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역사로 오랫동안 독자와 만나온 신병주 건국대 교수가 오랜만에 신간 『서울의 자서전』을 출간했다. 서울은 조선의 수도로 출발한 만큼 조선시대와 관련한 다양한 역사와 문화 공간들이 남아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51가지 테마를 잡고 서울 곳곳에 숨어 있는 조선시대 이야기를 풀어냈는데, ‘자서전’이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는 “서울이 조선의 수도가 된 이후 지금까지 역사의 현장을 중심으로 자신의 이력을 계속 써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책은 조선 건국 이후 한양 천도가 이뤄지던 시점부터 식민 침탈의 한이 서리기까지 서울의 600년 역사를 한 사람의 생애를 그려내듯 했다. 저자는 독자들이 이 책에 소개되어 있는 장소들을 탐방하면서, 역사의 향기를 체험했으면 하는 바람에 부제를 ‘조선의 눈으로 걷다’라고 붙였다.
이 책은 시기별로 서울에 남아 있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 공간들을 소개하고, 그곳에 얽힌 사연들을 담고 있다.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연려실기술』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학자 개인 문집 등 검증된 사료에 바탕을 두고 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역사적 객관성을 최대한 견지하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저자가 직접 탐방하면서 얻은 감상들도 서술하여, 제목 그대로 조선의 눈으로 서울이 간직해온 이력들을 독자들에게 가능하면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조선을 상징하는 공간인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의 궁궐과 왕릉, 조선이 수도가 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한강, 정조의 숨결이 남아 있는 배다리, 조선 후기 중인 문화의 산실인 서촌 등 비교적 알려진 공간에 숨겨진 이야기들과 함께, 효종이 홍덕이라는 궁녀에게 김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사한 홍덕이 밭,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가 옷감을 물들였던 자지동천, 서울에서 느끼는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 천민 출신 유희경이 만든 문화사랑방 침류대, 흥선대원군의 별장 석파정과 이소정에 숨은 이야기 등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내용들도 포함하여 책을 구성했다. 최근 영화 「파묘」가 크게 흥행했는데, 서울에도 파묘 후에 옮겨진 왕릉이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도 소개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1 경복궁과 근정전, 이름에 담긴 뜻
2 태종이 청계천 공사를 시작한 이유
3 단종이 옥새를 내준 곳, 경회루
4 권력을 가까이하지 않은 효령대군과 청권사
5 허름한 장소에서 피어난 긍지, 자지동천과 비우당
6 대비들을 위해 세운 궁궐, 창경궁
7 성종, 용산에 독서당을 건립하다
8 욕망과 흥에 절었던 연산군의 공간
9 단경왕후가 왕을 그리워하며 머문 인왕산 치마바위
10 조광조를 배향한 도봉서원
11 중종의 정릉이 옮겨진 사연
12 유교 국가에 세운 봉은사와 문정왕후
13 전쟁과 정치적 다툼 속에 자리했던 정릉동 행궁
14 서울에서 느끼는 이순신의 생애 흔적
15 폐출의 원인이 된 광해군의 경희궁 건설
16 이항복과 꽃구경의 명소 필운대
17 인조반정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공간
18 이괄의 난의 승부처, 안산
19 조선 중기의 문화 사랑방을 이끈 시인 유희경과 침류대
20 물속에 잠겼다 다시 떠오른 치욕의 삼전도비
21 효종의 잠저와 홍덕이 밭
22 혜화동, 송시열과 대명의리론의 공간
23 숙종과 북한산성 수축
24 북한산성에도 행궁이 있었다
25 인현왕후와 북촌의 감고당
26 고려부터 현대까지 집권자가 영욕의 시간을 보낸 청와대
27 궁궐 깊숙이 퍼진 전염병
28 귀한 얼음의 공급처, 한강
29 경종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들
30 영조의 탕평책과 균역법이 구현된 공간들
31 성균관 유생들의 삶과 꿈
32 통명전과 어의궁에 남아 있는 정순왕후 혼례식의 흔적
33 앞으로 100년을 보고 작업한 청계천 공사
34 종로구에서 수원으로 옮겨진 사도세자 묘
35 화가의 붓끝에서 다시 태어난 한강
36 창덕궁 후원에 스며든 정조의 마음
37 광교 주변에 형성된 시장, 독과점과 정경유착을 끊어내다
38 한양의 랜드마크가 묘사된 「성시전도시」
39 경희궁과 숙종, 영조, 정조
40 용산과 노량진에 놓은 조선시대 배다리
41 동작구에 마련된 정조의 휴식처, 용양봉저정
42 정조의 눈물이 밴 효창동 고개
43 순조를 기억하는 공간, 연경당과 인릉
44 종로, 용산, 북촌에서 희생된 천주교 신자들
45 역사의 아이러니가 깃든 궁들
46 청운동과 삼청동에 서린 세도정치
47 하늘과의 거리가 멀지 않았던 화려한 운현궁
48 부암동의 석파정과 염리동의 아소정, 권력의 빛과 그늘
49 경복궁 중건 이야기
50 경복궁 뒤뜰의 숨은 공간들
51 서울의 새해맞이
Author
신병주
서울대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문화재재단 이사,
문화재청 궁·능 활용 심의위원, 외교부 의전정책 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역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KBS 「역사저널 그날」, KBS라디오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신병주의 역사여행」을 진행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연산군과 광해군’ 편 외 다수, EBS 「클래스 e」 ‘조선 왕을 만나는 시간’ 시리즈, CJ ENM, 사피엔스 스튜디오의 ‘역사 읽어드립니다’ 시리즈 등에 출연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평전』 『왕으로 산다는 것』 『참모로 산다는 것』 『왕비로 산다는 것』 『우리 역사 속 전염병』 등이 있다.
서울대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문화재재단 이사,
문화재청 궁·능 활용 심의위원, 외교부 의전정책 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역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KBS 「역사저널 그날」, KBS라디오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신병주의 역사여행」을 진행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연산군과 광해군’ 편 외 다수, EBS 「클래스 e」 ‘조선 왕을 만나는 시간’ 시리즈, CJ ENM, 사피엔스 스튜디오의 ‘역사 읽어드립니다’ 시리즈 등에 출연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평전』 『왕으로 산다는 것』 『참모로 산다는 것』 『왕비로 산다는 것』 『우리 역사 속 전염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