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합리적이야!” “난 나를 사랑하지 않아!” “난 나야!”라고 말하는 서양인들에게
… 그리고 21세기를 사는 한국인들에게
법상에 올라선 텐진 빠모 앞에는 크게 세 부류의 서양인이 앉아 있다. 우선 불교를 처음 접해본 사람들이다. 불교 교리는 물론 수행에 대해서도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온갖 의문 또는 의심으로 가득 차 있다. 이제 명상을 시작해보겠다 다짐하고 앉아 있는 사람들도 있다. 우선 왜 수행하는지, 어떻게 수행하는지, 그리고 수행을 어떻게 일상으로 가져올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다. 수행에 익숙할 뿐 아니라 명상을 통해 한걸음 깊이 들어가 봤던 사람들도 있다. 자신이 올바른 길로 가고 있는 것인지 그리고 중간중간 느꼈던 자신의 ‘체험’은 무엇인지 궁금한 사람들이다. 텐진 빠모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로 자신의 체험, 옛이야기, 그리고 경전에 있는 내용들을 섞어가며 시종일관 유머를 잃지 않고 이들의 궁금증을 하나하나 풀어나간다.
서양인들이 맨 처음 불교를 접할 때 보이는 반응 중 하나는 ‘믿을 수 없다.’이다. 윤회나 환생은 물론 명상이나 이를 통해 다다르는 차원의 경지나 깨달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러고 나서 자신은 증명되지 않은 것을 믿지 않기 때문에 ‘합리적’이라고 자처한다. 하지만 진정 합리적이라면 열린 마음도 가져야 한다. 이 책에서 저자 텐진 빠모는 이제 막 불교를 접하고 특정 내용을 마주쳐 주의 깊게 조사해 봤지만 여전히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해도 그것이 불법(佛法) 전체를 폐기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말한다. 텐진 빠모 역시 수십 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티베트불교 안에서 전혀 수긍하지 못하는 것들이 발견된다고 솔직히 말한다. 하지만 그런 상황에 맞닥뜨리면 특정 교리와 내가 연결점이 없다는 걸 이해하고 그냥 잠시 옆에 밀쳐놔 둘 수도 있다. 거리낌을 가질 필요가 없다. 다만, ‘이건 아니지, 이건 진실이 아니야.’라고 말하지 말고 그냥 ‘지금 이 시점에서 내 마음이 이것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구나.’라고 생각하라고 조언한다. 오히려 이런 방식이 더 합리적이고 이성적일 수 있다. 어떤 지혜의 책을 수년간 읽고 또 읽어도, 읽을 때마다 마치 새로운 책을 읽는 것 같은 느낌을 누구나 한 번씩은 경험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마음이 열림에 따라 전에는 볼 수 없었던 더 깊은 층의 의미들을 발견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해하지 못했던 걸 언젠가 나중에 다시 이해할 수도 있다. 처음 불교를 접한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제 막 명상을 실천하고 싶은 서양인들의 관심사는 ‘화’다. 많은 서양인이 ‘분노’를 가라앉히기 위해 법문을 듣고 명상을 한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선 우선 자신과 화해를 해야 한다. 텐진 빠모는 서양에서는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게 너무 가혹하다고 말한다. 자신의 단점은 빠짐없이 알지만, 자신의 선한 점은 알려고 들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에게 “난 정말이지 화가 너무 많아.”라고 얘기하며 행복해한다. 하지만 속마음으로조차 ‘나는 화가 많아. 하지만 또한 관대한 사람이기도 해.’라고 말하려 들지 않는다. 화를 없애기 위해서는 나를 불편하게 하는 사람들을 다른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지만 그 전에 우선 자신과 화해하지 않으면 아무리 법문을 듣고 명상을 해도 소용없다고 말한다. 이제 어느 정도 수행에 익숙한 서양인들이 보이는 특징도 있다. 명상의 대상과 명상하는 자를 자꾸 나누어본다는 점이다. ‘여기 내가 있고, 여기 수행이 있고, 내가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마치 산봉우리 두 개가 마주 보고 있는 듯하다. 그러고는 어째서 진전이 없는지 의아해한다. 하지만 본래 마음이란 그 대상과 함께 생멸하게 되는데, 마음을 수행과 계속 따로 떼어 놓으면 합일(合一)이 일어날 리가 없다. 명상을 얼마나 오래 했든 상관이 없다. 텐진 빠모의 강의 그리고 청중 사이에 오가는 질문과 답변을 읽다 보면 어쩌면 21세기를 살아가며 불교에 대해 이해하고 싶은 한국인들에게 더 걸맞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Contents
서문 007
1. 푸른 눈의 수행자
2. 발심(發心)과 수행
3. 불교 윤리 -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기
4. 삶과 죽음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여섯 가지 세계[六道]
5. 여성과 수행의 길
6. 사마타 수행 - 고요 속에 머물기
7. 위빠사나 - 마음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8. 알아차림
9. 서양인을 위한 특별한 가르침
10. 통렌(Tonglen) - 주고받음의 수행
11. 마음의 본성
12. 영적 스승의 역할
13. 밀교
14. 시각화 명상
Author
텐진 빠모,김윤종
제2차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영국 런던 남부에 인접한 하트퍼드셔(Hertfordshire)에서 태어났다. 열여덟이 되던 해 처음 불교를 만났고, 스무 살이 되던 해 배를 타고 인도로 건너갔다. 인도에서 스승 캄뚤 린뽀체를 만나 1964년 사미니(sramanerika) 계를 받고 텐진 빨모라는 법명을 받았다. 1973년 비구니계를 받으며 ‘서양인 여성 최초 티베트불교 비구니’라는 호칭을 얻었다. 1976년부터 1988년까지 12년 동안 인도 히말라야 라훌의 외떨어진 동굴에서 집중 수행에 들어갔다. 마지막 3년은 아예 외출조차 삼가고 폐문 수행을 했다. 동굴을 나온 1988년부터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등을 순회하며 서양인 불자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불법 홍포와 함께 인도에 비구니 수행처를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다. 2008년에는 제12대 걀왕 드룩빠(Gyalwang Drukpa)로부터 깨달음과 여성 수행자 지위 향상에 대한 인정 받아 제쭌마(Jetsunma, 위대한 스승)라는 호칭을 받았다. 1988년부터 시작된 순회 법회는 2022년 마무리했으며 지금은 2000년 세운 인도 히말라야의 비구니 수행처 동규가찰링(Dongyu Gatsal Ling) 사원에서 120여 명의 비구니와 함께 수행하며 교육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영국의 공영방송 BBC는 2003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영감을 주는 여성 100인’에 종교인으로서는 유일하게 텐진 빠모를 선정했다.
제2차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영국 런던 남부에 인접한 하트퍼드셔(Hertfordshire)에서 태어났다. 열여덟이 되던 해 처음 불교를 만났고, 스무 살이 되던 해 배를 타고 인도로 건너갔다. 인도에서 스승 캄뚤 린뽀체를 만나 1964년 사미니(sramanerika) 계를 받고 텐진 빨모라는 법명을 받았다. 1973년 비구니계를 받으며 ‘서양인 여성 최초 티베트불교 비구니’라는 호칭을 얻었다. 1976년부터 1988년까지 12년 동안 인도 히말라야 라훌의 외떨어진 동굴에서 집중 수행에 들어갔다. 마지막 3년은 아예 외출조차 삼가고 폐문 수행을 했다. 동굴을 나온 1988년부터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등을 순회하며 서양인 불자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불법 홍포와 함께 인도에 비구니 수행처를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다. 2008년에는 제12대 걀왕 드룩빠(Gyalwang Drukpa)로부터 깨달음과 여성 수행자 지위 향상에 대한 인정 받아 제쭌마(Jetsunma, 위대한 스승)라는 호칭을 받았다. 1988년부터 시작된 순회 법회는 2022년 마무리했으며 지금은 2000년 세운 인도 히말라야의 비구니 수행처 동규가찰링(Dongyu Gatsal Ling) 사원에서 120여 명의 비구니와 함께 수행하며 교육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영국의 공영방송 BBC는 2003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영감을 주는 여성 100인’에 종교인으로서는 유일하게 텐진 빠모를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