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해’나 ‘환경오염’ 같은 단어조차 등장하지 않는 대부분의 역사 교과서
인류 역사에서 그간 추구해 온 가치를 성찰할 기회를 역사 수업이 제시해야
2024년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2030년 21세, 2050년 41세, 2100년에는 91세가 된다. 22세기까지 삶을 이어 갈 청소년들은 현재에도 미래에도 기후위기라는 큰 위협 속에서 살아야 한다. 지속불가능을 넘어 지구의 거주불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지금, 교육의 각 분야를 막론하고 생태 시민성을 기르기 위한 고민과 시도가 필요한 때다.
우리의 역사 교육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을까? 그동안 역사 교과서들은 산업화를 경제성장과 연관 지어 개발과 발전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해 왔다. 그렇다 보니 대부분의 교과서에는 ‘공해’나 ‘환경오염’ 같은 단어조차 등장하지 않았다. 산업재해, 건강 파괴 문제 등이 사회문제로 부각됐음에도 이를 역사적으로 성찰하는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은 미미했다. 그동안 교과서가 인간과 자연의 분리, 문명과 진보, 개발·국가 주의 서사로 구성되었던 점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는 2021년부터 생태환경사 공부 모임을 꾸려 오고 있다. 생태환경적 관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재구성해 수업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간의 시도와 실천을 『더 늦기 전에 시작하는 생태환경사 수업』에 담았다.
Contents
총론
생태환경사를 공부하고 가르친다는 것
1부 생태환경사 수업의 출발
1. 교사의 준비_기후위기 시대, 역사 교사니까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2. 세계사 수업_세계사 교과서를 낯설게 마주하는 시간
3. 동아시아사 수업_동아시아를 넘나들며 직조하는 생태환경사
4. 한국사 수업_녹색 한국사 수업을 그리다
5. 융합 수업_생태환경 융합 수업의 가능성 넓히기
2부 생태환경사 수업의 다양한 실천
1. 그림_소의 자리가 있는 한국사를 상상하다
2. 설화_설화를 활용한 생태환경사 수업
3. 답사_지역의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는 생태 답사
4. 인터뷰_구술 인터뷰로 산업화와 공해의 역사 돌아보기
3부 생태환경사 수업의 새로운 내러티브
1. 인류세_새로운 세계사를 위한 밑그림
2. 발전 서사를 넘어_역사를 보는 틀의 전환을 향해
3. 수업론_생태환경사 수업 구성을 위한 단계별 접근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