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의 『객사』 길을 가다

고향 칠곡 지명을 따라 그리다
$14.04
SKU
979117048577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11
Pages/Weight/Size 102*148*20mm
ISBN 9791170485773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경북 칠곡군의 대표적인 소설가 이태원, 그의 소설 『객사』의 배경이 된 칠곡 지역의 역사와 설화에 대해 밝힌다. 소설 내 배경을 조피골, 보얀골, 청석골 등의 지명 변천 중심으로 다각도로 살펴본다. 사용된 방언 사전이나 당시 생활 양식, 저술 당시의 시대적 배경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것도 큰 특징이다.
Contents
프롤로그 열 마리의 봉황(十鳳)이 날아드는 팔거천

제1부 소설 『객사』로 길라잡이

『객사』 줄거리를 A4 한 장에 요약
당시 화폐 단위를 오늘날 가치로 환산
인달이네 가족의 출생년도 등 환산
김현순에서 김벽순으로 개명한 뜻은?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판돌이?
갑진년 동학 참사의 유복자 인달
힘없이 얻어터지는 양반, 황보관
반민족(부일) 세력의 십자가를 맨 안 목수
전형적 친일 앞잡이 장사공의 최후
침략자 일본인들의 이름
『객사』는 이태원(작가)부터 이해가 필요

제2부 『객사』의 길을 가다

칠곡(팔거현) 지질과 산천 형성 / 가산산성(架山山城) / 객사(漆谷客舍) / 객사보통학교(?城學校) / 고평역(高平驛) / 구수산(龜首山) / 구천(龜川) / 국우동(國優洞) / 궁성덤(弓城亭) / 남창골(南倉}?) / 내새(川西) / 당나무 골 / 대왕재(大王峙) / 도남 수리지(道南池) / 도덕산(道德山) / 돌고개(石峴) / 마당재(場峙) / 말고개(馬峙) / 말산(馬山) / 보얀골(白米水里) / 북창 마을(北倉里) / 비로실(飛鷺室) / 비각(석)거리(碑閣(石)街) / 소랫골(新落?) / 소랫골 질마고개 / 송림사(松林寺) / 수리못(水理池) / 아시골(阿尸?) / 영봉(靈峰) / 옥녀봉(玉女峰) / 외내고개(外川峴) / 장태실(長台室) / 절골 혹은 불당골(佛堂?) / 제비산(燕山) / 조피골(粟稷?) / 주자미 혹은 주잠(駐暫) / 질마당(長路) / 창마당(倉里) / 천망대(千望臺) / 청석골(靑石?, 구들삐골) / 초당방(草堂房) / 칠곡향교(漆谷鄕校) / 칠곡(柒谷) 혹은 팔거(八?) / 판돌이네 가족의 무덤 / 팔거산성(八?山城) / 팔거천(八?川) / 하마비(下馬碑) / 학정골(鶴亭洞) / 한티재(大峴) / 함지산(咸池山) / 향고마(교동, 교동골, 행교골, 행교마) / 행단(杏壇)

에필로그 소설에서 죽음이 말하는 건
Author
이정웅,한영기,신동환,이대영
전) 대구광역시 녹지과장, 대구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 달구벌얼찾는모임 대표, 팔거역사문화연구회 회장, 현) 나무박사 이정웅(카페) 운영, 그리고 ‘푸른 대구 가꾸기’시민모임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대구가 자랑스러운 12가지 이유』(2000), 『푸른 대구 이야기』(2006), 『대구·경북의 명목을 찾아서』(2009), 『대구인물기행』(2014), 『대구수목원』(2017) 등을 다수 저술했으며, 몸을 담아온 칠곡에서 『이태원의 『객사』 길을 가다』 집필에 후회가 없도록 마음을 쏟았다.
전) 대구광역시 녹지과장, 대구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 달구벌얼찾는모임 대표, 팔거역사문화연구회 회장, 현) 나무박사 이정웅(카페) 운영, 그리고 ‘푸른 대구 가꾸기’시민모임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대구가 자랑스러운 12가지 이유』(2000), 『푸른 대구 이야기』(2006), 『대구·경북의 명목을 찾아서』(2009), 『대구인물기행』(2014), 『대구수목원』(2017) 등을 다수 저술했으며, 몸을 담아온 칠곡에서 『이태원의 『객사』 길을 가다』 집필에 후회가 없도록 마음을 쏟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