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한 신앙과 실천하는 저항으로 어려움 속에서도 신념을 지킨 정신적 항일의 모델이 되다
로마 카타콤, 알프스의 왈덴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항쟁의 역사, 적목리 공동체의 진실!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순교의 정신으로 지켜낸 종교적 신념에 관한 이야기이다. 일제강점기 말엽 하늘 아래 첫 동네로 불렸던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심산계곡에 피신해서 공동생활로 폭압적인 일제의 제국정책을 결연히 거부했던 70여 명 신앙인들의 일부 생활과 기억을 정리한 글이다. 얼마나 많은 종교적인 박해가 있었는지, 얼마나 많은 교인이 희생당하고 도피 생활을 하며 고난을 겪었는지 실제 어려움을 겪은 교인들의 기억이 생생하게 들어있다.
그 당시 지도자들은 일제의 패망을 확신하고, 경향 각지로 다니면서 민족 계몽과 전도 활동을 펼쳤다. 적목리 공동체는 1943년 9월부터 1945년 해방되기까지 만 2년 동안 강제 징용과 징병, 정신대, 신사참배, 창씨개명, 황국신민서사, 궁성요배, 일본 말과 교육 등 일제의 제국정책을 죽을 각오로 반대했다. 어떤 기관이나 조직 또는 교회의 도움 없이 풍찬노숙(風餐露宿)하고 초근목피(草根木皮)로 연명하면서도, 종교탄압과 징용을 피해 전국에서 찾아오는 청년들과 가족들을 무조건 환영하고 도와주었다. 이들은 동포애와 상부상조의 공동체로 자급자족의 삶을 훈련하고 견디며 조국의 광복을 위해 기도했다.
이곳은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만난(萬難)을 극복하고 신앙 양심과 민족정기를 지킨 한반도 내의 특이한 신앙공동체 유적지이다. 여기는 항일 신앙 역사의 현장으로, 로마제국 시대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생명을 걸고 신앙을 지키기 위해 피신했던 로마의 카타콤(Catacomb)이나, 중세 시대 험준한 유럽의 알프스 산속에서 목숨을 바쳐 진리와 자유를 수호했던 피에몽(Piedmonte) 계곡의 왈덴스(Waldenses) 유적지와 유사하다. 이곳은 신앙적 순수성과 실천적 저항의 조화를 이룬 정신적 항일 모델로서 오늘날에도 귀감이 된다. 이 공동체는 우리 민족의 긍지와 자랑이며, 후대에 전해야 할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는 마치 오래된 흑백 영화를 보는 듯 실감나게 당시의 고난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독립운동가들의 수난에는 못 미치겠지만, 신앙과 민족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고통받은 일반 백성들, 즉 교인들의 어려움은 당시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또 다른 애국의 모습이 아닌가 싶다. 이 공동체는 자랑스러운 항일을 실천했다. 이는 오늘날 격동의 한반도에서 민족적 자존과 독립 의지를 전승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이 시대에도 우리에게 자유와 평화, 더 나은 사회 발전을 위한 개혁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귀중한 역사적 함의를 독자에게 전해줄 것이다.
일제 말기 교회 탄압과 재림교회 상황 ― 김재신
일제강점기의 수기: 최태현 목사의 순교 ― 최희만
인생의 뒤안길에서 ― 김명길
나의 갈 길 다 가도록 ― 유영순
역경의 파고(波高)를 넘어 ― 강태봉
적목리 공동체의 함성
공동체 배경 ― 김재신
공동체 개관 및 성격 ― 이종근
공동체 수기: 삶을 인도하신 하나님 ― 신태식
적목리 공동체 총무로서 ― 신태복
나의 아버지 신태식 목사 ― 신우균
아 하나님의 은혜로 ― 반내현
적목리~민족혼이 살아 숨 쉬던 곳 ― 반상순
부친 반내병 장로를 생각하며 ― 반정일
인고(忍苦)의 세월을 넘어 ― 노사라
적목리 회고 ― 오춘수
사선(死線)을 넘는 하나님의 은혜 ― 최명기
나의 형님 김봉락 장로에 대한 회상 ― 김형락
어둠을 비추던 빛 ― 이대련
또 하나의 적목리 이야기, 신태식 목사님과 나의 누님 ― 신계훈
다른 지역의 함성
지리산 공동체: 신앙의 피난처, 명산(名山) 지리산 ― 최희만
하송관 공동체: 한국인 왈덴스(Waldenses) 가족 ― 조광림
서울 공동체: 이성옥 목사 집의 모임 ― 김재신
순안 공동체: 김호규 장로 댁의 가정 집회 ― 김재신
에필로그
Author
이종근
- 삼육대학교 명예박물관장
- 삼육대학교 전 인문사회대학장, 신학대학장, 신학대학원장
- 미국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 신학석사(Th.M.)
- 미국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 신학박사(Th.D.)
- 미국 성서고고학회(Biblical Archaeology Society), 성서고고학 및 성서신학자 세계 인명록 등재 (1993)
저자 저서
- 메소포타미아 법사상. 2003년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 도서. 2003.
- 히브리 법사상.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추천 우수학술 도서. 2005.
- 히브리 사상. 2007년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 도서. 2007.
- 메소포타미아 법의 도덕성과 종교. 2011년 한국연구재단 지원 도서. 2011 외 논문 다수.
- 삼육대학교 명예박물관장
- 삼육대학교 전 인문사회대학장, 신학대학장, 신학대학원장
- 미국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 신학석사(Th.M.)
- 미국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 신학박사(Th.D.)
- 미국 성서고고학회(Biblical Archaeology Society), 성서고고학 및 성서신학자 세계 인명록 등재 (1993)
저자 저서
- 메소포타미아 법사상. 2003년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 도서. 2003.
- 히브리 법사상.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추천 우수학술 도서. 2005.
- 히브리 사상. 2007년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 도서. 2007.
- 메소포타미아 법의 도덕성과 종교. 2011년 한국연구재단 지원 도서. 2011 외 논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