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생에 성불할 것인가, 다음 생을 기약할 것인가’
한 생에 즉신성불하고자 하는 밀교 수행법의
그 난해한 원리의 전모를 밝히다!
티베트불교는 크게 현교(顯敎)와 밀교(密敎)로 나누어진다. 현교란 ‘겉으로 드러난 가르침’이란 뜻으로 소승불교와 대승불교가 이에 해당하고, 밀교는 ‘은밀하게 전수된 가르침’이란 의미로, 금강승(金剛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교의 궁극적 목표가 그러하듯, 두 가지 모두 부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현교에서 가르치는 성불에 이르는 길은 지고지난하고 요원하다. 소승불교의 ‘아라한’과 대승불교의 ‘보살도를 닦은 후 삼신을 성취’하는 법 모두 한 생에 이룰 수 있을지 장담하지 못한다. 그래서 현교 수행을 어느 정도 익힌 수행자는 밀교인 금강승의 수행에 들어간다. 현생에서 부처의 삼신(三身)인 법신과 보신과 화신 모두를 성취하여 보다 많은 중생을 빨리 제도하기 위함이다.
이 책은 밀교, 금강승의 수행법과 그 원리에 대해 요점만을 가려 모은 논서, ??시이꾸쑴기남샥랍쌜된메(因位三身行相明燈論)??를 우리말로 충실히 옮기고, 방대한 티베트 대장경의 관련 논과 소를 인용하여 상세하게 그 내용에 대해 풀어낸 것이다. 또한 티베트불교가 낯설 수밖에 없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위해 번역어와 의미에 대해 꼼꼼하게 각주를 달고 ‘용어 설명’ 등의 부록을 더해 이해를 도왔다. 이 책은 티베트불교 수행법을 이해하는 든든한 기반을 다져줄 뿐만 아니라 한 생의 수행으로도 성불할 수 있다는 희망의 빛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Contents
ㆍ달라이 라마 님의 붓다의 삼신(三身)에 대한 해설
ㆍ3판 머리말
ㆍ2판 머리말
ㆍ초판 머리말
ㆍ초판 추천사
ㆍ지은이 소개
법보화 삼신의 구조를 밝히는 진리의 등불(因位三身行相明燈)
귀의의 찬시
제1장 죽음의 은멸차제
제2장 바르도(中有)의 성립차제
제3장 탄생의 성립차제
제4장 기본의 삼신을 정화하는 법
회향시
부록
1. 『시이꾸쑴랍쌜된메(因位三身行相明燈)』 원문
2. 인용도서
3. 사진 자료 및 도표 모음
4. 용어 모음
5. 찾아보기
Author
중암 선혜
1975년 사자산 법흥사로 입산하였으며, 1991년 남인도의 간댄사원 등지에서 티베트불교를 배웠다. 현재 구루 빠드마쌈바와가 마하무드라를 성취하여 붓다가 된 곳인 네팔의 양라쉬에 머물며 수행과 티베트어 경론 번역에 힘쓰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까말라씰라의 수습차제 연구』, 『밀교의 성불원리』, 『금강살타 백자진언 정화 수행』, 『위대한 여성 붓다 아르야따라의 길』, 『문수진실명경 역해』, 『딱돌 해설서-바르도에서 닦지 않고 해탈하는 법』, 『개정 완역 티베트 사자의 서』, 『대승의 마음 닦는 법』 등이 있다.
1975년 사자산 법흥사로 입산하였으며, 1991년 남인도의 간댄사원 등지에서 티베트불교를 배웠다. 현재 구루 빠드마쌈바와가 마하무드라를 성취하여 붓다가 된 곳인 네팔의 양라쉬에 머물며 수행과 티베트어 경론 번역에 힘쓰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까말라씰라의 수습차제 연구』, 『밀교의 성불원리』, 『금강살타 백자진언 정화 수행』, 『위대한 여성 붓다 아르야따라의 길』, 『문수진실명경 역해』, 『딱돌 해설서-바르도에서 닦지 않고 해탈하는 법』, 『개정 완역 티베트 사자의 서』, 『대승의 마음 닦는 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