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사람들은 자기의 눈으로 남의 얼굴은 볼 수는 있었지만 자신의 얼굴은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거울이라는 것을 만들어 그것으로 자기 얼굴을 보았다. 또 지혜가 있어 그것으로 남을 평가할 수 있었지만 자신의 지혜는 잘 알 수가 없었기 때문에 도라는 것으로 자기를 바르게 파악했다.
그러므로 거울에 얼굴을 비쳐보고 얼굴에 흉터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하더라도 거울에 죄가 있는 것이 아니며, 옛 성현의 도에 비쳐보고 자기의 과실을 알았다 하더라도 도를 원망할 수 없는 것이다.
만약 눈이 있어도 거울이라는 것이 없다면 얼굴에 숯검정이 묻어 있다하더라도 바로 다듬을 수가 없는 것처럼, 세상에 옛 성현의 도가 없게 되면 언행의 과실이 있어도 이것을 알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없다.
학문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지금 당장은 입맛에 맞고 눈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지만 진정 우리 삶에 필요한 자양분은 마음의 양식인 옛 성현의 경서이다.
Contents
머리말
1 법가를 집대성한 한비자
2 천하통일에 기여한 한비자
3 시대가 변하면 생각과 행동도 따라서 변해야 한다
4 현실의 적합성을 왜곡한 어리석은 사람들의 이야기
5 사람은 꿈보다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것을 원한다
6 사람의 본성은 이기적이다
7 법술은 군주의 막강한 힘이다
8 법술을 시행할 때는 실용성이 중요하다
9 법은 실생활의 규범이다
10 군주는 저울대 같은 상과 벌(이병)을 갖고 있어야 한다
11 이병은 군주가 장악하고 엄하게 실시해야 한다
12 상은 공정해야 하고 벌은 엄해야 한다
13 군주가 도를 잃고, 신하가 예의를 잃는 일
14 군주가 지켜야 할 6가지 기미
15 현명한 군주가 지켜야 할 일
16 군주가 신하를 복종시키는 세 가지 방법
17 군주가 신하를 다스리는 방법
18 나라를 패망으로 이끄는 군주의 10가지 과실
19 호미로 막을 곳을 가래로 막는 경우
20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
21 명분이 있어야 실리가 있다
22 삶의 지혜가 학문보다 실용적이다
23 유세의 위력
24 지혜와 현자에 관련된 이야기
25 한비자가 남긴 역사적 의의
Author
변원종
한남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철학박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상담원
한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 국학고전 전임연구원
한남대학교 철학과 강의전담교수
주요 저서
『주자의 철학』(공저)
『朱子學의 形成과 論辨의 思惟構造』
『朱子學과 陸王學』
『동양의 삶의 지혜』
『세상의 이치를 담은 한비자』
『역주 예송논쟁??(공역주)
『역주 家禮源流(市南本)』(공역주)
『공자 2,500년의 시간여행』
『동양고전의 윤리의식과 도덕적 인물』
『참된 도를 찾는 인격수양의 길』(공저)
주요 논문
『朱子의 格物致知에 관한 硏究』
『禮樂思想과 中和思想의 相關性에 관한 考察』
『고봉 기대승의 윤리관』
『道敎의 宗敎的 特性과 長生·神仙說에 관한 연구』
『孔子의 禮樂思想을 통해서 본 和諧性』 외 다수
한남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철학박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상담원
한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 국학고전 전임연구원
한남대학교 철학과 강의전담교수
주요 저서
『주자의 철학』(공저)
『朱子學의 形成과 論辨의 思惟構造』
『朱子學과 陸王學』
『동양의 삶의 지혜』
『세상의 이치를 담은 한비자』
『역주 예송논쟁??(공역주)
『역주 家禮源流(市南本)』(공역주)
『공자 2,500년의 시간여행』
『동양고전의 윤리의식과 도덕적 인물』
『참된 도를 찾는 인격수양의 길』(공저)
주요 논문
『朱子의 格物致知에 관한 硏究』
『禮樂思想과 中和思想의 相關性에 관한 考察』
『고봉 기대승의 윤리관』
『道敎의 宗敎的 特性과 長生·神仙說에 관한 연구』
『孔子의 禮樂思想을 통해서 본 和諧性』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