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평가론

BOOKK(부크크) 출간 상품은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반품이 불가하며, 배송완료까지 KBOOKSTORE 배송 일정 기준 +7일이 추가됩니다.
$29.70
SKU
979116919083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Wed 05/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8 - Wed 04/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28
Pages/Weight/Size 175*250*30mm
ISBN 9791169190831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Contents
1장 한국어 평가론 개관
1. 평가란 무엇인가
2. 의사소통 능력과 평가
3. 언어 평가의 역사
4. 평가의 원리
5. 평가의 평가

2장 언어 평가의 기능과 요건
1. 언어 평가의 기능
2. 언어 평가의 관계자
2.1 응시자 또는 학습자
2.2 평가자 또는 교사
2.3 교육 행정 담당자
2.4 교육과정 운영자
2.5 교육 관련 연구자
3. 언어 평가의 요건
3.1 타당도
3.2 신뢰도
3.3 실용도

3장 평가의 종류 및 유형
1. 목적에 따른 평가의 종류
1.1. 숙달도 평가
1.2. 성취도 평가
1.3. 선발 평가
1.4. 배치 평가
1.5. 적성 평가
2. 언어 교실에서의 역할에 따른 평가의 종류
2.1. 진단 평가
2.2. 형성 평가
2.3. 총괄 평가
3. 평가 방식에 따른 평가의 유형
3.1. 규준 지향 평가, 준거 지향 평가
3.2. 객관식 평가, 주관식 평가
3.3. 직접 평가, 간접 평가
3.4. 분리 평가, 통합 평가
3.5. 속도 평가, 능력 평가
3.6. 분석적 평가, 총체적 평가
4. 대안적 평가
4.1. 프로젝트 평가
4.2. 포트폴리오 평가

4장 평가의 내용 및 범주
1. 의사소통 능력
2. 기술별 평가 내용
2.1. 말하기
2.2. 듣기
2.3. 읽기
2.4. 쓰기
3. 수준별 평가 내용

5장 말하기 평가
1. 말하기 평가의 목표
2. 말하기 평가의 구인
3. 말하기 평가의 문항 유형
3.1. 말하기 평가의 방식
3.2. 말하기 평가의 유형
4. 말하기 평가 문항 개발과 채점
4.1. 말하기 평가 문항 개발
4.2. 말하기 채점

6장 듣기 평가
1. 듣기 평가의 목표
2. 듣기 평가의 구인
3. 듣기 평가의 문항 유형
3.1. 숙달도별 문항 유형
3.2. 응답 유형별 문항 유형
3.3. 평가 범주별 문항 유형
4. 듣기 평가 문항 개발
4,1. 듣기 평가의 담화 종류
4,2. 듣기 평가 문항 작성 시 유의사항
4.3. 듣기 평가 출제

7장 읽기 평가
1. 읽기 평가의 목표
2. 읽기 평가의 구인
3. 읽기 평가의 문항 유형
3.1. 숙달도별 문항 유형
3.2. 응답 형식별 문항 유형
3.3. 평가 범주별 문항 유형
4. 읽기 평가 문항 개발
4,1. 읽기 평가의 텍스트 종류
4,2. 읽기 평가 문항 작성 시 유의사항
4.3. 읽기 평가 출제

8장 쓰기 평가
1. 쓰기 평가의 목표
2. 쓰기 평가의 구인
3. 쓰기 평가의 방식과 문항 유형
3.1. 쓰기 평가의 방식
3.2. 쓰기 평가의 문항 유형
4. 쓰기 평가의 개발과 채점
4.1. 쓰기 평가 문항 개발
4.2. 쓰기 채점

9장 어휘 평가
1. 언어 평가에서 어휘의 위치
2. 어휘와 어휘 능력
3. 어휘 평가의 방법
3.1. 분리적 평가와 내포적 평가
3.2. 선택적 평가와 포괄적 평가
3.3. 맥락 독립적 평가와 맥락 의존적 평가
3.4. 어휘의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10장 문법 평가
1. 언어 평가에서 문법의 위치
2. 문법의 본질과 내용
3. 문법 분리 평가
3.1 숙달도 평가
3.2 성취도 평가
4. 문법 통합 평가
4.1 말하기 영역
4.2 쓰기 영역
4.3 듣기 영역
4.4 읽기 영역

11장 문화 평가
1. 언어 평가에서 문화의 위치
2. 문화와 문화 능력
2.1. 한국문화 평가에서 문화
2.2. 한국문화 평가에서 문화 능력
3. 분리 평가
4. 통합 평가

12장 평가 도구의 개발과 시행
1. 평가 도구 설계
1.1. 평가 목표 설정
1.2. 평가 체계 설계
1.3. 평가 세부계획서 작성
2. 평가 도구 개발
2.1. 문항 개발
2.2. 채점 기준 및 절차 개발
2.3. 결과 통보 형식 결정
3. 평가 시행
3.1. 시행 준비
3.2. 시행
3.3. 시행 후

13장 한국어 및 외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1.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1.1. 한국어능력시험
1.2.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
1.3. 세종한국어평가

2. 외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2.1. 영어
2.2. 중국어
2.3. 일본어
2.4. 독일어
2.5. 프랑스어
Author
강현화,홍혜란,박지순,박수연,윤경원,남신혜,장채린
『한국어 교재론』의 공저자이다.
『한국어 교재론』의 공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