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능 국어의 난이도가 날로 상승하고 있다. 특히 2022년 수능 국어는 ‘역대급’이라고 평가받을 만큼 어려운 난이도였다. 과거에 국어는 수능 첫 시간에 보는 과목일 뿐이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제 국어는 작년부터 수학과 함께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체제로 바뀌면서 문항 배치 등 시험의 형태가 완전히 달라졌다. 결국 절대평가인 국어에서 1등급을 따낸 수험생 비율은 6.5%로 지난해의 절반으로 줄면서, 대학의 당락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목이 되었다. 수능 국어 1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해답은 중학 국어에 있다. 수능 국어 1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중학교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중학 국어와 고등 국어는 배우는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중학 국어에서 배운 학습요소는 고등 국어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중학교 때 국어 공부법을 제대로 배우면, 고등학교에서도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저자 서문_중학교 국어 공부, 어떻게 시작할까
01 일상생활에서도 통하는 듣기·말하기
의사소통은 듣기·말하기가 전부가 아니라고?
듣기에도 차이가 있다
비판적 듣기는 내용의 타당성만을 판단하는 것일까?
상대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공감적 대화
면담도 준비가 필요하다
많은 사람 앞에서 말하려면 준비가 필요하다
많은 사람 앞에서 말할 때 불안한 것이 당연하다
그저 사람들 앞에서 말만 잘하면 되는 것일까?
매체 자료를 활용한 체계적인 발표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사람을 설득하기 위한 전략도 있다고?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한 토의
내가 옳다는 걸 증명하기 위한 말하기인 토론
02 읽기에도 전략이 있다
제대로 읽기 위한 독서 방법을 소개합니다
읽기에도 차이가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읽기
읽기에도 점검이 필요하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결말을 예측하며 읽는다
요약을 통해 읽기를 완성하자
글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에도 종류가 있다
설득하기 위한 논증을 판단하며 읽어보자
03 쓰기 수행평가 만점 비법이 있다고?
기초적이고 실용적인 쓰기 지식부터
무작정 글을 빨리 쓴다고 글쓰기를 잘하는 것이 아니다
설명하는 글쓰기를 위한 쓰기 지식
한 편의 글은 하나의 주제로
객관적인 보고서를 작성하려면
주장도 체계적으로 해야 설득이 된다
04 나의 일상을 문학적으로 표현해보자
직접 설명하지 않고 인상을 주는 표현법이 있다
시어 자체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 상징
시와 음악의 공통점이 있다면
반대로 말하면 강조가 될까?
말이 안 되는 말이 있다
상대방을 비판하는 문학의 간접적인 표현
소설과 희곡에서 필수적 요소인 갈등
소설에서 갖춰야 할 최소 요건
소설 구성에도 3요소가 있다
소설을 전개하는 다양한 전달 방식
문학을 감상하는 다양한 관점
05 문법은 필수 개념만 알면 된다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
자음은 홀로 소리날 수 없다
홀로 소리가 날 수 있는 모음
영어 문법에만 품사가 있는 게 아니다
단어는 같은 방법으로만 만들어지지 않는다
문장 안에서 역할이 있는 문장 성분
우리가 보는 문장은 생각보다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우리말의 어휘는 어떻게 구분할까?
어휘가 환경에 따라 다르게 쓰일 때
어휘끼리도 여러 관계를 맺고 있다
한글의 창제 원리를 알아보자
참고 도서 목록
Author
서정재
중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투스 문제집 검토위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채점위원, 서울 동부교육지원청 온라인 수업 나눔 교사로 활동했다. 수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며 공부를 잘하는 아이와 잘하지 못하는 아이의 차이점을 연구했다. 그 결과 학생들 간의 학업 수준 차이가 많이 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국어가 우리나라 말이기 때문에 별다른 학습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국어는 문해력이 전부가 아니다. 현재 중학교 국어 교육과정에는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학, 문법 영역이 있다. 중학교 성적을 넘어 고등학교 성적까지 준비하기 위해서는 각 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공부법을 알아야 한다.
중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투스 문제집 검토위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채점위원, 서울 동부교육지원청 온라인 수업 나눔 교사로 활동했다. 수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며 공부를 잘하는 아이와 잘하지 못하는 아이의 차이점을 연구했다. 그 결과 학생들 간의 학업 수준 차이가 많이 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국어가 우리나라 말이기 때문에 별다른 학습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국어는 문해력이 전부가 아니다. 현재 중학교 국어 교육과정에는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학, 문법 영역이 있다. 중학교 성적을 넘어 고등학교 성적까지 준비하기 위해서는 각 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공부법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