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빛
은하로 밝혀내는 138억 년 우주의 진화
우리나라 최초의 은하천문학자가 우주의 역사에 삶으로 남긴 흔적을 읽다
★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닐 디그래스 타이슨의 《오리진》을 잇는
세계적인 우리 천문학자의 아름다운 우주론 이야기 ★
이 책은 20세기에서 21세기에 이르는, 전 세계 표준우주론이 성립되던 역동적인 시대의 한가운데서 우리 은하천문학자가 이루어낸 치열한 연구 이야기다. 그리고 100여 년에 걸쳐 우주를 탐구한 인류의 여정을 상세히 소개한다. 난제에 거침없이 도전한 저자의 탐구 과정, 우주의 이해에 전환점을 만든 세계적인 천문학자들과의 학문적 교류 경험이 한데 얽혀 더없이 아름다운 우주론이 그려진다.
현존 최고 성능을 가진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주요 임무는 바로 ‘최초의 은하’가 탄생하는 순간을 목격해 빅뱅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다. 이처럼 은하 탐구는 천문학자들의 가장 중요한 목표다. 우주적 규모에서 태양 같은 하나의 별은 보이지 않고 항성, 성간물질, 블랙홀, 암흑물질 등이 중력으로 묶인 거대한 천체인 은하가 우주를 설명하는 가장 기본 단위가 된다. 즉, 은하의 다양한 특성과 공간 분포는 결국 우주의 형태를 파악하는 기초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은하는 모든 천문학자가 던지는 첫 번째 질문인 동시에 우리 우주의 지도를 그리는 가장 중요한 단서인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흐름을 놓치지 않고 은하를 연구해온 안홍배 교수가 있다. 그가 《은하의 모든 순간》에 담은 끈질긴 탐구는 일반 독자들에게 밤하늘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힘을 심어줄 것이고, 학생들에게는 아무도 가지 않은 길에 도전하는 마음을 심어주는 가이드 역할을 할 것이다.
Contents
화보_ 은하의 모든 순간
추천의 말
책머리에
1부 발견의 시대
최초의 은하 관측
우리은하를 넘어서
소백산천문대의 반사망원경
2부 은하의 기원
빅뱅과 원소
우주배경복사의 발견
기소천문대와 막대은하
전 세계 천문학자들의 모임
3부 아인슈타인의 고리
천체분광학의 전설
풀뿌리 회의와 관측 우주론 세미나
초신성을 관측하다
4부 우주론 논쟁
현대 우주론의 기초, 상대성이론의 증명
표준우주론
준정상우주론 토론
우주론의 새로운 시대
5부 천문대 관측 여행
보현산천문대의 건설
사이딩스프링천문대와 날씨
천문학의 메카 마우나케아
6부 은하의 역학
핵고리와 핵나선팔
초대질량블랙홀과 퀘이사
휘어 있는 원반
7부 천문학의 질문들
우주의 거대구조
학자들의 축제
나미비아의 사막에서
파리에서 만난 우주
나가며
부록_ 천문학의 기초 용어
참고 문헌 및 그림 출처
Author
안홍배
은하 관측천문학자.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1회 졸업생이자 천문학과 1호 이학박사이며, 현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외부은하를 관측했으며, 초신성 1993J를 최초로 동정했다. 2015년, 6,000개의 은하를 육안으로 분류한 ‘은하의 형태 분류 목록’을 작성했고 이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참조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막대은하의 구조와 진화, 위성은하계, 은하의 형태 분류, 왜소은하의 별 생성 역사 등이다. 도쿄대학교 기소천문대 및 캐나다 도미니언천문대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있었고, 부산대학교에서 총장 직무 대리를 역임했다. 정년 후 동부산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한국천문학회에서 회장 및 초대 광학분과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천문올림피아드위원장, 용어심의위원회 위원장을 했다. 지은 책으로 《MT 천문학》 《태양계와 우주》(공저) 《구형 항성계의 진화》(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과학의 역사》(공역) 《천문학: 한눈에 보는 우주》(공역) 등이 있다.
은하 관측천문학자.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1회 졸업생이자 천문학과 1호 이학박사이며, 현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외부은하를 관측했으며, 초신성 1993J를 최초로 동정했다. 2015년, 6,000개의 은하를 육안으로 분류한 ‘은하의 형태 분류 목록’을 작성했고 이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참조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막대은하의 구조와 진화, 위성은하계, 은하의 형태 분류, 왜소은하의 별 생성 역사 등이다. 도쿄대학교 기소천문대 및 캐나다 도미니언천문대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있었고, 부산대학교에서 총장 직무 대리를 역임했다. 정년 후 동부산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한국천문학회에서 회장 및 초대 광학분과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천문올림피아드위원장, 용어심의위원회 위원장을 했다. 지은 책으로 《MT 천문학》 《태양계와 우주》(공저) 《구형 항성계의 진화》(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과학의 역사》(공역) 《천문학: 한눈에 보는 우주》(공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