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공생교육』은 공생(共生)을 핵심 개념으로 삼아 다문화와 평화를 지향하는 일본의 교육 이념과 실천을 심도 있게 탐구한 연구서이다. 이 책은 급변하는 다문화 사회 속에서 상호 이해와 협력을 중시하는 글로벌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여, 일본의 공생교육이 어떻게 발전해왔고, 실천적인 교육 과제로 자리 잡았는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Ⅰ부는 일본의 다문화 공생교육과 평화교육 연구를 시작으로, 공생 교육의 이념적 배경과 교육 환경의 변화를 다룬다. 이어서 Ⅱ부에서는 일본 정부의 공생교육 정책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교원정책의 변화, 비경제활동 청년 문제,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적 공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실천적 정책들을 제시한다. Ⅲ부에서는 다문화 공생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과 사례 연구에 주목하며, 일본 학교 현장에서 공생 교육이 실천되는 구체적인 방식들을 탐구한다. 특히 '효탄섬 문제'와 같은 다문화 학습 교재, 초등학교의 역사 교육 사례, 홋카이도 프리스쿨의 협동과 공생을 강조한 교육 실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Ⅳ부에서는 평생학습 관점에서 일본의 공생교육을 고찰하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단순히 일본 교육의 한 사례를 넘어, 다문화와 공생을 기반으로 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공생교육은 이론적 토대를 넘어 학교 교육 및 평생학습의 다양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책 입안자, 교육자, 연구자에게는 유익한 참고자료가 될 뿐 아니라, 글로벌 시대의 상호 이해와 공존을 모색하는 이들에게도 큰 영감을 줄 것이다.
Contents
발간사 _이정희
들어가며: 일본의 공생교육에 대하여 _홍현길
제Ⅰ부 공생교육 이념과 원리
제1장 일본의 ‘다문화 공생’ 교육 _천호성
1. ‘다문화 공생’의 의의
2. 일본 ‘다문화 공생’의 전개
3. 일본 ‘다문화 공생’의 비판적 고찰
4. ‘다문화 공생’은 말이 아닌 실천이 중요하다
제2장 일본의 공생을 위한 평화교육 연구 동향 _이정희
1. 공생을 위한 평화교육의 출발
2. 공기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일본의 평화교육 연구의 특징
3. 대응 분석을 통해 본 일본 평화교육 연구의 특징
4. 일본의 공생을 위한 평화교육 연구의 특징과 과제
제3장 공생의 관점에서 교육환경변화 분석: 일본의 교육정책변화를 중심으로 _장지은
1. 들어가며
2. 학교환경변화와 교육경험 확장
3. 나가며
제4장 일본의 인도태평양 협력체제와 공생주의 국제교육 _윤종혁
1. ‘새로운 자본주의’와 국제교육개발협력의 변화
2. 공생공영을 위한 ‘인도·태평양협력’ 추진전략
3. 지속가능개발목표 2030 체제에 따른 ESD·시민교육
4. 지속가능개발교육 공유사업과 글로벌 교육협력체제
제Ⅱ부 공생교육 실천 정책
제5장 일본의 공생을 위한 교원정책의 변화 _송민영
1. ‘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원정책
2. ‘학교에서 일하는 방식 개혁’ 의 추진
3. 교원의 근태관리와 처우 개선
4. 일본의 교원면허갱신제 폐지
제6장 비경제활동청년 증가 원인과 대안: ‘공생(共生)’을 위한 한일사회 진로교육 비교분석 _이은주
1. 비경제활동 인구증가 개요 및 원인
2. 비경제청년 증가 이론적 배경
3. 한일사회의 비경제 인구증가 요인 분석
4. 진로교육 ‘커리어교육’과 ‘자유학년제’ 비교
5. 공생을 위한 교육제도 및 인식개선 제언
제7장 기초교육을 보장하는 일본형 공교육: 2016년 교육기회확보법 제정과 야간중학교의 재검토 _요코제키 리에
1. 들어가며
2. 일본의 의무교육 미수료자 현황
3. 교육기회 확보법 성립 이후의 야간 중학정책의 동향
4. 일본 야간중학교 정책의 향후 과제
5. 결 론 : 일본형 공교육으로 본 미래 전망
제8장 장애인의 자립 공생과 커뮤니티 임파워먼트의 가능성 _오민석
1. 장애는 지역 공동의 문제
2. 자기결정에 의한 자립공생생활
3. 업생활 참여와 사회적 연대의 형성
4. 장애인의 자립공생과정과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5. 장애인의 공동노동과 사회교육복지의 실천
제Ⅲ부 공생교육 학교교육 실천 사례
제9장 일본의 다문화 공생 사회에 관한 학습교재 “효탄섬 문제” _미즈노 지즈루
1. “효탄섬 문제” 란
2. “효탄섬 문제”에서 다룬 사회문제와 개념
3. “효탄섬 문제”를 논제로 한 디베이트의 수업
4. “효탄섬 문제”를 통해 배운 것
5. 다문화 공생교육의 필요성과 교재 개발
제10장 동아시아 공생을 위한 초등학교 과거사 교육 사례 _차보은
1. 왜 과거사를 교육해야 하는가?
2. 과거사를 교육하는 것
3. 과거사 교육 사례: 일본 S 초등학교
4. 트랜스내셔널 기억의 공유와 동아시아 평화
5. 맺음말
제11장 협동과 공생을 기반으로 한 『또 하나의 학교』: 일본 홋카이도 프리스쿨 지유가오카가쿠엔 교육과 실천을 중심으로 _송미란
1. 협동과 공생이 부재한 학교교육 현장
2. 공교육의 미래-학교를 거부하는 부등교아이들과 프리스쿨
3. 지유가오카가쿠엔의 새로운 학교만들기 운동
4. 삶과 사회를 주체적으로 살아내는 내발적(??的) 배움의 가능성
제Ⅳ부 공생교육 평생학습 실천 사례
제12장 일본의 공생기반 진로교육 _신현정
1. 일본 커리어교육의 전개 양상
2. 체계적인 일본 커리어교육의 평가 시스템
3. 진로 성찰을 위한 ‘커리어 패스포트’ 사례
4. 공생기반 커리어교육의 함의와 전망
제13장 공생교육 기반 지역주민 배움의 공간 세토우치시립도서관 _임형연
1. 들어가며
2. 도서관의 학습공간화
3. 지역주민 공생교육 공간의 구현: 세토우치시립도서관 사례
4. 결론
제14장 ‘본명’을 둘러싼 딜레마와 다문화 공생교육 _오혜경
1. 일본의 다문화 공생교육과 민족학급
2. 민족학급이 걸어온 길
3. 민족학급의 현황
4. 민족학급과 ‘본명’ 실천
5. ‘본명’을 둘러싼 새로운 갈등
6. ‘민족명’ 사용 논란으로 불거진 다문화 공생교육의 허와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