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방의 길이
- 벽골제 남북 쪽 접점과 여수토의 위치
2. 중수비에 기록된 제장과 둘레
3. 제방의 크기와 수문의 구조
4. 만수위와 사수위(死水位)
- 도량형의 역사 개요
근황(近況)
- 벽골제 사적비(碧骨堤 史蹟碑)
- 김제 벽골제 비(金堤 碧骨堤 碑)
문제점과 연구과제
1. 문제점
- 규모에 대하여
- 수문의 현재 위치와 제방 높이
- 수월리에 대하여
- 벽골제가 방조제라는 설에 대하여
- 용수로 보전 문제
2. 연구 과제
- 벽골제 지역의 벼 재배 역사
- 전통농경 문화 소택식 영농
- 부윤현 관개(灌漑)의 미스터리
- 수여거 유통거 2거문
- 호안 석축
- 지질학적 검토
- 토랑에 대하여
1. 發掘經過
- A 지구
- B 지구
2. 遺蹟의 構造
水門 石柱
水門 前面 護岸石築(B地點)
堤防構築土
도수로
3. 제방의 構築過程에 대한 검토
4. 시축 연대
- 출토유물과 그 연대
- 방사성탄소에 의하여 측정된 연대
5. 맺는말
6. 윤무병 교수의 발굴조사 보고서에 대한 고찰
벼의 근원과 전래
수리시설
1. 발전 과정
제언사(堤堰司)
2. 보(洑)
3. 국내 유서 깊은 저수지
수산제(守山堤)
의림지
눌제(訥堤)
황등제(黃登堤)
합덕지(合德池)
남대지(南大池)
공검지(恭儉池)
경양지(景陽地)
축만제(祝萬堤)
청제(菁堤)
4. 근세 국내 수리시설
15개 수리조합 내력
부록
Author
공준원
41년 전북 김제 출생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동진 농지개량조합 근무(현 농촌공사 동진지사)
SBC(서해방송) 로타리 농민계몽 방송(1년여)
전) ㈜홍진공업 총무이사
전) ㈜월간자동차 발행인 겸 대표이사
현) 벽골제 조사위원
현) 전통문화연구소 대표
저서
『동진농조 50년 사』
『벽골제와 도작 문화』
『조선왕실 이야기』
『우리 쌀 오천 년』
『신증 벽골제사』
『5궁과 도성』
41년 전북 김제 출생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동진 농지개량조합 근무(현 농촌공사 동진지사)
SBC(서해방송) 로타리 농민계몽 방송(1년여)
전) ㈜홍진공업 총무이사
전) ㈜월간자동차 발행인 겸 대표이사
현) 벽골제 조사위원
현) 전통문화연구소 대표
저서
『동진농조 50년 사』
『벽골제와 도작 문화』
『조선왕실 이야기』
『우리 쌀 오천 년』
『신증 벽골제사』
『5궁과 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