內格)의 용신
2. 격국(格局)에 의한 용신
3. 내격사주의 성명학적 용신 고찰
4. 종격(從格)사주의 용신
5. 용신의 개운(開運) 활용

IV. 한글 순음·후음의 성명학적 고찰

1. 한글 순음·후음의 오행 배속 고찰
2. 『훈민정음해례』의 자음오행 배속 원리
3. 『훈민정음운해』의 자음오행 배속
4. 순음·후음의 한글 오행
5. 한글 자형(字形)오행의 도입 필요성

V. 한글 오행과 한글 성명학의 난제

1. 훈민정음의 자음오행
2. 훈민정음의 모음오행
3. 한글 오행 성명학의 난제에 대한 해결적 고찰

VI. 용신을 적용한 한글 모·자음오행 성명학

1. 초성 배열법의 국어학적 관점과 비판
2. 용신·초·중·종성을 모두 반영하는 한글 성명학
3. 한글 모자음(母字音) 오행의 수량화 예시
4. 한글 모자음(母字音) 오행 수량화의 적용
5. 용신에 의한 한글 모·자음오행 성명학의 적용

VII. 용신에 의한 한자 자원오행 성명학

1. 성명 한자 일반론
2. 한자 자원오행 이론
3. 한자 자원오행의 심층 고찰
4. 한국 성씨 한자(姓氏漢字)의 자원오행(字源五行)
5. 인명 한자 214 부수의 자원오행
6. 현행 자원오행 성명학 문제점의 해결적 고찰
7. 용신을 적용하는 자원오행 성명학
8. 용신 성명학 한자 부문의 십성과 명의(名義)
9. 인명 상용(常用)한자의 본의(本義)

VIII. 용신 성명학의 작명

1. 용신 성명학 작명의 5단계
2. 용신 성명학 작명의 실례
3. 용신 성명학의 과제

IX. 여타 성명 이론의 학술적 비판과 대안

1. 소리·획수·십성을 종합한 성명 이론
2. 한자 획수 성명 이론
3. 작명 앱의 성명 이론

X. 성명 일반론

1. 성명학 고유의 정체성
2. 개명 효과

XI. 결론(結論)

1. 연구 요약
2. 성명학의 과제

참고문헌
Author
이재승
현 한국 열린사이버대학교 통합치유학과 교수
중앙대학교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철학 박사(명리·성명학 전공 학술박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박사학위논문 심사위원(2019∼2021)
한국 연구재단(K.C.I.) 등재학술지 『인문사회 21』 학술이사
학술저널 인문사회콘텐츠학회 부회장
한국연구재단(K.C.I.) 등재지 『인문사회과학연구』 편집위원
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선임 연구원
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책임 연구원
한국 명리·성명학회 학술이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총장 학술상(2019)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아시아문화학술원 공동 개최
2019년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2019)
『인문사회 21』 아시아문화 학술대상 2회(2019, 2022)
인문사회컨텐츠학회 하계 학술대회 우수논문상(2023)
아시아 문화 학술원 우수 편집 위원상(2023)
이태원 교수 사주 성명학 연구원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논문 및 저서 (네이버 검색창, 'KISS'에서 검색 가능)
·『오행 심신 치유』(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교재)
· “명리학(命理學)의 용신(用神)에 의한 성명학(姓名學) 연구”(박사 논문)
· “작명·개명의 사회적 현상에 따른 성명학(姓名學)의 용신(用神) 적용에 대한 고찰”(2017, 08)
· “한국 사회 성명문화(姓名文化)의 전개 양상에 따른 한자오행법(漢字五行法) 고찰”(2017, 12)
· “문화적 활용 요소로써 오링 테스트와 명리·성명학의 상관성 고찰”(2018, 02)
· “현대 사회의 종격사주(從格四柱)에 대한 고찰”(2018, 04)
· “한국 성씨한자(姓氏漢字)의 자원오행(字源五行)에 대한 고찰”(2018. 06)
· “한글 순음(脣音)·후음(喉音)의 오행배속에 대한 성명학적 고찰”(2018, 08)
· “사주오행(四柱五行)의 계량화(計量化)와 적용에 대한 고찰”(2018, 12)
· “사주 십성(十星)의 계량화(計量化)와 활용에 대한 고찰”(2019, 02)
· “사주 명조의 計量化를 통한 성명학적 用神法 고찰 내격(內格)사주를 중심으로”(2019, 02)
· “성명학에서 한글 오행 적용의 난제(難題)에 대한 해결적 고찰”(2019, 02)
· “한국의 호(號)문화에 대한 용신(用神) 성명학적 고찰”(2019,04)
· “여성기 암(癌)의 명리학적 요인에 대한 실례(實例)적 고찰”(2019, 12)
· “현대 성명학에서 한자선정법의 난제에 대한 해결적 고찰”(2020, 06)
· “용신 성명학의 한자 부문에서 십성의 적용에 대한 고찰”(2020, 09)
· “명리학 천간합충(天干合沖)이론의 활용에 대한 고찰: 심리·용신·성명을 중심으로”(2021. 06)
· “명리학에서 합충(合沖)에 의한 지지(地支)의 합력(合力)차 연구”(2021, 12)
·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의한 현대인의 심신치유”(2023,06)
· “인명한자 214 부수의 자원(字源)에 의한 성명학적 오행 배속”(2014, 10)
· “작명 현장의 주요 성명이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에 대한 고찰”(2024, 12)
현 한국 열린사이버대학교 통합치유학과 교수
중앙대학교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철학 박사(명리·성명학 전공 학술박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박사학위논문 심사위원(2019∼2021)
한국 연구재단(K.C.I.) 등재학술지 『인문사회 21』 학술이사
학술저널 인문사회콘텐츠학회 부회장
한국연구재단(K.C.I.) 등재지 『인문사회과학연구』 편집위원
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선임 연구원
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책임 연구원
한국 명리·성명학회 학술이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총장 학술상(2019)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아시아문화학술원 공동 개최
2019년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2019)
『인문사회 21』 아시아문화 학술대상 2회(2019, 2022)
인문사회컨텐츠학회 하계 학술대회 우수논문상(2023)
아시아 문화 학술원 우수 편집 위원상(2023)
이태원 교수 사주 성명학 연구원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논문 및 저서 (네이버 검색창, 'KISS'에서 검색 가능)
·『오행 심신 치유』(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교재)
· “명리학(命理學)의 용신(用神)에 의한 성명학(姓名學) 연구”(박사 논문)
· “작명·개명의 사회적 현상에 따른 성명학(姓名學)의 용신(用神) 적용에 대한 고찰”(2017, 08)
· “한국 사회 성명문화(姓名文化)의 전개 양상에 따른 한자오행법(漢字五行法) 고찰”(2017, 12)
· “문화적 활용 요소로써 오링 테스트와 명리·성명학의 상관성 고찰”(2018, 02)
· “현대 사회의 종격사주(從格四柱)에 대한 고찰”(2018, 04)
· “한국 성씨한자(姓氏漢字)의 자원오행(字源五行)에 대한 고찰”(2018. 06)
· “한글 순음(脣音)·후음(喉音)의 오행배속에 대한 성명학적 고찰”(2018, 08)
· “사주오행(四柱五行)의 계량화(計量化)와 적용에 대한 고찰”(2018, 12)
· “사주 십성(十星)의 계량화(計量化)와 활용에 대한 고찰”(2019, 02)
· “사주 명조의 計量化를 통한 성명학적 用神法 고찰 내격(內格)사주를 중심으로”(2019, 02)
· “성명학에서 한글 오행 적용의 난제(難題)에 대한 해결적 고찰”(2019, 02)
· “한국의 호(號)문화에 대한 용신(用神) 성명학적 고찰”(2019,04)
· “여성기 암(癌)의 명리학적 요인에 대한 실례(實例)적 고찰”(2019, 12)
· “현대 성명학에서 한자선정법의 난제에 대한 해결적 고찰”(2020, 06)
· “용신 성명학의 한자 부문에서 십성의 적용에 대한 고찰”(2020, 09)
· “명리학 천간합충(天干合沖)이론의 활용에 대한 고찰: 심리·용신·성명을 중심으로”(2021. 06)
· “명리학에서 합충(合沖)에 의한 지지(地支)의 합력(合力)차 연구”(2021, 12)
·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의한 현대인의 심신치유”(2023,06)
· “인명한자 214 부수의 자원(字源)에 의한 성명학적 오행 배속”(2014, 10)
· “작명 현장의 주요 성명이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에 대한 고찰”(202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