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한중일 삼국의 현대 한자음의 대응 양상을 밝혀 한자음 연구와 한중일 각국의 외국어 교육 및 학습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에서 기원하여 동아시아 및 인근의 여러 지역으로 널리 전파된 한자는 동아시아의 소중한 문화자산이다. 특히 한중일 삼국은 현재까지도 한자를 사용하고 있어 한자, 한자음, 한자어가 각국의 언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한자는 본래의 자형에 큰 변화 없이 수용되고 전승되었지만, 한자음은 원음을 살리면서도 각국의 음운체계에 맞게 수용된 이후 개별 언어의 변화에 따라 독자적인 변화를 겪었다. 그 결과 삼국의 한자음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렇듯 삼국의 한자음이 많은 변화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변화된 현대 한자음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그동안 한국과 일본의 한자음 연구는 한자음의 형성이나 변화를 추적하고 한자음에 의한 고대 음운체계를 재구하는 것에 집중되어 왔다. 또한 기존의 대조 연구는 중국 전통 음운학의 성운(聲韻)체계에 국한된 면이 있다. 성운체계에 벗어나 음운론의 틀에서 음소체계에 따른 한자음의 대조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더욱이 현대 한자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현대 한자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삼국의 상용한자 자료를 수집하여 한자음의 음소 및 음절 대응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이는 한자음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삼국의 학습자가 모국어의 한자음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언어를 학습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교수자가 외국어 학습자에게 각 언어의 발음과 한자어를 교육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현대 한자음을 언어별로 일대일로 대응시켜 음소 및 음절 대응 양상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한중일 삼국의 음운체계 및 자료와 그에 대한 분석 방법을 먼저 제시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한국 한자음을 바탕으로 중국과 일본의 한자음의 대응 양상을, 3장에서는 중국 한자음을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 한자음의 대응 양상을, 4장에서는 일본 한자음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 한자음의 대응 양상을 보일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음운체계
1.2.1. 자음체계
1.2.2. 모음체계
1.3. 자료와 분석 방법
1.4. 한자음 대응 양상의 제시 방법
2. 한국 한자음과의 대응 양상
2.1. 한국 한자음의 분포 양상
2.2. 한중 한자음의 대응
2.2.1. 초성 대응
2.2.2. 중성 대응
2.2.3. 종성 대응
2.2.4. 음절 대응
2.3. 한일 한자음의 대응
2.3.1. 초성 대응
2.3.2. 중성 대응
2.3.3. 종성 대응
2.3.4. 음절 대응
3. 중국 한자음과의 대응 양상
3.1. 중국 한자음의 분포 양상
3.2. 중한 한자음의 대응
3.2.1. 초성 대응
3.2.2. 중성 대응
3.2.3. 종성 대응
3.2.4. 음절 대응
3.3. 중일 한자음의 대응
3.3.1. 초성 대응
3.3.2. 중성 대응
3.3.3. 종성 대응
3.3.4. 음절 대응
4. 일본 한자음과의 대응 양상
4.1. 일본 한자음의 분포 양상
4.2. 일한 한자음의 대응
4.2.1. 초성 대응
4.2.2. 중성 대응
4.2.3. 종성 대응
4.2.4. 음절 대응
4.3. 일중 한자음의 대응
4.3.1. 초성 대응
4.3.2. 중성 대응
4.3.3. 종성 대응
4.3.4. 음절 대응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Author
곽예,나운연,한성우
2007년 중국산동사범대학교 한국어과 학사 졸업
2010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과 석사 졸업
2018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박사 졸업
2018년 중국산동청년정치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과 교수
2007년 중국산동사범대학교 한국어과 학사 졸업
2010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과 석사 졸업
2018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박사 졸업
2018년 중국산동청년정치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