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는 개인의 생명과 재산은 물론 기업의 존폐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생산, 품질 등과 더불어 안전은 기업경영에 가장 중요한 사안 중 하나라 할 것이다. 안전경영은 ‘여러 범주의 안전을 포괄하여 기업 운영상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를 없앨 목적으로, 인적·물적 자원을 집중하여 수행하는 활동’이다. 이를 위해 기업은 사업장 내 위험 요인을 발굴하여 제거·대체·통제 등의 방안을 마련해 이행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즉 경영책임자가 재무 목표 달성을 위한 관리를 하듯이 안전도 경영의 일부라는 인식하에 안전 목표 달성을 위해 산업재해 예방 시스템 등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안전경영은 중대재해처벌법 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는 말이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장·단점을 논하기 전에 이 법의 영향력이 그만큼 강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대기업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라 CSO를 선임하고, 안전관리 전담조직을 정비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중소·중견기업들의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대기업의 경우 재정적·조직적 대응이 가능하나, 중소·중견기업은 상대적으로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해 안전경영을 처음 시작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중견기업 경영자와 안전경영 실무자에게 도움을 주고자 작성하였다. 다만, 이 책에서 제안하는 안전경영 가이드는 전적으로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므로 기업의 규모, 사업운영 방식, 조직 형태 등 다양한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취할 건 취하고 생략할 건 과감히 생략하거나 수정·보완하여 적용해 보기를 바란다.
Contents
서문: 중대재해처벌법 전(前)과 후(後)
Section Ⅰ. 따라 하기에 앞서
1. 안전경영 이해하기
1) 안전경영의 정의 [What]
2) 안전경영의 목적 [Why]
3) 안전경영의 실행 [How]
2. 현 수준 파악하기
1) Measure의 중요성
2) 요구수준과 활동수준
3) 수준파악 Assessment
3. 목표 수립하기
1) 방향성과 전략 수립
2) 과정지표와 결과지표
3) Master Plan 수립
Section Ⅱ. 본격적으로 따라 하기
1. Set-up 단계
1) 전담조직(EHS Organization) 구성
2) 운영체계(Operation Process) 수립
3) 필요환경(EHS Infra) 구축
2. Level-up 단계
1) 인증제도 활용하기
2) 안전문화 확산하기
3) 업무역량 향상하기
3. Firm-up 단계
1) 자율참여(Self-motivation) 유도하기
2)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유지하기
Section Ⅲ. 사례 따라 하기
1. 신규 사업장 안전경영 Set-up
1) 현황 파악하기
2) 계획 수립하기
3) 전담조직 구성하기
4) 운영체계 수립하기
5) 필요 환경 구축하기
2. 기존 사업장 안전경영 Level-up
1) 현황 파악하기
2) 계획 수립하기
3) 인증제도 활용하기
4) 안전문화 확산하기
5) 업무 역량 향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