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에 맞선 페미니스트

억압과 멸시, 굴종에서 벗어나 해방을 꿈꾼 여성들
$21.60
SKU
979117153000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0/16
Pages/Weight/Size 140*210*20mm
ISBN 9791171530007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아무도 기억하지 않지만
봄날 햇살처럼 일제에 맞선 페미니스트들


이 책은 일제의 억압과 멸시에 맞서 해방을 꿈꾼 우봉운, 김명시, 조원숙, 강정희, 이경희, 이계순, 이경순 등 일곱 명의 페미니스트에 대한 기록을 담았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여성을 주제로 여성들의 삶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온 역사학자 이임하는 일제 강점기 페미니스트들의 삶과 남긴 글을 통해 어떻게 일제에 맞서 저항했고, 여성들의 삶을 바꾸려고 했는지 생생하게 알려준다.

이 책에 담긴 여성들은 지금까지 역사에서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이들이다. 김명시 정도가 한 시민단체의 끈질긴 노력으로 2022년에 독립운동 업적을 겨우 인정받았고, 우봉운은 불교여자청년회 관련한 연구의 일부로 알려졌을 뿐이다. 저자는 해방공간에 한 편의 글이라도 남아 있는 이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잡지나 신문에 실린 이들의 글을 한 편 두 편 확인하는 작업을 했다. 이 글들을 통해 이들의 일제 강점기 활동을 추적해갔다. 해방공간에서 시작해 일제 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 연구를 통해 이들의 봄날 햇살처럼 따스하고 찬란한 아름다운 실천을 복원해서 책에 담을 수 있었다.
Contents
머리말: 아무도 기억하지 않지만 봄날 햇살처럼 아름다운 역사

1. 우봉운(禹鳳雲, 1893~?) : 억압과 멸시와 굴종에서 단연히 튀어 나오라!

‘죽기를 기하고 통일 독립 위해 나가겠다’
나의 청춘, 명동학교
블라디보스토크 삼일여학교와 철혈광복단
최초, 불교여자청년회의 조직
활발한 사회운동과 ‘돌봄’운동
‘실천적 진출과 맹렬한 이론을 세워 대항하라’
근우회, 여성 개인의 의식적 동원
1931년 근우회 해소, 여성운동 침체기 아닌 새 기축의 시작점
가난에도 굴하지 않고
독신 여성 아파트
기개와 뜨거운 동지애
수백 통의 연애편지 그리고 결혼
남편의 부재와 따뜻한 어머니

2. 김명시(金命時, 1907~1949) : 동아시아를 무대로 일제에 총을 겨눈 투사

조선 잔 다르크의 귀환과 경찰서에서의 ‘자살’(?)
육군 방첩대(CIC)에 체포된 김명시
해방 조선으로 돌아오는 길
남녀 역할이 따로 없다─조선부녀총동맹 중앙집행위원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입학과 중퇴
트랜스내셔널 반제운동가
7년간 감옥살이
김명시의 기개, 재판정에서의 싸움
만기 출옥 후, 조선의용군을 찾아가다
어머니와 항일운동가 집안

3. 조원숙(趙元淑, 1906~?) : 새 세대는 새 사람들의 것이오

가장 통쾌했던 일─교군 타고 도망 올 때
조선여자교육협회 순회연극무용단
‘현모양처주의’ 배격─단발하기
중앙여자청년동맹, 여성운동자의 단결
한양청년연맹과 국제청년기념일?
여성해방을 꿈꾸다
여성해방을 현재화한 근우회
잦은 검거에도 꿋꿋하게
고문 경관 고소 사건의 증인 출석
상해에서 돌아와서
해방, 새 세대는 새 사람들의 것
두 편의 글, 지도자론
굴곡진 역사 앞에서

4. 강정희(姜貞熙, 1905~?) : 고국이 그리워서 찾아오다

조선에 온 아끄니아
청년단체 활동─강연
중앙여자청년동맹과 근우회
독서회 사건
경성지방법원에서의 모욕적 심문
여급도 직업 부인인가
해방과 번역가로 활동

5. 이경희(李瓊姬, 1907~?) : 나는 여성운동에 취미를 가지고 있다

이경희와 권태휘가 만든 가정 1─‘주의에 공명하며’
이경희와 권태휘가 만든 가정 2─‘투사로 만들렵니다’
여성운동이 취미
근우회 경성지회 일꾼
여성해방이란

6. 이계순(李桂順, 1910~?) : 부녀 대중의 완전한 해방 없이는 참된 민주주의 건설 없다

『자본론』을 보내주시오
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의 책 읽기
근우회 중앙집행위원
조선좌익노동조합전국평의회
경성지방법원에 1360원 청구
조선부녀총동맹 총무부장
부녀 대중의 완전한 해방 없이는 참된 민주주의 건설은 없다

7. 이경선(李桂順, 1914~?) : 여성의 참가 없이 전 민족 해방의 완성은 어렵다

조선 여성에게 호소함
조선부녀총동맹 선전부 위원, 뛰어난 웅변가
제주도로 돌아오다
미래의 로자 룩셈부르크라 불리다
독서회 지도와 반제동맹
조선공산당재건동맹─혁명적 노동조합의 조직
구금 생활 2년 만에 서대문형무소를 나와서

주석
참고문헌
Author
이임하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 교수다. 한국 전쟁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으며 언제나 여성들의 이야기와 역사를 고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전염병 전쟁』, 『조선의 페미니스트』, 『이임하의 여성사 특강』,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적을 삐라로 묻어라』,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 여성사 편지』가 있으며,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 『전장과 사람들』,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 교수다. 한국 전쟁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으며 언제나 여성들의 이야기와 역사를 고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전염병 전쟁』, 『조선의 페미니스트』, 『이임하의 여성사 특강』,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적을 삐라로 묻어라』,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 여성사 편지』가 있으며,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 『전장과 사람들』,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