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의 취지에 따라 조선의 옥사에서 신원되지 못한 자들에 관한 변명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책의 구성은 대개 억울한 옥사가 많았던 정권초기와 사화, 당쟁을 중심으로 독자들이 알기 쉽게 만들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l태조의 왕씨 수장
공양(恭讓)의 공양(供養)으로 새 왕조가 섰다
소경이 문고리를 잡았다
피는 피를 부른다
누가 왕씨들을 살해하였나
무슨 죄목으로 왜 죽였나
희생자들의 수는 몇이나 될까
제2장l태종의 척신(戚臣) 척
태종의 선위 소동
궁녀들로 인한 부부싸움
이강(釐降)의 의논
이화(李和)의 민씨 형제 탄핵
태종의 변명
세자가 명나라 진표사로 떠나다
민제(閔霽)가 붕당을 만들었다
이무(李茂; 단양군)의 옥사
그 입! 그 입이 말썽이 되었다
민무구, 민무질의 자진
꿈 이야기로 죽은 사람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가뭄, 흉년, 기근이 들다
민무휼, 민무회의 죽음
심온가의 비극
강상인의 옥사
나는 죄가 없다
제3장l세종 선정(善政)의 빛과 그림자
대왕이 겪은 인종의 세월 4년
사냥꾼은 들짐승을 반드시 잡고 만다
태종이 악연(惡緣)들을 갖고 떠나다
조용히 앞날을 조망하다
이맹종의 자진(自盡; 자결)을 명하다
안씨 부인의 복권
백성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대책들
수령고소금지의 법
율문을 이두문으로
옥의 티, 유감동 사건
제4장l세조대의 여인들
아들과 남편의 넋을 찾아
공신들의 여인행각
제5장l성종비 윤씨의 원혼
중궁 윤씨를 폐하다
억울한 사건 조작
중궁 윤씨의 변
아내를 죽인 최초의 군왕
소인 논쟁
제6장l갑자사화
대간의 연산 길들이기
어머니에 대한 연산의 효심(孝心)
엄숙의와 정소용에 대한 보복
대신들의 억울한 죽음
피에 굶주린 절대자의 칼
살아남은 자들의 이야기
반정신에 척살된 자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수학(Fulbright 장학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전북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행정대학원장
원광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 출강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정보학회 초대 회장 역임
현) 전북대학교 명예교수회 회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수학(Fulbright 장학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전북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행정대학원장
원광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 출강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정보학회 초대 회장 역임
현) 전북대학교 명예교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