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서 한 왕조가 500년을 지속한다는 것은 그냥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수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는 중국만 하더라도 500년 이상 유지된 왕조는 없다. 우리나라는 최소한 고려와 조선 두 나라 이상이 500여 년이라는 긴 왕조를 유지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하나의 왕조가 500여 년이나 지탱할 수 있었을까? 역사는 수많은 사실들이 모여 이루어지며 그러한 사실들을 해석하는 것은 후대의 몫이라고 생각된다. 필자는 이 문제를 ‘고발’이라는 역사의 숨겨진 그림자 속에서 찾고자 하였다. 우리 조상들의 삶 속에서 고발이 얼마나 오랫동안 뿌리 깊게 자리 잡았는지를 시대별로 고발된 사례들을 통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고발의 수레
01 고발의 수레
1. 도적(盜賊)의 고발
2. 관료 부패의 고발
02 고발 수레의 네 바퀴
1. 고발 수레의 첫 바퀴: 고발 관아
2. 고발 수레의 둘째 바퀴: 불고지죄(不告之罪)
3. 고발 수레의 셋째 바퀴: 자수지예(自手之例)
4. 고발 수레의 넷째 바퀴: 고발자 보호
03 고발 수레의 짐
1. 무고(誣告)의 남발
2. 보상금의 폐해
3. 불법을 모면하려는 묘수, 선발지계(先發之計)
04 내부고발의 수레
1. 고려시대의 내부고발
2. 조선시대의 내부고발
3. 일제 강점기의 내부고발
05 요언(妖言)과 요서(妖書)의 빈 수레
1. 유언비어(流言蜚語)
2. 익명의 고발서
3. 고발 벽서(壁書)
06 삼국시대와 고려의 고발
1. 삼국시대의 참소
2. 고려의 역모 고발
3. 고발 방문(榜文)의 활용
07 조선의 고발 보상금
1. 다양한 고발 보상금
2. 고발 방문(榜文)
제2장 신문고
01 왕과 백성의 소통(疏通)
1. 조선 역대 왕의 소통관
2. 조선의 궁: 왕과 신하 그리고 백성이 교감하는 곳
02 신문고(申聞鼓)의 소리
1. 신문고의 관리
2. 북을 친 사연의 처리
3. 역대 국왕과 신문고
4. 신문고, 부정에 대한 자율적인 감시 시스템
5. 신문고와 부민고소금지법(府閔告訴禁止法)의 조화
03 격쟁(擊錚)
1. 왕의 이목을 끄는 기상천외한 방법
2. 격쟁, 부정에 대한 자율적인 감시시스템
04 가전상언(駕前上言)
05 신문고 200여 년 만의 부활
용어 설명
Author
곽형석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졸업
충남대학교 행정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행정학 박사 수료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 국제범죄와 부패연구소 초빙연구원
(2005. 08∼2007. 07)
행정고시 36회
대전광역시 교육청 학사계장
국무총리실 정무과장
부패방지위원회 제도개선 담당관
현) 국민권익위원회 부패영향분석과장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졸업
충남대학교 행정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행정학 박사 수료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 국제범죄와 부패연구소 초빙연구원
(2005. 08∼2007. 07)
행정고시 36회
대전광역시 교육청 학사계장
국무총리실 정무과장
부패방지위원회 제도개선 담당관
현) 국민권익위원회 부패영향분석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