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글로벌 한국학 (큰글자책)

$28.35
SKU
979117307645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14
Pages/Weight/Size 210*290*8mm
ISBN 9791173076459
Categories IT 모바일 > 인공지능
Description
AI가 한국학 연구 방법과 지식 생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챗지피티 등 생성형 AI는 인문학 연구를 효율화하며, 데이터 분석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한국학을 체계화한다. 그러나 AI 언어 모델의 한국 관련 정보 부족 문제와 윤리적 민감도 향상이 필요하다. 저출산·고령화 속에서 글로벌 한국학은 새로운 교류와 연구 방향을 모색하며, AI와 융합된 학문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Contents
인공지능이 만들어 가는 지구화

01 글로벌 한국학
02 인문학과 인공지능
03 한국학을 위한 인공지능
04 인공지능 언어 모델과 챗지피티
05 언어 데이터와 기계 학습
06 언어 모델과 한국에 관한 지식
07 언어 모델의 사회적·윤리적 민감도
08 언어 모델의 문화 민감도
09 언어 모델을 활용한 교육과 검색 증강 생성
10 언어 장벽 너머 글로벌 한국학
Author
조은경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글로벌한국학과 부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의 21세기 세종계획(1998~2007)의 국가말뭉치 구축, 국어정보화 인력 양성, 전문용어 표준화 등의 과제에 참여했고, 산업자원부 주관의 실버메이트(Silver Mate)용 대화음성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시소러스 기반 대화형 정보검색 및 질의응답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등의 과제에 참여한 바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공학연구부에서 온톨로지 설계와 구축을 했고, 다음커뮤니케이션(현재는 카카오) 검색포털본부에서 한국어정보처리, 텍스트마이닝, 검색랭킹모델링 부문의 일을 담당했다. 삼성전자 선행개발팀에서 다국어 대화엔진 개발, 검색콘텐츠 개발, 해외연구소 관리 등의 일을 했다. 주요 논저로, “디지털 사회의 가치와 언어 연구 방법”(2016), “감성 분석에서 함수적 어휘와 대하여성 추출”(2015), “감성 분석 연구의 현황과 말뭉치에 기반한 사례 분석”(2012), 『국어 공지시 해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2007) 등이 있다. 현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텍스트 분석과 의미 정보 처리에 기반한 문서 요약 방법 개발: 딥러닝을 활용하여’라는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글로벌한국학과 부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의 21세기 세종계획(1998~2007)의 국가말뭉치 구축, 국어정보화 인력 양성, 전문용어 표준화 등의 과제에 참여했고, 산업자원부 주관의 실버메이트(Silver Mate)용 대화음성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시소러스 기반 대화형 정보검색 및 질의응답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등의 과제에 참여한 바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공학연구부에서 온톨로지 설계와 구축을 했고, 다음커뮤니케이션(현재는 카카오) 검색포털본부에서 한국어정보처리, 텍스트마이닝, 검색랭킹모델링 부문의 일을 담당했다. 삼성전자 선행개발팀에서 다국어 대화엔진 개발, 검색콘텐츠 개발, 해외연구소 관리 등의 일을 했다. 주요 논저로, “디지털 사회의 가치와 언어 연구 방법”(2016), “감성 분석에서 함수적 어휘와 대하여성 추출”(2015), “감성 분석 연구의 현황과 말뭉치에 기반한 사례 분석”(2012), 『국어 공지시 해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2007) 등이 있다. 현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텍스트 분석과 의미 정보 처리에 기반한 문서 요약 방법 개발: 딥러닝을 활용하여’라는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