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는 사회복지와의 연계성과 차별성을 가진 실천 방안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문제점을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하지만 가족 전체가 대상이 아닌 가족 구성원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상별 복지의 접근과 별다른 구별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가족 구성원에게 장애가 발생하였다면, 이 문제는 장애를 가진 구성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 가족 전체의 ‘문제’로 보고 접근해야 한다. 가족복지는 개별 대상자를 위한 복지가 아니라 가족체계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접근으로서 가족이 중요한 변수로 다뤄지며, 가족 전체 및 가족관계에 대한 개입이며, 나아가서는 가족이 속한 사회문화적 환경과의 교류까지 포함하는 것이 된다.
이 책은 가족복지에 관한 제반 지식과 가족복지 실천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갖고자 하는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그리고 보육 전공자들과 가족복지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은 각 장별로 가족복지 및 가족복지 실천영역들을 다루면서 그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한 ‘Tip’을 제공하였으며,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볼거리’, ‘읽을거리’를 추가하여 관심 영역을 확장하였고, ‘생각거리’를 제시하여 다양한 논의를 하도록 하고 있다.
Contents
PART 01 가족복지 개관
Chapter 1 가족의 이해
1. 가족의 개념과 기능
1) 가족의 개념
2) 가족의 기능
2. 가족의 변화
1) 가족구조의 변화
2) 가족 기능의 변화
3) 가족 가치관의 변화
3. 가족 연구의 관점
1) 구조기능주의
2) 갈등주의
3)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4) 여성주의
Chapter 2 가족복지의 이해
1. 가족복지의 개념
2. 가족복지의 필요성
1) 가족 기능의 변화
2)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과 욕구의 다양화
Chapter
3) 가족에 대한 개입 관점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