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김수련이다. 1991년에 태어났고
빼어날 수秀에 단련할 연鍊 자를 쓴다
나는 중환자실에서 일하는 간호사다
이것은 내가 간호사로서 7년간 겪어온 경험의 기록이다
“나는 실체를 가진 간호사로서 침묵을 깰 의무를 지닌다.”
여기 한 사람이 있다. 그는 서울의 한 대형 병원 중환자실에서 7년간 간호사 생활을 했다. 그가 『밑바닥에서』라는 책을 펴냈다. 위의 문장이 바로 저자가 책을 쓴 이유다. 그가 간호사로서 쓴 경험은 이제껏 드러난 적이 거의 없는 내용이다. 그는 자신을 밑바닥 존재로 규정지었다. 바닥은 더럽고 깊고 어둡다. 그 바닥에서 울리는 자기 목소리를 사람들이 달갑잖게 여길까 두려웠지만, 절망이 평생 계속될까봐 입에 메가폰을 댔다. 그 소리는 멀리 깊게 퍼져나간다. 그의 정직하고 다정한 글을 통해서.
Contents
추천 서문: 철저하게 무너지다_강경화 한림대 간호대학 교수
추천 서문: 현실을 방치하면 되돌아오는 것들_최규진 인하대 의과대학 교수
문을 열며─여기 목소리가 있다
들어가며
1장
밑바닥에서
말벌들
작고 예쁘고 소소한 것
소용돌이
아가미
2장
미나
아버지에 대하여
영광과 시간
외도
말할 수 없는
죽음의 모양
반인반수와 공감: 우리 마음은 비어 있어야 한다
하지 못한 말
3장
강가에 고요히 앉아
진술서(박선욱 간호사: 프리셉터 제도의 문제점)
원내 사고발생 신고서
늑대가 나타났다
문을 닫으며─그럼에도 불구하고
Author
김수련
신촌세브란스병원 암병원 중환자실CAICU에서 간호사로 약 7년간 근무했고, 2020년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대구의 코로나19 중환자실에 파견되어 근무했다. ‘건강권 실현을 위한 행동하는 간호사회’의 운영위원으로,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 대한간호협회 직선제 촉구,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간호사 연대와 같은 간호사 처우 개선 운동과 공공의료 강화 운동에 참여했다. 현재 국경없는의사회 소속 파견 인력으로 미파견 기간 중 미국 적십자 재난 의료팀American Red Cross Disaster Health Services Team 멤버로 활동 중이며, 뉴욕 시립병원 외과계 외상 중환자실Surgical-Trauma ICU에서 근무하고 있다. 공저로 『포스트 코로나 사회』가 있다.
신촌세브란스병원 암병원 중환자실CAICU에서 간호사로 약 7년간 근무했고, 2020년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대구의 코로나19 중환자실에 파견되어 근무했다. ‘건강권 실현을 위한 행동하는 간호사회’의 운영위원으로,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 대한간호협회 직선제 촉구,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간호사 연대와 같은 간호사 처우 개선 운동과 공공의료 강화 운동에 참여했다. 현재 국경없는의사회 소속 파견 인력으로 미파견 기간 중 미국 적십자 재난 의료팀American Red Cross Disaster Health Services Team 멤버로 활동 중이며, 뉴욕 시립병원 외과계 외상 중환자실Surgical-Trauma ICU에서 근무하고 있다. 공저로 『포스트 코로나 사회』가 있다.