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전능한 판타지와 교육의 길』에서 필자는 플라톤과 코메니우스와 칸트 등 전통적 교육학의 주류적 이론가들의 사유를 전지전능 교육관이라는 줄로 꿰어서 일상의 관점에서 그리고 교직의 관점에서 논단과 교단에 올리고자 한다. 이 여정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는 바로 전지전능 교육관과 과감하게 결별하라는 권면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교육철학의 관점을 견지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때로는 교육사상사적·교육문화사적 방법, 예술문화사적 방법, 도상학적 방법, 비교문화학적 방법 등이 추가적으로 동원될 것이다.
Contents
제1장 - 교육의 은유와 전지전능 교사관 · 5
교육의 은유들 … 6
볼노 ― “비연속적 형식의 교육가능성” … 13
몰렌하우어 ― “부러진 의도성” … 14
이해의 벽 ― 물리적 한계와 실존적 한계 … 16
기억과 기록 … 20
어른과 어린이 ― 교육학의 오래된 인(간)종(류)주의 … 25
전지전능 교사관 … 29
제2장 - 시대의 균열과 여명의 계기들 · 35
중세의 교육 … 35
교회 권력과 신 중심 문화의 균열 … 41
르네상스 시대와 교육 … 45
마틴 루터와 종교개혁 … 46
구텐베르크 인쇄술의 아이러니 & 언어적 사회통합 … 57
프로테스트와 전쟁들 … 59
종교개혁과 공교육 … 61
제3장 - 갈등의 증폭과 전쟁의 비참 · 69
에라스무스와 루터 … 69
신학적 인간학 & 교육학적 인간학 … 77
갈등과 긴장, 그리고 30년 전쟁 … 79
전쟁의 일상 ― 누구도 원하지 않았던 폐허 … 82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 85
코메니우스의 학문적 여정과 저작들 … 87
1.1.1.1.1.
제4장 - 교육적 신념의 구조화와 시각화, 그리고 도상학 · 99
언어교수법과 『세계도회』 … 99
세계최초의 그림교과서 ― 『입학도설』과 『삼강행실도』 … 101
『세계도회』의 분석 ― 도상학적 방법론 … 104
『세계도회』의 목차 구성 … 106
150개 범주 & 150개 그림 … 109
시계와 해부학 … 111
라틴어 교수학습의 걸림돌 ― 추상성과 스토리텔링 … 118
세 겹 액자구도 … 119
구성상 특징으로 본 『세계도회』 … 121
제5장 - 그림책에 인류 재건의 신념을 담다 · 127
『세계도회』의 목적 ― 표면적 & 잠재적 … 127
“신”(제1범주) ― 고도의 추상성 … 131
스토리텔링의 불가피성 … 134
『세계도회』 ― 교육을 통한 인류 사회의 재건 … 136
“신의 섭리”(제149범주) ― 전지(全知)와 전능(全能) … 139
“최후 심판”(제150범주) … 144
교사와 학생, 교육적 관계, 교직과 교육 … 146
이원적 세계관 … 147
제6장 - 교직의 뜻과 숨은 뜻 - 범교육학의 제안 · 159
교사와 학생 ― 교사상, 교육적 관계, 교직 … 159
두 개의 세계를 관통하는 빛 … 165
교사의 위상 … 169
머리에서 머리로 ― 『세계도회』의 교육사상사적 위치 … 174
동선성의 숨은 뜻 ― 교사를 위한 관점의 전환 … 177
전지전능 교육관과 “만들수있음의 환상” … 184
코메니우스 ― 『세계도회』와 범교육학 … 187
17세기의 문명사적 맥락 … 189
제7장 - 동굴의 비유와 빛의 교육학 · 195
동굴의 비유 … 195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 202
동굴의 비유 ― 도상학적 분석 … 207
교육의 공간 … 207
두 개의 길 ― 교육의 길(I)과 교육자의 길(II) … 209
철인과 교사 … 211
동굴의 비유 ― 교육학적 해석의 예 … 213
제8장 - 이상주의의 명암(明暗)과 교육 · 221
이데아 … 221
교육의 목적 … 225
이데아와 Idealism(이상주의) … 229
이상주의와 교육 … 231
이상주의의 그림자 … 232
타락한 이상주의 … 236
나치의 국가사회주의 교육 … 239
교육이 타락한 이상주의의 도구로 전락하지 않도록 … 244
제9장 - 이성과 자유, 그리고 『교육학에 대하여』 · 251
『교육학에 대하여』(1803) … 257
합리론과 경험론 … 258
칸트 ― “내용 없는 사고는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맹목적이다.” … 262
‘비판’철학 = 인간의 인식 작용 자체에 대한 검토 … 263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1784) … 267
독일 관념론(Idealismus. 이상주의)의 흐름 … 268
제10장 - 자유를 위한 부자유의 교육 · 287
이원적 인간학과 결핍존재론 … 287
20세기 생물학적 인간학 … 293
발라우프 ― “생물학적 인간학의 교육학적 부적절함”(1962) … 295
하이데거 ― 인간 이해를 위한 충분히 인간적이지 않은 시도들에 대한 비판 … 298
‘비교적 인간’과 ‘교육적 인간’ … 299
대리인 기능 ― 자율과 타율 사이의 교육 … 302
체벌에 관하여 … 307
칸트 ― 강제의 불가피성 … 309
‘부자유를 통한 자유’의 딜레마 … 310
제11장 - 전지전능의 짐을 내려놓으려는 교사를 위한 변론 · 319
“우리 자체가 이미 인간이기 때문이다!” … 321
교육학적 인(간)종(류)주의 … 324
괴리 ― 일상의 언어와 이론의 언어 … 325
교육의 시작점 ― 일상적 인간 이해 … 329
호모 에두칸두스(Homo Educandus)에 관하여 … 331
오래된 습관과 결별하기 ― 인간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태어나는 존재 … 333
참고문헌 · 340
찾아보기 · 348
Author
우정길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Dr. Phil.).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 전임연구강사(Wiss. Mitarbeiter) 및 강의전임(LfbA) 역임. 현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서]
Handbuch der Erziehungswissenschaft(2007, 공저). Lehren und Lernen mit Bildern(2010, 공저). Lernen und Kultur(2010, 공저).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교육』(2019. 세종우수도서).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2019, 공저. 세종우수도서).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2020, 공저).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2020, 공저).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지평』(2020, 공저.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학』(2021, 편저)
[역서]
『마틴 부버의 교육강연집』(2010)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Dr. Phil.).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 전임연구강사(Wiss. Mitarbeiter) 및 강의전임(LfbA) 역임. 현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서]
Handbuch der Erziehungswissenschaft(2007, 공저). Lehren und Lernen mit Bildern(2010, 공저). Lernen und Kultur(2010, 공저).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교육』(2019. 세종우수도서).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2019, 공저. 세종우수도서).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2020, 공저).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2020, 공저).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지평』(2020, 공저.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학』(2021, 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