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다문화가족이 자연환경, 의사소통, 생활방식과 사고방식 차이, 낯선 인간관계 등을 극복하고 한국 사회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새로이 공존해 나가는 방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제1부에서는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형성 과정을 사회적 인식의 형성 이전 시기, 공론화 시기, 지원 확대 시기 등 통시적으로 구별하여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와 언론 쟁점 사안을 통해 국내 다문화가족 담론의 특징과 주요 개념 및 쟁점을 분석한다. 제3부에서는 서구 이민 국가의 다문화가족 담론을 살피고, 이들의 대응 전략을 살핌으로써 한국의 다문화가족 문제를 현실적으로 해결해 나갈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다문화사회와 관련한 연구는 다수 축적되어 있지만,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을 ‘개념의 형성·변천사’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살피고 다문화가족 정책에 대한 비판적이고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서문
제1부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이론적 토대
제1장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연구배경
1. 연구의 배경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제2장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형성과 변천과정
1. 다문화가족 인식 형성 이전 시기(1990년대 중기까지)
2. 다문화가족 공론화 시기(1990년대 후기~2007년까지)
3. 다문화가족 지원 확대 시기(2008년 이후)
제2부 한국의 다문화가족 담론의 주요 개념과 쟁점
제3장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주요 개념 분석
1. 가정폭력
2. 가족관계
3. 가족해체
4. 결혼만족도
5. 고부갈등
6. 국제결혼 이주
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취업
8. 국제결혼 한국 남성의 특성
9. 다문화가정의 자녀양육
10. 다문화가족상담
11. 중도입국자녀
12. 초국가적 가족
13. 공감능력
14. 다문화수용성
15. 대중매체 속의 다문화가족 재현
16. 결혼이민여성의 인권
17. 이주의 젠더화
18. 국제결혼중개업
19.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20.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4장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쟁점
1. 가정폭력
2. 가족관계
3. 가족해체
4. 결혼만족도
5. 고부갈등
6. 국제결혼 이주
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취업
8. 국제결혼 한국 남성의 특성
9. 다문화가정의 자녀양육
10. 다문화가족상담
11. 중도입국자녀
12. 초국가적 가족
13. 공감능력
14. 다문화수용성
15. 대중매체 속의 다문화가족 재현
16. 결혼이민여성의 인권
17. 이주의 젠더화
18. 국제결혼중개업
19.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20.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3부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전망과 과제
제5장 주요 외국의 다문화가족 담론과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을 위한 함의
1. 미국
2. 독일
3. 캐나다
4. 프랑스
5. 영국
6. 호주
7. 일본
8. 대만
제6장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의 특징과 과제
1. 결혼이주여성이 당면한 어려움
2. 한국 다문화가족정책의 특성
3. 다문화가족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4. 한국 다문화가족 담론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Author
유두련
효성여자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독일 기센대학교(Justus-Liebig Universitat Gießen) 대학원 가정관리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조지아대학교(The University of Georgia)에서 객원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족상담복지학과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효성여자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독일 기센대학교(Justus-Liebig Universitat Gießen) 대학원 가정관리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조지아대학교(The University of Georgia)에서 객원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족상담복지학과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