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양식과 심리상담의 실제

$19.44
SKU
979117224573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15
Pages/Weight/Size 152*225*16mm
ISBN 9791172245733
Categories 인문 > 심리
Description
충분히 사랑받은 아이는 자존감도 정서도 건강하게 자라며,
그 시작은 양육자의 따뜻한 마음에서 비롯된다!
현장 경험과 이론을 겸비한 상담학 박사의 깊은 통찰

미해결과제, 걸림, 트라우마로 고통받고 있다면,
심리상담으로 치유받고 삶의 질을 높여라!

관계형성 이론 창안자, 임향빈 박사가 전하는
사례 중심 심리상담 기법의 이론과 실제

정서란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을 뜻한다. 사랑, 온정, 이해, 배려, 수용, 기쁨, 슬픔, 놀람, 혐오, 화, 두려움, 갈등 등이 이에 속한다. 인간의 정서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어린 시절 양육자의 역할은 매우 절대적이다. 사랑과 온정, 칭찬 속에서 자란 아이는 올바른 애착 형성을 하게 되고 인정 욕구가 충족되어 자아존중감이 높은 어른으로 성장한다. 그러나 자기중심적이고, 예측 불가하고, 냉정하고, 칭찬에 인색하고, 정이 부족한 양육자 아래에서 성장한 아이의 경우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피해의식이 높아진다. 아이에게는 부정적 방어기제가 형성되고, 그렇게 성장하면서 미해결과제와 트라우마가 남아 성인이 되어서도 심인성 질환을 갖게 된다. 따라서 아이를 기르는 양육자들은 반드시 아이의 올바른 정서 형성을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공부해야만 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양육자의 태도가 아이의 정서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아이가 성장하여 청소년기를 보내거나 성인이 되었을 때 어린 시절에 형성된 정서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고찰한다. 또 저자는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전문 심리상담사로서 실제 상담 사례도 책에 실었다. 아이를 기르고 있는 부모 혹은 예비 양육자, 그리고 심리상담을 공부하고 있는 독자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정서양식

1장 | 정서와 인정 욕구
1. 정서
2. 인정 욕구

2장 | 인성과 인성 교육
1. 인성
2. 인성 교육

3장 | 양육자
1. 마음의 날씨
2. 양육과 아이

4장 | 육아와 애정의 성장
1. 육아와 아이의 발달
2. 애정 상실이 미치는 영향

5장 | 부부
1. 부부의 이해
2. 배우자의 선택
3. 가정
4. 부부의 갈등

6장 | 부모 교육
1. 부모 교육
2. 부모 교육의 역사

7장 | 관계형성 이론
1. 관계형성 이론의 이해
2. 심리적 발달 과정
3. 내적기제와 치유적 접근
4. 치유적 활동 및 사용 기법
5. 관계형성 이론의 상담 모형

제2부 상담의 실제

사례 1 | 부모의 갈등으로 인한 아이의 이중적 정서 표출
1. 사례 개요
2. 상담 요약

사례 2 | 어둠 속에서 빛을 갈망하는 내담자
1. 사례 소개
2. 내담자의 기초 정보
3. 상담 목표와 접근 방법
4. 상담 과정
5. 함께 생각해보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임향빈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상담학박사(상담심리학전공)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가족상담연구소(www.koreanfci.co.kr) 소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가족상담, 부부상담, 개인상담, 슈퍼비전, 교육 등을 하고 있다. 저서 및 연구물로는 『단기상담의 이해와 실제』, 『심리상담의 이해와 대상중심 가족치료의 실제』, 『단기 협의이혼상담 모형 개발』, 『가족갈등 문제를 가진 빈곤여성가구주의 변화과정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탈빈곤 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국내입양 활성화를 위한 교회 내인식전환』 등이 있다.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상담학박사(상담심리학전공)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가족상담연구소(www.koreanfci.co.kr) 소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가족상담, 부부상담, 개인상담, 슈퍼비전, 교육 등을 하고 있다. 저서 및 연구물로는 『단기상담의 이해와 실제』, 『심리상담의 이해와 대상중심 가족치료의 실제』, 『단기 협의이혼상담 모형 개발』, 『가족갈등 문제를 가진 빈곤여성가구주의 변화과정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탈빈곤 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국내입양 활성화를 위한 교회 내인식전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