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육의 페다고지』는 다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 주제는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이다. 제2부 주제는 ‘교육 주체의 인식과 통일교육’이다. 제3부 주제는 ‘교육환경과 통일교육’이다. 제4부 주제는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이다. 제5부 주제는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다.
Contents
제1부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
제1장 통일교육에서 평화와 안보의 경쟁과 공존 9
제2장 학교 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 29
제3장 학교 통일교육의 형식적 교육과정 51
제2부 교육 주체의 인식과 통일교육
제1장 학생들의 북한, 통일, 통일교육 인식 73
제2장 교사들의 북한, 통일, 통일교육 인식 99
제3부 교육환경과 통일교육
제1장 통일교육 관련 법 규범 129
제2장 통일교육지원법의 쟁점 151
제3장 언론보도와 통일교육 171
제4부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
제1장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학교 통일교육 197
제2장 인지발달 이론과 학교 통일교육 215
제5부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제1장 학교 자율 교육과정 통일교육 프로그램 239
제2장 화해교육과 평화교육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269
Author
김병연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도덕교사로 오랫동안 근무했다. 학생들과 나눈 분단, 북한, 통일, 평화 등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학교 통일교육을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스스로 통일운동과 통일교육의 경계에 서서,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을 본격적으로 고민한 학자로 여겨지길 기대한다. 남북관계의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학생들과 일관되게 소통할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평화교육의 교수 · 학습 체계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서울대학교에서 학교 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도덕교사로 오랫동안 근무했다. 학생들과 나눈 분단, 북한, 통일, 평화 등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학교 통일교육을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스스로 통일운동과 통일교육의 경계에 서서,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을 본격적으로 고민한 학자로 여겨지길 기대한다. 남북관계의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학생들과 일관되게 소통할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평화교육의 교수 · 학습 체계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서울대학교에서 학교 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