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네시스 그 영혼의 날갯짓 (큰글자도서)

지성에 선함을 입혀라
$43.20
SKU
97911698307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1/31
Pages/Weight/Size 200*276*30mm
ISBN 9791169830720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엑크라테이아’, ‘소프로쉬네’, ‘프로네시스’, ‘프락시스’, ‘아가토스’, ‘칼로스’, … 이와 같은 독특한 언어들로 형성되는 세계는 결코 공허한 세계가 아니다. 이 언어들이 만드는 세계는 인간 영혼이 ‘있는 그대로의 세계’에서 발하는 원초적 충동을 스스로 정화하고, 그 결과로 변신을 거듭하면서 이룩하는 세계이니 그렇다. 하지만 이 독특한 세계는 우리의 육안으로는 볼 수 없으니, 어차피 우리가 만들어낸 이와 같은 독특한 언어와 이 언어들로 엮어지는 형식을 통해서밖에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 언어들이 엮어지는 형식에는 분명 우리의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힘이 작용할 것이다. 이 언어들 사이에는, 마치 밤하늘의 별 무리가 그렇듯이, 서로가 서로를 끄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할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서로 한 무리를 이룰 것이다. 그런데 이들을 엮어내는 그 보이지 않는 만유를 이끄는 인력과 같은 그 ‘힘’이란 무엇인가? 그 정체를 밝히는 것이 이 책의 주제다.

이 책은 이미 세상에 나와 있는 저자의 다른 작품 『플라토닉 러브』와 『공자, 그런대로 편안한 세상 만들기』를 쓰고 난 뒤에 얻어낸 인간 본성에 관한 어렴풋한 이미지의 디테일이다. 이 도서들은 모두 선(善)을 지향하는 인간 영혼의 존재 양식에 관한 담론이다. ‘선함의 날갯짓’을 밑그림으로 삼은 이 책은 추상화된 나비의 날갯짓을 아풀레이우스가 〈프시케의 이야기〉의 주제로 삼은 ‘영혼의 변신 과정’과 나란히 놓고자 했다. 즉 인간 프시케의 영혼이 신성神性을 얻게 되는 아풀레이우스의 문학적 알레고리를, 철학적 모형으로 재구성하여 인간 영혼의 본질과 그 변신을 철학적 프레임으로 재조명하고자 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간 영혼의 참모습, 즉 프로네시스를 신의 모습으로 조각해 보고자 했다.
Contents
프롤로그: 영혼의 날갯짓, 나비는 왜 꽃을 찾아 나는가

Ⅰ. 신화 속의 영혼

제1장 프시케의 변신과 영혼의 언어
아풀레이우스의 프시케 이야기
영혼의 세계와 과학
‘영혼’의 용법
나비와 영혼의 변신
프시케 이야기
제2장 신화에 투영한 영혼의 자화상
신화, 영혼의 자화상
신화 속의 영혼, 그 치세治世의 인륜人倫
자화상의 가로와 세로, 파토스와 로고스

Ⅱ. 영혼의 경이로운 탄생

제3장 영혼이란 무엇인가
데 아니마 가설
‘영혼’의 고고학: 자연철학자들의 가설
데 아니마 가설: 영혼은 육신의 현실태
제4장 영혼의 형상, 엔텔레케이아
엔텔레케이아의 과정
영혼의 꽃이 필 때면
제5장 원초적 충동과 영혼의 자유
분석심리학의 가설
영혼의 원초적 충동
생물학의 한계를 넘어
영혼의 자유, 그 인문학적 패러다임
분석심리학과 인문학의 증언

Ⅲ. 영혼의 정화와 변신

제6장 정화의 샘, 철학
정화와 자유학예
정화와 영혼의 자유
제7장 디알렉티케의 길
가야 할 길과 갈 수 없는 길
디알렉티케의 길
디알렉티케의 계단
디알렉티케의 목적지

Ⅳ. 영혼의 세계

제8장 영혼의 논리, 그 혼화의 미학
선善과 필연必然의 논리
영혼의 힘, 그 중간자中間子의 역학力學
영혼의 혼화
中의 논리와 혼화混和의 미학
제9장 실천이성의 형상, 프로네시스
아풀레이우스의 프시케 이야기
프로네시스의 날갯짓, 그 영혼의 언어
프로네시스의 논리
프로네시스와 프락시스
프로네틱 아포리아
제10장 토 아가톤, 그 가상적 현실
‘선함’의 자리
‘선한 것’의 원인자原因子
실천적 판단과 선함의 논리
‘선함’, 그 가상적假想的 실재實在
영혼의 집, 그 가상적 현실

에필로그: 영혼의 에네르게이아는 프로네시스의 논리였다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조무남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명예교수. 영국 런던대학교 교육과학원 철학박사(교육철학)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인 「Knowing, doing and the moral mind」는 런던대 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주요 저서로 『앎과 삶 그리고 덕』, 『Liberal Education & the Logic of Moral Language』, 『교육학론 (2005대한민국학술원우수학술도서)』, 『영국교사교육제도 (2008대한민국학술원우수학술도서)』, 『교육과 사상의 발달 (2009대한민국학술원우수학술도서)』, 『플라토닉 러브: 인간 영혼은 어떻게 사랑을 하는가』 등이 있다.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명예교수. 영국 런던대학교 교육과학원 철학박사(교육철학)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인 「Knowing, doing and the moral mind」는 런던대 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주요 저서로 『앎과 삶 그리고 덕』, 『Liberal Education & the Logic of Moral Language』, 『교육학론 (2005대한민국학술원우수학술도서)』, 『영국교사교육제도 (2008대한민국학술원우수학술도서)』, 『교육과 사상의 발달 (2009대한민국학술원우수학술도서)』, 『플라토닉 러브: 인간 영혼은 어떻게 사랑을 하는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