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을 만나다』는 신앙과 수행의 안내서이면서 보살도의 궁극적인 목표를 지향하는 〈금강경〉의 기존의 많은 주석서에서 경문의 이해에 필요한 대목을 간추리고 발췌하여 길지 않은 해석을 가한 것이다. 〈금강경〉의 총론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인 발심과 그로부터 전개되는 무집착, 무분별에 대한 깨달음을 터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논문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조선중기 선교관의 변천과 특징 고찰」, 「선종에서 조사신앙의 유형과 그 특징」, 「선종의 법맥의식과 전등사서의 형성」, 「『금강삼매경』과 무언 및 침묵의 선리 고찰」 등이 있고, 저술로 『선리연구』, 『선의 어록』 등 다수가 있으며, 번역서로 『금강삼매경주해』, 『통록촬요』 등 다수가 있다.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논문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조선중기 선교관의 변천과 특징 고찰」, 「선종에서 조사신앙의 유형과 그 특징」, 「선종의 법맥의식과 전등사서의 형성」, 「『금강삼매경』과 무언 및 침묵의 선리 고찰」 등이 있고, 저술로 『선리연구』, 『선의 어록』 등 다수가 있으며, 번역서로 『금강삼매경주해』, 『통록촬요』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