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어느 나라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그가 속한 국가의 보이지 않는 제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북한 주민들도 예외는 아니다. 북한 주민들의 삶 이란 단순하게 먹고, 입고, 자는 것만이 아니다. 그들은 어떻게 먹거리를 마련하고, 어떠한 모양의 옷을 입으며, 어떻게 자고, 무엇으로 재충전하면서 살아가고 있을까? 이 책은 그런 질문에 답하며 실제 있는 그대로의 북한을 살피고자 보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법, 제도 등의 상부 구조가 주민들의 실제 모습인 하부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나아가 북한에 대한 좌우 편향을 걷어내고 다양한 집단의 주민들이 살아가는 나름의 일상의 모습을 쓰는 데 집중하였다. 특히 중요성과 규모, 조직의 비중, 나아가 북한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학생, 노동자, 농민, 군인, 노동당원, 의사, 무직 여성의 모습에 집중하였다.
Contents
서문
제1장 왜, 북한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주목하는가
1. 북한연구의 필요성
2. 일상생활 연구가 주는 의미
제2장 북한 학생들의 일상생활
1. 북한 소학교 학생들의 일상생활
2. 북한 중학교 학생들의 일상생활
3. 북한 대학생들의 일상생활
제3장 북한 노동자들의 일상생활
1. 북한에서 노동자들의 직장 배치는 어떻게 진행되나?
2. 북한 노동자들의 하루 생활은?
3. 북한 노동자들의 휴일과 여가 생활은?
4. 북한 노동자들의 조직 생활은?
5. 북한 노동자들의 퇴직 이후 삶은 어떻게 살아갈까?
제4장 북한 농민들의 일상생활
1. 북한에서 농민들의 농장 배치는 어떻게 진행되나?
2. 북한 농민들의 하루 생활은?
3. 북한 농민들의 수입은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는가?
4. 북한 농민들의 휴일과 여가 생활은?
5. 북한 농민들의 조직 생활은?
6. 북한 농민들의 퇴직 이후 삶은 어떻게 살아갈까?
제5장 북한 군인들의 일상생활
1. 북한의 군복무 기간
2. 북한군 입대 기준과 절차
3. 북한 군대 신병들의 훈련
4. 북한 군인들의 하루 일과 모습
5. 북한의 군 내 조직 생활
6. 북한 군인들의 전역과 사회 복귀
제6장 북한 노동당원의 일상생활
1. 누가 당원이 되는가?
2. 조선로동당 조직 이해
3. 조선로동당과 주민과의 관계
4. 조선로동당 당원의 하루 생활
5. 조선로동당원의 휴일과 여가
제7장 북한 의사들의 일상생활
1. 북한에서 의사는 어떻게 양성되는가?
2. 북한의 의학대학 현황과 공부 내용
3. 북한의 의사면허제도
4. 북한의 의료전달체계
5. 북한의 진료체계와 의사들의 일상생활
6. 북한 의사들의 일상과 여가활동
7. 북한 의사들의 은퇴와 노후 생활
제8장 북한 무직 여성들의 일상생활
1. 북한에서 무직 여성이란 어떤 사람들인가?
2. 북한의 여성동맹의 역할 변화 과정
3. 북한에서의 시장 - 무직 여성들의 삶의 터전
4. 북한 여성의 지위와 일상생활
5. 북한 무직 여성들의 일상
6. 북한 무직 여성들의 휴일 및 여가 생활
7. 북한 여성들의 노후 생활
결문
Author
김정수
대구대 자유전공학부 조교수.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북한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통일정책전문위원(고공단), 통일부 인도협력국 국장 (고공단), 통일연구원 객원 연구위원,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연구센터장과 기획총괄실장 등을 역임했다. 연구 실적으로는 『북한 이해의 축(軸)』이 대표 저서이며, 「경상북도의 실효적 남북교류협력 추진방안」(공저), 「대구지역 북한이탈주민의 효 과적 지역정착지원체계: 굿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남북한 인도협력의 호혜성 제고 방안」, 「인도적 대북지원과 북한체제의 존속력에 미친 영향」 등의 논문이 다수 있다.
대구대 자유전공학부 조교수.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북한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통일정책전문위원(고공단), 통일부 인도협력국 국장 (고공단), 통일연구원 객원 연구위원,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연구센터장과 기획총괄실장 등을 역임했다. 연구 실적으로는 『북한 이해의 축(軸)』이 대표 저서이며, 「경상북도의 실효적 남북교류협력 추진방안」(공저), 「대구지역 북한이탈주민의 효 과적 지역정착지원체계: 굿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남북한 인도협력의 호혜성 제고 방안」, 「인도적 대북지원과 북한체제의 존속력에 미친 영향」 등의 논문이 다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