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왜 위험하고
우리는 어떤 위험한 세상에서 살고 있는지,
어떻게 하면 위험한 세상에서 안전하게 살 수 있는지에 대한 해답이다!
오늘날 현대를 살아가는 공중들은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그 어느 누구도 스스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자각하지 못한다. 우리 사회를 커다란 충격으로 몰아넣었던 세월호 사건뿐만 아니라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붕괴, 불산 가스누출사고 등은 충격적 사건들은 빠르게 사람들에게 잊히고 있다.
결국 지금의 위험영역은 일반 사람들이 이해하기에는 난해한 영역에 속하고, 위험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위험이 일상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깨닫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서를 통해 사람들이 한국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 위험환경을 제대로 이해하고, 위험과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켜 현실적 위험이나 잠재적 위험, 혹은 실제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 대응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유용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Contents
머리말
Chapter 01 우리는 위험으로 달려가는 폭주기관차에 탑승 중
1. 위험이라는 폭주기관차
2. 우리의 종착역은 어디일까?
3. 위험은 운이라고?
4. 손으로 위험 가리기
Chapter 02 위험 패러독스
1. 위험에는 눈이 없다
2. 위험이라는 이름의 독배
3. 가해자는 있으나, 피해자는 없는 위험
4. 안전과 안심의 경계
Chapter 03 사람들이 모르는 위험 심리
1. 사람들은 왜 위험을 지각하지 못하는가?
2. 나와는 거리가 먼 위험
3. 위험할수록 나에게 돌아오는 이익은 크다?
4. 사람들이 위험을 과대평가하는 이유
5. 미디어가 더 위험해
Chapter 04 위험세상(사회)에서 살아남기
1. 위험의 진화
2. 하나보다는 열이 좋다
3. 위험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한 조건
4. 위험은 안전을 넘어 안심으로
Chapter 05 결여
참고문헌
Author
김찬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유플러스연구소 부소장(이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과학기술, 첨단의 10대 리스크』(2016, 공저), 『한국 실패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해외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이 있으며, 연구논문으로는 <한국 직장인의 일-가정 양립이 분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2019), (2017), <지진에 대한 지리적 측면의 거리감과 관여도, 감정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2017),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2016), <공중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성, 위험인식, 효용성에 관한 연구>(2015),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2015), <디지털위험 관리조직에 대한 신뢰가 위험지각과 위험관리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2015) 등이 있다.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유플러스연구소 부소장(이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과학기술, 첨단의 10대 리스크』(2016, 공저), 『한국 실패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해외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이 있으며, 연구논문으로는 <한국 직장인의 일-가정 양립이 분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2019),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ublic’s risk characteristics, trust,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MERS>(2017), <지진에 대한 지리적 측면의 거리감과 관여도, 감정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2017),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2016), <공중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성, 위험인식, 효용성에 관한 연구>(2015),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2015), <디지털위험 관리조직에 대한 신뢰가 위험지각과 위험관리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2015)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