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

$70.88
SKU
979117307603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2/28
Pages/Weight/Size 188*258*35mm
ISBN 9791173076039
Categories 예술
Description
촬영에 관한 최고의 교재로 최신판을 번역했다. 시각적 언어의 예술적 배경뿐만 아니라, 연속성을 위한 촬영 기법, 조명 방법과 장비, 디지털·필름 촬영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심도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기본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디지털 영화 촬영의 기술적 프로세스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영화 제작을 공부하는 학생, 현장에 막 진출한 신입, 현장에서 더 나은 기술을 습득하려는 스태프, 최신 장비와 테크닉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는 경험 많은 제작자를 위한 책으로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제작 현장의 다양한 사례까지 배울 수 있다.
Contents
역자서문
서문

01 움직임의 기록

움직임의 기록
등장인물의 세계
시네마토그래피의 시각적 언어
조명의 스토리텔링
프레임 결정
렌즈와 공간
원근감
조명과 색
움직임
카메라 앵글
정보
시점 숏
시각적 질감
시각적 은유
자연주의 대 표현주의
촬영 감독의 역할

02 프레임

한 장의 사진, 그 이상
프레임 구성의 원리
통일성
균형
리듬
비율
대비
질감
방향성
3차원 공간
깊이감
상대적 크기
선 원근법
대기 원근법
시각적 체계의 힘

차례
삼각 구도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
프레임 경계
프레임 속 프레임
포지티브 스페이스, 네거티브 스페이스
관객의 시선 이동
3등분 법칙
인물 촬영의 규칙
헤드룸
노즈룸
그 밖의 지침
렌즈의 높이
더치 틸트
종횡비

03 렌즈 언어

렌즈의 스토리텔링
전경/중경/후경
렌즈의 원근감
렌즈와 공간
공간의 압축
선택적 포커스
플레어

04 연속성

연속성
편집을 위한 촬영
연속성 고려
연속성의 종류
내용의 연속성
움직임의 연속성
위치의 연속성
시간의 연속성
방향성
가상선
스크린 방향
가상선의 중요성
스크린 방향
가상선 설정의 기준
스크린 방향 유지의 목적
스크린 방향 유지의 기본적인 예
예외
방향 전환
몰아 찍기
커버리지 계획
편집의 중요성
20% 법칙과 30도 법칙
무빙 숏
추격 장면
문을 통과하는 장면
등장과 퇴장 프레임
중립적인 축을 이용한 퇴장 프레임
커버리지 내 소품의 연속성
시선의 이동
단체 숏
컷어웨이의 시선
오버 더 숄더 숏의 시선
앉아 있는 등장인물의 시선

05 촬영 기법

영화적 기법
관객의 인식
프레임
고정 프레임
카메라 앵글
숏: 장면의 구축
와이드 숏
설정 숏
등장인물 숏
풀 숏
투 숏
미디엄 숏
클로즈업
오버 더 숄더 숏
컷어웨이
반응 숏
인서트
연결 숏
드러내기
보충 숏
전환 숏
보이지 않는 기법
관객의 참여: POV
제4의 벽과 POV
촬영 기법
마스터 신 방식
일체/확장 마스터 숏
자유로운 방식
중복 촬영 방식
걸어가며 대화하는 장면
몽타주
장소 설정
소개
시간
등장인물
그 외의 편집 개념
점프 컷
편집의 유형
액션 컷
POV 연결
매치 컷
보이지 않는 연결

06 카메라

디지털 신호 경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HD 레코딩
UHD
RAW 파일과 베이크드 파일의 차이
RAW 카메라의 신호 경로
모니터용 비디오 신호
RAW의 정의
디지털 네거티브
크로마 서브샘플링
픽셀
해상도
포토사이트
픽셀과 포토사이트의 차이
디지털화
OLPF
디지털 센서
CCD
CMOS
3CCD 방식
색의 구분
베이어 필터
디모자이크/디베이어
디지털 센서와 색
픽셀 수
촬영 해상도
셔터
회전식 셔터
롤링 셔터와 글로벌 셔터
센서 크기와 피사계 심도
디지털카메라의 ISO
노이즈
IR 필터/핫 미러 필터
비트 전송 속도
비트 심도
프레임 레이트
필름 룩과 비디오 룩

07 디지털 측정

웨이브폼 모니터
외부 동기 신호
웨이브폼 보기
컬러 바의 구성
플러지를 이용한 모니터 조정
모니터 탐색
방송 신호의 기준
벡터스코프
색상/위상
촬영 현장의 벡터스코프 활용
벡터스코프에서 본 컬러 바
화이트 밸런스/블랙 밸런스
색 영역
비디오 테스트 카드
중성 그레이 카드의 한계
중간 회색
캘리브레이션 테스트 차트

08 노출

노출 이론
적정 노출
노출 조절
ISO
노출의 요소

F스톱
셔터 스피드/프레임 레이트/셔터 앵글
특성 곡선
노출 부족
노출 과다
적정 노출
휘도 범위를 벗어나는 밝기
노출의 두 가지 측면
필름과 비디오의 차이
후반작업의 한계
핵심
RAW 비디오 촬영의 노출
디지털 노출
노출계
입사식 노출계
반사식 노출계
노출의 또 다른 세계
웨이브폼 모니터로 노출 설정
웨이브폼의 F스톱
반사율 18%
카메라의 노출 지표
제브러
히스토그램
트래픽 표시등과 골포스트
폴스 컬러
아리 알렉사의 폴스 컬러
노출 전략
클리핑과 노이즈 피하기
질감과 세부
딜레마
노출계 사용
키 라이트 측정
웨이브폼 모니터 이용하기
중간 회색 맞추기
노출의 기준점
ETTR
제브러
모니터
개인의 성향
블랙매직 디자인 카메라의 노출

09 선형, 감마, 로그

다이내믹 레인지
선형 응답
이상과 현실
장면 참조로서의 선형
대표적인 S-곡선
필름 감마와 비디오 감마
비디오 감마
우연의 일치
REC.709와 REC.2020
Rec.709의 전달 함수
Rec.2020
스튜디오 스윙, 풀 레인지, 리걸 비디오
코드 100의 문제
하이퍼감마/시네감마/필름 Rec
소니의 하이퍼감마 용어
RAW 비디오의 감마
선형의 비효율성
로그 인코딩
로그의 역사
슈퍼화이트
보이는 것과의 차이
로그와 RAW
회사별 로그 곡선
소니 S-로그
아리 로그 C
캐논-로그
파나로그
레드코드
레드로그
로그와 18% 회색
로그 곡선들의 차이

10 색

색 용어
색온도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
화이트 밸런스, 블랙 밸런스, 블랙 셰이딩
마젠타와 그린
CIE 색도도
색 영역
비디오의 색 공간
Rec.709와 Rec.2020
DCI-P3
AMPAS의 ACES 색 공간
행렬
젤과 필터를 이용한 색 균형
변환 젤
보정 젤
교정 젤
색이 좋지 않은 조명의 보정
HMI
산업용 조명
색, 스토리텔링 도구
컬러 팔레트 사례

11 이미지 조절

이미지를 조절하는 방법
DIT 카트
DIT 카트의 기능
색 교정과 색 보정
리프트/섀도
감마/미드톤
게인/하이라이트
커브
로그 모드
오프셋 조절
데일리 보정의 출력과 재사용
LUT과 룩
1D LUT
3D LUT
LUT과 룩의 차이
렌즈 앞에서 이미지 조절하기
카메라 필터
확산 필터와 효과 필터
색 교정을 위한 카메라 렌즈 필터
따뜻한 색 필터와 차가운 색 필터
흑백 이미지의 대비 조절
편광 필터
IR 필터

12 광원

조명의 도구
색의 균형
연색지수
주광/텅스텐 조명
LED 조명
리모트포스퍼 LED
HMI 조명
제논
텅스텐 조명
프레넬 조명기
오픈 페이스

소프트 라이트
바거 백라이트
촬영용 형광등
기타 유형의 조명기
소프트선
사이크, 스트립, 누크, 브로드
초롱 조명기와 공간 조명기
크레인 장착형 조명 장비
엘립소이덜 리플렉터 스폿 조명기
풍선 조명
휴대용 조명기
야외 주간용 장비
임시 조명
박스 조명기
크리스마스트리 조명
프로젝터 전구
조명에 대한 기타 정보

13 조명

조명의 기본
(개념적인) 조명 도구
빛의 속성
강함과 부드러움
좋은 조명의 목표는 무엇인가?
모든 범위의 톤
색 조절과 색 균형
모양
분리
깊이
질감
분위기와 톤
그림자
드러내기와 숨기기
노출과 조명
조명 용어
하드 라이트와 소프트 라이트의 작업
하드 라이트
소프트 라이트
조명의 방향
평면적인 정면 조명 피하기
업스테이지 조명
백라이트와 키커
조명의 강도
조명의 질감

조명 기술
앰비언트 조명
고전적 조명
창문으로 들어오는 조명
실용 조명과 설정 조명
조명의 기본 원리
업스테이지 조명: 리버스 키
백 크로스 키
앰비언트 악센트 조명
실용 조명
창문을 통한 조명
가용광
사용 가능한 빛: 창문
설정 조명
램프 빛 보강
주간 야외 촬영
필 라이트
실크와 디퓨전
오픈 셰이드와 차고 문 조명
태양광을 역광으로 활용하기
매직 아워
같은 장면의 일곱 가지 다른 조명

14 조명 세팅

하드 라이트와 소프트 라이트
주간 야외 촬영에서의 필 라이트 활용
스크림과 반 도어
플래그, 솔리드, 네트
키메라와 스누트
소프트박스
에그크레이트
창문 문제
쿠키, 셀로, 고보
디머
LED 디머
핸드 스퀴저

15 그립

용어 정의
반사판
플래그와 커터
네트
큐컬로리스(쿠키)
그리드와 에그크레이트
오픈 프레임
디퓨전
버터플라이와 오버헤드
설치 장비
그립 헤드와 C-스탠드
하이보이 스탠드
클램프
월 플레이트, 베이비 플레이트, 피전
2K 리시버와 터틀
사이드 암과 오프셋 암
기타 그립 기어
모래주머니
애플박스
웨지
캔들 스틱
스터드 체인 바이스 그립

16 카메라 움직임

카메라 움직임
카메라 오퍼레이팅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동기 부여
카메라 움직임의 기본
움직임의 종류

틸트
돌리인/돌리아웃

펀치-인
무빙 숏
트래킹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
카메라 이동을 활용한 드러내기
원형 이동
크레인 이동
롤링 숏
움직임을 위한 카메라 장비
드론
핸드헬드
스태빌라이저 리그
카메라 헤드
트라이포드
하이해트
로커 플레이트
틸트 플레이트
크랩 돌리
돌리 용어
자동차 장면 촬영
차량 간 촬영
항공 촬영
기타 카메라 마운트 장비
스태디캠
케이블 캠
스플래시 박스
수중 촬영 하우징
모션 컨트롤 카메라

17 광학과 포커스

광학의 물리적 기초
굴절
초점 거리와 화각
F스톱
초점
정신적 초점
착란원
피사계 심도
얕은 피사계 심도
최단 거리
노덜 포인트
후면 노덜 포인트와 특수효과 촬영
줌 렌즈와 피사계 심도
접사 촬영
접사 촬영에서의 노출 보정
클로즈업에서의 피사계 심도
익스트림 클로즈업에서의 피사계 심도 계산
클로즈업용 특수 렌즈
디옵터
연장 튜브와 주름상자
접사 렌즈
스노클 렌즈과 이노비전 렌즈
프레이저 렌즈와 레볼루션 시스템
렌즈 익스텐더와 필터 계수
렌즈 관리
백 포커스

18 촬영 현장

실행에 옮기기
촬영 감독
촬영 감독의 도구들
개퍼 글래스
레이저 포인터
디렉터 뷰파인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숏 리스트
함께 주문하기
대본 읽기
감독과 상의하기
로케이션 섭외와 현장 점검
다른 부서와의 조율
팀과 주문
제작 회의
테스트
촬영 팀
촬영 기사
제1 촬영 조수
제2 촬영 조수
로더
DIT
촬영 스크립트, 장비와 도구
촬영 스크립트
촬영 조수의 도구과 소모품
촬영 조수의 사전 준비
카메라 체크리스트
팀워크
조명 팀
그립 팀
그 외의 제작 팀
촬영 절차와 규칙
장면 촬영의 순서: 블로킹, 조명, 리허 설, 촬영
촬영 진행 순서
룸톤 녹음
촬영장 에티켓
촬영장 안전 사항
조명, 전기, 그립 장비
크레인 안전 사항
슬레이트 사용 방법
슬레이트 읽는 방법
엔드 슬레이트
MOS 슬레이트
멀티 카메라 슬레이트
타임코드 슬레이트
슬레이트 동기화
슬레이트에 기입할 내용
슬레이트에 문자 정보를 변경할 때
유럽 슬레이트 시스템
보충 숏 촬영, 시리즈 촬영, 재촬영
시각 효과 촬영
인서트 슬레이트
태양 찾기

19 DIT와 워크플로

데이터 관리
기본 원칙
실수로부터의 보호
표준 절차
로그 기록 관리
절차의 모범 사례
안전하게 저장하고 포맷하기
명확한 의사소통
항상 스크러빙하기
사본 3개 확보하기
드래그앤드드롭 금지
로그
파일 관리
파일명
다운로드·수집 소프트웨어
숏풋 프로
실버스택
카메라 제조사의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외장 하드드라이브
ASC 색 결정 리스트
후반작업에서의 이미지 조정
원색의 색 교정
슬로프·오프셋·파워, 그리고 채도
아카데미 컬러 인코딩 시스템
AMPAS와 ACES
작업 단계
ACES 용어

20 전력과 배전

전기 측정
전위
안전을 위한 암페어 계산법
전기 공급 시스템
단상
3상
전원
스튜디오 전력
발전기
대형 발전기 가동 지침
소형 발전기 가동 지침
병렬식 소형 발전기
타이인
타이인 안전 수칙
전압과 전류를 통한 KVA 결정
벽 전원
부하 계산과 페이퍼 암페어
전류 용량
전선의 색상 코드
중성선
배전 장비
타이인 클램프
버스바 러그
커넥터
불스위치
피더 케이블
배전함
런치 박스, 스네이크 바이트, 갱박스
연장선(스팅어)
집 연장선
배전 시스템 계획
부하 분산
전압 강하 계산
전기 안전
습한 장소의 작업
HMI 안전
안전 접지
지락 회로 차단기

21 시각 효과와 기타 기술적 내용

그린스크린·블루스크린 촬영
그린스크린·블루스크린을 위한 조명
디머
LED 디밍
디머 보드
스트로브 조명
고속 촬영
익스트림 클로즈업을 위한 조명
특수효과
연기

TV·영사기 효과
데이 포 나이트 촬영
달빛 효과
물 반사 효과

번개
총격 장면과 폭발
타임랩스 촬영
타임 슬라이스 촬영 기법
필름을 비디오로 전환하기
플리커
가상현실 촬영
오디오 작업
더블 시스템 사운드 vs 싱글 시스템 사 운드
소음 차단
마이크
마이크를 카메라에 직접 연결하지 마라
지향성 마이크
샷건 마이크
마이크 마운트
무선 마이크
팬텀 파워
마이크 vs 라인 입력
사운드 기초
규칙 #1
규칙 #2
스크래치 트랙
와일드 트랙
폴리
룸톤
ADR은 고비용이다
촬영을 위한 음악 재생
타임코드 슬레이트

참고 문헌
참고 영화·영상 작품 목록
그림 속 작품 목록
찾아보기
Author
블레인 브라운,민경원,김진희,박기웅
30년 넘게 영화 업계에 종사하며 촬영 감독, 감독, 시나리오 작가, 프로듀서, 편집자로 일했다. 촬영 감독이자 영화감독이 되기 전에는 조명 부원, 개퍼, 그립으로 경험을 쌓았다. 브라운은 장편 영화, 광고, 뮤직비디오, 기업 비디오를 촬영했고, 연출, 감독 등을 역임했다. 컬럼비아 칼리지, UCLA, 로스앤젤레스 영화학교, AFI 등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여러 영화 학교에서 강의했다. 그는 MIT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에서 건축과 도시 계획을 공부했다. 저서로는 『영화 제작 기초: 시나리오 작성, 제작, 연출, 촬영, 오디오, 그리고 편집』, 『영화 조명 핸드북』(4판), 『디지털 영화를 위한 안내서』 등이 있다.
30년 넘게 영화 업계에 종사하며 촬영 감독, 감독, 시나리오 작가, 프로듀서, 편집자로 일했다. 촬영 감독이자 영화감독이 되기 전에는 조명 부원, 개퍼, 그립으로 경험을 쌓았다. 브라운은 장편 영화, 광고, 뮤직비디오, 기업 비디오를 촬영했고, 연출, 감독 등을 역임했다. 컬럼비아 칼리지, UCLA, 로스앤젤레스 영화학교, AFI 등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여러 영화 학교에서 강의했다. 그는 MIT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에서 건축과 도시 계획을 공부했다. 저서로는 『영화 제작 기초: 시나리오 작성, 제작, 연출, 촬영, 오디오, 그리고 편집』, 『영화 조명 핸드북』(4판), 『디지털 영화를 위한 안내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