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주택

$48.76
SKU
979116956014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20
Pages/Weight/Size 190*258*33mm
ISBN 9791169560146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사람은 생활하기에 적합한 공간을 상고시대부터 구축해 왔다. 곧 ‘주거’를 위한 공간을 주택이라 명명했으며, 주택은 자연환경, 시대, 지역, 문화에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진보해 왔다. 한국의 전통 주택은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국이나 일본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채棟와 간間의 분화로 각 공간의 독립성을 추구하지만, 또한 이들 공간은 연속성을 가지고 전체를 이룬다. 위계성을 갖는가 하면 유기적인 친밀성을 갖고, 자연 친화성을 갖는다. 이 책은 한국의 주택이 어떻게 공간정서空間情緖의 변화와 통일성을 추구하며, 주택을 하나의 독특한 문화로 창조했는가를 보여 준다.
Contents
제1편 한국의 주택

1 집과 주택(住宅)의 뜻〔意味〕
2 주택(住宅)의 다른 말〔用語〕들

제2편 주택의 역사

1. 선사시대
1 구석기시대(기원전 60만년경-기원전 1만년경)
2 중석기시대(기원전 1만년경-기원전 7000년)
3 신석기시대(기원전 7000년경-기원전 1000년경)
4 청동기시대(기원전 1000년 - 기원전 300년)
2. 성읍국가시대
1 움집〔竪穴住居〕
2 지상가옥과 줄구들
3 기록으로 본 집 유형
3. 삼국시대(三國時代)
1 고구려(高句麗)
2 백제(百濟)
3 신라(新羅)
4.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
1 통일신라(統一新羅)
2 발해(渤海)
5. 고려(高麗)
1 주택 형성의 영향
2 주택

제3편 조선시대의 주택

1. 환경(環境)
1 자연환경(自然環境)
2 인문환경(人文環境)
2. 배치와 평면
1 서민주택(庶民住宅)―민가(民家)
2 중류주택(中流住宅)―중인가(中人家)이교가(吏校家)
3 상류주택(上流住宅)―제택(第宅)
3. 구조(構造)
1 기단(基壇)
2 주춧돌〔柱礎石〕―초석(礎石)
3 기둥〔柱〕
4 가구(架構)와 지붕틀
5 지붕
6 벽체(壁體)
7 바닥〔床〕
8 반자(盤子, 班子), 천장(天障, 天井)
9 창호(窓戶)와 문(門)
10 굴뚝
11 담〔墻〕
4. 내부공간(內部空間)
1 서민주택
2 중상류주택
5. 외부공간(外部空間)―정원〔庭園, 庭苑〕
1 서민주택
2 중류주택
3 상류주택―제택

제4편 각 지방의 주택

1. 서울
1.1 다동 백상규가(茶洞白象圭家)
1.2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가(三角洞都片手李承業家)
1.3 관훈동 이홍재가(李洪宰家)
1.4 와룡동 김은호가(臥龍洞金殷鎬家)
1.5 이문내 구윤옥가(里門內具允鈺家)
1.6 중학동 정씨가(中學洞鄭氏家)
1.7 견지동 윤영선가(堅志洞尹永善家)
1.8 수표동 장택상가(張澤相家)
1.9 운니동 내관가(雲泥洞內官家)
2. 경기도 주택
2.1 화성 정용채가(華城鄭用寀家)
2.2 용인 정영대가(龍仁鄭榮大家)
3. 강원도 주택
3.1 강릉 오죽헌(烏竹軒)
3.2 강릉 해운정과 고택(江陵海雲亭 및 古宅)
3.3 강릉 최종완가(江陵崔宗完家)
3.4 강릉 선교장(船橋莊)
3.5 임경당(臨鏡堂)
4. 충청도 주택
4.1 영동 송재문가옥(永同 宋在文家屋)
4.2 회덕 제월선생고택(懷德霽月先生古宅)
4.3 예산 추사고택(禮山秋史古宅)
4.4 예산 이참판고택(禮山李參判古宅)
5. 경상도 주택
5.1 하회 풍산류씨대종택 양진당(河回豊山柳氏大宗宅養眞堂)
5.2 의성김씨종택(義城金氏宗宅)
5.3 의성김씨소종가(義城金氏小宗家)
5.4 월성 손동만씨가(月城孫東滿氏家)
5.5 월성향단(月城香壇)
5.6 월성 관가정(月城觀稼亭)
5.7 묘동 박황씨가(妙洞朴煌氏家)
5.8 경주최식씨가옥(慶州崔植氏家屋)
5.9 영천매산고택(永川梅山古宅) 및 산수정(山水亭)
5.10 거창 동호리 이씨고가
6. 전라도지방
6.1 부안 김상만가옥(扶安金相万家屋)
6.2 고창 황병관가옥
6.3 구례 운조루(求禮雲鳥樓)
6.4 연안김씨종택(延安金氏宗宅)

제5편 한국 주택의 공간성

1 배치(配置) · 평면(平面)
2 구조(構造)
3 내부공간(內部空間)과 외부공간(外部空間)
Author
주남철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공학사)와 동대학원 졸업(공학석사)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졸업(공학박사)을 하였다. 이태리 국가초청장학생으로 로마대학교(La Sapienza) 건축대학에서 수학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장식미술과 부교수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교수를 거쳐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의 명예교수로 있다. 또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UNESCO ICOMOS KOREA)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건축가협회 초평상(1981), 대한건축학회 특별상(남파박학재)(1987), 대한민국대통령표창(1991), 대한민국문화훈장(옥관)(2001), 대한민국근정훈장(옥조)(2004), 대한건축학회 특별상(소우저작)(2005)을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건축의장』(일지사), 『한국주택건축』(일지사), 『韓國の傳統的住宅』(野村孝文譯日本九州大學出版會), 『韓國建築美』(일지사) 문화공보부선정도서, 『이태리 르네상스 건축사』(고려대학교출판부), 『비원』(대원사), 『한국의 전통민가』(아르케), 『한국의 목조건축』(서울대학교출판부), 『한국의 문과창호』(대원사) 문화부 선정도서, 『연경당』(일지사), 『궁집』(일지사) 학술원 선정도서, 『한국건축사』(고려대학교출판부) 학술원 선정도서, 『동궐도읽기』(문화재청, 창덕궁관리사무소)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공학사)와 동대학원 졸업(공학석사)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졸업(공학박사)을 하였다. 이태리 국가초청장학생으로 로마대학교(La Sapienza) 건축대학에서 수학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장식미술과 부교수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교수를 거쳐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의 명예교수로 있다. 또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UNESCO ICOMOS KOREA)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건축가협회 초평상(1981), 대한건축학회 특별상(남파박학재)(1987), 대한민국대통령표창(1991), 대한민국문화훈장(옥관)(2001), 대한민국근정훈장(옥조)(2004), 대한건축학회 특별상(소우저작)(2005)을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건축의장』(일지사), 『한국주택건축』(일지사), 『韓國の傳統的住宅』(野村孝文譯日本九州大學出版會), 『韓國建築美』(일지사) 문화공보부선정도서, 『이태리 르네상스 건축사』(고려대학교출판부), 『비원』(대원사), 『한국의 전통민가』(아르케), 『한국의 목조건축』(서울대학교출판부), 『한국의 문과창호』(대원사) 문화부 선정도서, 『연경당』(일지사), 『궁집』(일지사) 학술원 선정도서, 『한국건축사』(고려대학교출판부) 학술원 선정도서, 『동궐도읽기』(문화재청, 창덕궁관리사무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