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현대사상의 기원

초안정 구조와 중국 정치문화의 변천
$46.44
SKU
97911690929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9/27
Pages/Weight/Size 145*217*40mm
ISBN 9791169092951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20세기 중국 현대사상과 공산주의 혁명은
어떤 사상적·역사적 과정을 밟아 등장했는가

중국 사회가 하나의 초안정 시스템이라는 가설 및 시스템 진화론의 방법론에 따라 중국 역대 정치문화의 특징과 그 진화의 메커니즘을 논한 독창적인 저술

『중국 현대사상의 기원』은 두 차례의 문명 융합을 지배하는 또 하나의 중요 메커니즘을 드러냈다. 즉 도덕 이데올로기가 바람직하지 않게 되자 도덕 가치의 역전을 이끌었고, 역전된 가치는 외래문화와 친화하여 사회 조직 유기체를 다시 빚어냈다는 점이다. 그리고 중요한 관점을 하나 더 제기했는데, 중국의 도덕 이데올로기 구축은 상식이성常識理性에 근거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중국의 상식이성은 제1차 문화 융합 후기에 성숙한 것으로서 이데올로기의 메타 층위를 이루었으며 송명이학이 구축되고 그 계열이 분화되는 최후의 근거다. 제2차 융합 과정에서 중국의 상식이성은 또한 전통적 상식으로부터 새로운 상식으로의 전환을 발생시켜 국민당과 공산당 양당이 각자 이데올로기를 구축하는 근거가 된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이끄는 말: 문화 융합의 양식

1.1 역사에 의해 망각된 과제
1.2 사상 변천의 장기적 양식은 있는가?
1.3 일체화 구조 속의 이데올로기
1.4 도덕가치 일원론과 천인합일의 구조
1.5 ‘당위’의 확장 중국 문화의 연속성이라는 수수께끼
1.6 외부의 충격이 중국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도덕의 바람직성 파괴
1.7 가치의 역전은 외래문화를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창조적으로 재건했다
1.8 상식이성, 문화 융합, 그리고 이 책의 내용과 구조

2장 제1차 융합

2.1 ‘당위’ 세계가 직면한 세 가지 큰 충격 고문경, 자연재해, 소수민족의 침입
2.2 가치 역전 및 ‘천도 무위天道無爲’
2.3 도덕의 형이상학화, 그리고 제멋대로 하는 기풍放誕風氣
2.4 수신修身과 불교
2.5 중국 문화의 불교에 대한 선택적 흡수와 창조적 재구성
2.6 위진 현학의 세 단계
2.7 현상식 도덕의 기원과 초월의식의 형성
2.8 상식이성常識理性은 어떻게 성숙되었는가?
2.9 중국 문화의 상이한 세 층위

3장 이성화 그리고 이데올로기 재설계

3.1 수·당 시기의 문화
3.2 유학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상식이성의 지지와 모순
3.3 관념 정합과 이성화
3.4 유학은 불교의 사변과 수신 방법을 어떻게 이용했나?
3.5 이성화의 첫째 경로 정주이학
3.6 이성화의 두 번째 경로 육왕심학陸王心學
3.7 송명이학 제3계열과 단절형
3.8 중국 문화의 이성 구조

4장 외래 충격과 중국 근대 전통

4.1 서양의 두 차례 확장
4.2 사공을 강화하는 변이
4.3 경세치용과 청초 사상의 계보
4.4 왕선산 철학의 구조
4.5 황종희의 기론과 『명이대방록』
4.6 대진은 어떻게 기론으로 ‘이리살인’을 비판했나?
4.7 중국 현대사상과 ‘유학이 사공을 강화하는 변이’의 관계

5장 청대 사상 변천의 내재적 동력

5.1 고증과 박학의 성행
5.2 중국 ‘과학주의’의 원천
5.3 청대 사상 변천의 큰 추세
5.4 왜 중국 근대 전통은 서양 현대화의 도전에 대처할 수 없었나?
5.5 유가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전환이 마주친 문제

6장 경세치용의 흥기와 실패

6.1 경세치용의 세 단계
6.2 태평천국 농민 전쟁과 이학 경세파
6.3 양무운동의 한계
6.4 서양의 영향이 가진 주변부적 성질
6.5 판결적 검증의 추세로 나아가다
6.6 전환기의 시작

7장 혁명 유토피아의 기원

7.1 중국 현대사상의 발단
7.2 첫 번째 가치 역전 혁명 인생관과 혁명 도의
7.3 두 번째 가치 역전 중국식 진보관
7.4 유기론, 상력설尙力說, 변증법적 유물론
7.5 세 번째 가치 역전 대동 이상과 공산주의
7.6 무정부주의의 유형
7.7 혁명 유토피아, 포퓰리즘, 의사불학
7.8 두 차례 가치 역전의 구조적 비교

8장 제2차 융합의 논리

8.1 서양 근현대 사상 변천의 큰 추세
8.2 왜 과학일원론이 이원론을 대체했는가?
8.3 도덕과 다른 종류의 정당성 권리의 기원
8.4 경험주의, 이성주의, 사회주의
8.5 국가의 독립과 개인의 자주
8.6 권리의 도덕화 과정
8.7 중국 문화는 어떻게 서양 근현대 사상을 선택했나?
8.8 제2차 융합의 세 단계

역자 후기
부록: 오늘날 사회사상 위기의 근원을 논함
찾아보기
Author
진관타오,류칭펑,송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